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원 | 즐겨찾기 
공지
원제역학연구원 홈페이지 오픈 (10)

11.25 (월)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생활역학이야기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게시물 1,284건
   
한국의 명가 명택 (의성김씨 내앞(川前) 종택 역사.인물) 2
깡통박사 2017-09-30 (토) 08:31 조회 : 2161

종택의 비보 풍수


의성김씨 내앞 종택의 풍수적인 여러 조건은 별로 흠잡을 것이 없으나, 한 가지 수구(水口)가 너무 넓게 터져 있다는 점이 거슬린다. 수구는 좌청룡, 우백호의 사이의 벌어진 공간으로 통상 이 공간을 통해 출입하는 물의 통로를 가리킨다. 이것이 너무 넓으면 마을이나 집터의 기운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간주한다. 수구가 엉성하고 열려 있으면 비록 좋은 밭 만 이랑과 넓은 집 천 칸이 있다 하더라도 다음 세대까지 내려가지 못하고 저절로 흩어져 없어진다. 그러므로 집터를 잡으려면 반드시 수구가 꼭 닫힌 듯하고, 그 안에 들이 펼쳐진 곳을 눈여겨 보아야 한다고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은 주장한다.


내앞 종택은 수구가 터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수구막이를 조성하였다. 비보(裨補)를 한 것이다. 자연에 인위를 가하여 생기를 부과한 것이 바로 비보다.


이른바 ‘개호송(開湖松)’이라고 불리는 소나무 숲이 바로 그러한 비보풍수의 전형적인 사례다. 내앞 동네에서 700m 정도 서쪽으로 떨어진 반변천 가운데 모래밭에 인위적으로 소나무 숲을 조성해 놓은 것이다. 동네의 기운이 무차별적으로 빠지는 것을 이 소나무 숲이 막아 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의성김씨들은 이 수구막이 소나무 숲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백년 동안 온갖 정성을 기울였다. 문중 차원에서 특별 보호를 한 것이다.


경상대학교 김덕현(金德鉉) 교수는 내앞 출신인데, 그는 ‘전통촌락의 동수(洞藪)에 관한 연구-안동 내앞 마을의 개호송을 중심으로-(1986)’라는 논문을 통해 이 개호송의 조성과정과 인문지리적인 기능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 논문에 따르면 개호송은 청계의 조부인 김만근(1446∼1500년)이 처음 심었다. 그 후 홍수에 유실된 것을 1615년경 후손 김용(金湧)이 동네사람들과 함께 1000여 주를 다시 심고 선조의 뜻을 계승하여 보호하는 의미에서 별도의 글을 지어 다짐하기도 했다. 그 후에 사람들이 함부로 소나무를 베어가는 일이 발생하자 의성김씨들은 완의(完議)를 만들어 보호를 천명하고 수호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하였다.


그 보호문건이 ‘개호종송금호의서(開湖種松禁護議序, 1615년)’ ‘동중추완의(洞中追完議, 1737년)’ ‘개호금송완의(開湖禁松完議, 1757년)’다. 내용을 보면 마을 수구를 비보함으로써 가문의 터전과 가묘를 보호하기 위하여 개호송을 심었다, 따라서 선조를 높이고 종가를 소중히 생각하는 자는 선조의 사당과 종가가 있는 내앞(川前)을 지키는 이 소나무를 보호하는데 힘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차송무천전(無此松無川前, 이 소나무가 없으면 내앞 마을도 존재할 수 없다)’이라는 표현이 개호송의 가치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의성김씨들이 문중의 사활을 걸고 보호한 덕분에 현재 반변천 가운데 모래밭에는 오래된 소나무 숲이 존재하는 것이다.


개호송은 수구막이라는 풍수 원리에 따라 조성된 것이지만 오로지 풍수 효과만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효과도 있다.


김덕현 교수의 주장으로는 그 효과는 외부의 관찰자는 느낄 수가 없고 오직 내부의 거주자만이 느낄 수 있는 심리적인 안정감, 즉 장소 안에 있다(insider)는 안정감이라고 한다. 개호송에 의해 마을이라는 장소는 ‘외부’와 대조적인 ‘내부’로 체험되는 것이다. 고향을 떠나 있던 사람이 고향에 돌아오면서 바라보는 개호송은 ‘저기서부터 우리 고향이다’고 말할 수 있는 충만감을 준다는 것이다.


사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한국인 대다수의 거주공간은 도시의 아파트라는 조막만한 공간으로 축소되어버렸다. 아파트에서 거주의 즐거움을 느끼겠는가? 불과 20∼30년 사이에 한국인의 절반 가량이 아파트에 살게 되면서 의식주 세 가지 가운데 주에서 느낄 수 있는 특유의 쾌감을 상실하고 말았다. 뿐만 아니라 돌아갈 고향마저 동시에 사라져버렸다. 깊은 행복감이란 자기가 출발했던 근원으로 회귀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끝없이 나아가는 것이 결국은 자기의 근원으로 되돌아가는 것 아닐까. 음양분화 전(陰陽分化前)의 고향산천 정기로 되돌아가는 것이 행복이라고 할 때, 고향을 상실했다는 것은 크나큰 상처가 아닐 수 없다.





오룡지가(五龍之家)의 명문


내앞 의성김씨들이 명문가로 알려진 계기는 중시조인 청계의 다섯 아들이 모두 과거에 합격하면서부터다. 다섯 아들이 모두 과거에 합격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 오자등과택(五子登科宅)이다. 일제 강점기에 촌산지순(村山智順)이 지은 ‘조선(朝鮮)의 풍수(風水)’에도 명택의 사례로 완사명월형에 자리잡은 오자등과택이 소개되고 있다. 다섯 아들을 오룡(五龍)에 비유해서 오룡지가(五龍之家)라 칭하기도 했다.


조선의 법전인 ‘경국대전’에 보면 아들 다섯 명이 과거에 합격하면 국가가 혜택을 주었다. ‘아들 다섯이 과거에 오른 부모에게는 임금한테 보고하여 해마다 쌀을 보내 주었으며, 부모가 죽으면 벼슬을 추증하고 제사를 지내준다’는 예전(禮典)의 조항이 그것이다.


다섯 아들이 모두 과거에 합격한 것도 드문 일이지만, 그 다섯 아들 모두가 학행이 뛰어난 선비로서 각각 일가를 이루었다는 사실은 더 중요하다. 약봉(藥峯) 김극일(金克一, 1522∼1585년), 구암(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년), 운암(雲岩) 김명일(金明一, 1534∼1570년),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년), 남악(南嶽) 김복일(金復一, 1541∼1591년)이 바로 그들이다. 장남인 약봉은 내앞의 대종택에서 살았지만, 나머지 네 아들은 안동 인근으로 분가하여 각기 소종택을 형성하였다. 이 소종택들도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여기서 한 가지 살펴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아버지인 청계의 교육방법이다. 어떻게 교육했기에 아들 다섯을 모두 과거에 합격시켰을 뿐만 아니라, 불의에 굴복하지 않는 강직한 선비로 키울 수 있었을까? 그 교육철학은 무엇이었는가?


청계가 자신의 성취보다는 자녀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게 된 일화가 전해진다.


청계가 젊은 시절 서울 교외의 사자암에서 대과를 준비하고 있을 때였다. 우연히 어떤 관상가를 만났는데 하는 말이 “살아서 참판(參判)이 되는 것보다는 증판서(贈判書)가 후일을 위해 유리할 것”이라는 충고였다. 이 말을 듣고 즉각 대과를 포기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자녀교육에 전념하였다는 일화가 문중에 전해진다. 청계가 자녀교육에 관하여 유별나게 관심을 기울인 특별한 아버지였다는 것은 자식들의 기록에 나타나고 있다. 넷째 아들 학봉이 작성한 아버지 행장에는 가슴 뭉클한 내용이 나온다.


“큰형이 과거에 급제하고 어머니께서 돌아가셨을 때는 자녀가 모두 8남매나 되었는데, 대부분 어린아이거나 강보 속에 있었다. 이에 아버지께서 온갖 고생을 다해 기르면서 하지 않은 일이 없었다. 한밤중에 양쪽으로 어린아이를 끌어안고 있으면 어린아이가 어미젖을 찾는데 그 소리가 아주 애처로웠다. 이에 아버지께서는 자신의 젖을 물려주었는데, 비록 젖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아이는 젖꼭지를 빨면서 울음을 그쳤다. 아버지께서 이 일을 말씀하실 적마다 좌우에서 듣는 사람 중 울지 않는 이가 없었다.”


어린 새끼들이 밤에 젖을 찾으니 중년 남자인 자신의 젖을 물릴 정도로 자녀양육에 온갖 정성을 기울인 인물이 청계다. 그는 인근에 살던 퇴계에게 다섯 아들을 보내 공부시킨다. 다섯 아들은 일찍부터 퇴계의 훈도를 받은 것이다. 그중 넷째 아들인 학봉은 후일 서애 유성룡과 함께 영남학파를 이끄는 양대 기둥으로 성장한다.


청계가 자녀교육에서 강조했던 부분이 있다. 교육철학이라고나 할까. 그것은 ‘영수옥쇄(寧須玉碎) 불의와전(不宜瓦全)’의 가르침이다. ‘차라리 부서지는 옥이 될지언정 구차하게 기왓장으로 남아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이다. 차라리 곧은 도리를 지키다 죽을지언정 도리를 굽혀서 살지 말라고 가르쳤다. 그런가 하면 평소에도 ‘너희가 군자가 되어 죽는다면 나는 오히려 살아 있는 것으로 보아줄 것이고, 소인이 되어 산다면 나는 오히려 죽은 사람과 같이 볼 것이다(人寧直道以死 不可枉道以生 汝等爲君子而死 則吾視猶生也 爲小人而生 則吾視猶死也)’고 강조하였다.


직도(直道)를 위해서라면 과감하게 목숨을 버리라는 가르침, 선비 집안에는 3년에 한 번씩 금부도사가 찾아올 정도가 되어야 한다는 각오, 이것이 조선조 선비정신의 정수가 아닌가 싶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 ‘회 중에 미꾸라지 회가 제일이다’는 자기 보존의 남루한 처세요령을 가지고, 어떻게 해서든지 살아남으려고 몸부림치는 요즘 세태와 비교해보면 너무나 눈부신 철학이 아닐 수 없다.




임금에 직언하는 강직한 성품


넷째 아들인 학봉 김성일의 강직한 일화가 ‘조선왕조실록’에 전해진다. 1573년 9월 학봉이 사간원 정언(正言)으로 있을 때 선조가 경연장에서 “경들은 나를 전대(前代)의 어느 임금과 비교할 수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정언 정이주가 “요순 같은 분이십니다”라고 대답했더니, 학봉이 “요순도 될 수 있고 걸주(桀紂)도 될 수 있습니다”라고 응답했다. 임금이 “요순과 걸주가 이와 같이 비슷한가?”라고 물으니 학봉이 “능히 생각하면 성인이 되고, 생각하지 않으면 미치광이가 되는 것입니다. 전하께서 타고난 자품이 고명하시니 요순 같은 성군이 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만, 스스로 성인인 체하고 간언(諫言)을 거절하는 병통이 있으시니 이것은 걸주가 망한 까닭이 아니겠습니까?” 하고 대답하였다. 이에 주상이 얼굴빛을 바꾸고 고쳐 앉았으며 경연에 있던 사람들이 벌벌 떨었다. 서애 유성룡이 나아가 아뢰기를 “두 사람 말이 다 옳습니다. 요순이라고 응답한 것은 임금을 인도하는 말이고 걸주에 비유한 것은 경계하는 말이니, 모두 임금을 사랑하는 것입니다”라고 하니 임금도 얼굴빛을 고치고 신하들에게 술을 내게 하고서 파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보통 직장생활에서 윗사람이 듣기 거북한 직언을 하고 나면, 그 후유증이 최소 3년은 계속되어 불이익을 당하는 것을 여러 번 목격했다. 그런데 학봉은 임금 면전에다 대놓고 “스스로 성인인 체하고 직언을 거절하는 병통이 있다”는 직언을 할 정도로 기백이 있었다. 학봉의 그 기백은 어디서 나왔을까. 이는 책에서는 배울 수 없는 것이다. 아버지 청계의 평소 가르침에서 나온 것이 분명하다.


학봉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와 풍신수길을 평하여 “그 눈이 쥐와 같으니 두려워할 것 없다”라고 했던 말이 임진왜란 상황을 오판하게 했다고 하여 체포령이 내렸다. 학봉은 그 소식을 듣자 금부도사를 기다릴 것도 없이 서울로 자진출두하였다. 출두하던 도중 충청도 직산에서 경상도초유사를 임명받고 영남으로 돌아와 왜군과 싸우게 되었다.


학봉이 진주성에 도착하니 목사와 주민이 모두 달아나 성은 텅텅 비어 심난한 상황이었다. 옆에 있던 송암(松庵), 대소헌(大笑軒) 두 사람이 산하를 쳐다보고 비통해하면서 강에 빠져 죽자고 하자 공은 웃으면서 사나이가 한번 죽는 것은 어려울 바 없으나 도사(徒死)해서야 되겠느냐 하면서 이때의 비장한 심정을 시로 읊었다. 이 시가 식자층 사이에 회자되는 ‘촉석루중삼장사(矗石樓中三壯士)’라는 유명한 시다.




‘촉석루에 오른 세 사나이(矗石樓中三壯士)/ 한잔 술 마시고 웃으며 남강물 두고 맹세하네(一杯笑指長江水)/ 남강물은 넘실대며 세차게 흐르누나(長江之水流滔滔)/ 저 물결 마르지 않듯 우리 혼도 죽지 않으리(波不渴兮魂不死).’




학봉은 이 시를 쓰고 난 후 임진왜란 삼대첩의 하나로 꼽히는 진주대첩을 이끌었다. 그리고 얼마 있다 진주공관에서 과로로 죽는다. 평소 학봉을 미워하던 서인들도 그 죽음을 애석해했다고 전해진다.


학봉의 성품이 강직하고 의리가 있었다는 것은 임진왜란 때 전라도 의병장 제봉 고경명 장군(霽峰 高敬命, 1533∼1592년)도 잘 알고 있었던 듯하다. 광주에서 살던 제봉은 아들 종후(從厚) 인후(仁厚)와 함께 전쟁터로 나가면서 셋째 아들인 용후(用厚, 당시 16세)만큼은 나이도 어린 데다 대를 잇기 위해서 안동의 학봉 집안으로 피란하라고 당부한다. 학봉집은 의리가 있는 집이니까 네가 가면 틀림없이 돌보아줄 것이라며. 이때 고용후는 안동에 혼자 간 것이 아니라 아녀자를 포함한 가솔 50여 명과 함께 피신을 갔다고 한다.


학봉 가족도 이때 임하(臨河)의 납실(猿谷)이라는 곳에 피란하고 있는 중이라 산나물로 죽을 끓여 연명하면서도, 학봉의 장남 애경당(愛景堂) 김집(金潗)은 이들과 같이 동고동락하였다. 고용후는 이곳에 머물면서 아버지와 형들을 포함한 칠백의사가 모두 금산(錦山)전투에서 장렬하게 전사했다는 비보를 접했으며, 학봉부인과 김집은 상주가 된 고용후가 예법에 맞게 장례를 치르도록 도와주고 정성껏 보살펴주었다. 고용후는 50여 명에 달하는 식솔들과 함께 학봉집에서 3∼4년쯤 머물다가 전라도로 되돌아간 것으로 되어 있다.


고용후는 학봉집에 머물 당시 학봉의 손자인 김시권(金是權)과 같이 상을 당한 처지고, 거의 동년배라서 서로 격려하며 함께 공부하였는데, 이 둘은 1605년 서울의 과거 시험장에서 반갑게 해후하였으며 고용후는 생원과에 장원으로, 김시권도 동방(同榜)으로 진사급제를 하였다. 그 후 10년이 지난 1617년 안동부사로 부임하게 된 고용후는 파발마를 보내 학봉 선생 노부인과 장자 김집을 안동관아로 초대하여 크게 잔치를 베풀었다. 잔칫날 고용후는 “소생에게 오늘의 영광이 있는 것은 후덕하신 태부인(太夫人)과 애경당(愛景堂)의 20년 전 은혜 덕택입니다. 두 분의 은덕이 아니었다면 어찌 오늘이 있겠습니까?” 하고 울면서 큰절을 올렸다. 비슷한 연배인 고용후와 김시추, 김시권 형제는 그 후로도 친형제처럼 서로 돕고 의지하며 지냈다. 영·호남 간의 이념적 동지들 사이에 피어난 아름다운 이야기다.





내앞 집안의 독립투사들


의성김씨는 조선시대 대·소과 합격자가 무려 100여 명에 달하고 문집을 남긴 인물이 90여 명에 이를 정도로 문명(文名)이 높은 집안이다. 그러나 이들의 벼슬은 그리 높지 않았다. 청계가 후손들에게 ‘벼슬은 정2품 이상 하지 말고 재산은 300석 이상 하지 말라’는 유훈을 남겼기 때문이다.


높은 벼슬에 집착하기보다는 향리의 서당과 서원에서 글을 읽으며 자족하는 처사(處士)의 삶을 보낸 사람도 많다. 벼슬에 집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면세계를 다지는 내공을 쌓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 의리정신은 구한말 의병운동과 만주 독립운동에도 선명하게 나타난다. 내앞 사람들의 의병과 독립운동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면 별도의 책 한 권이 나올 정도로 방대하다. 청계공 탄생 500주년(2001년 2월)을 기념하는 학술논문집에 수록된 조동걸 교수의 논문 ‘안동(安東) 천전문중(川前門中)의 독립운동’이란 내용 중에 인상적인 부분을 발췌하면 이렇다.


내앞에 살던 66세의 백하(白河) 김대락(金大洛, 1845∼1914년)은 경술국치(1910년)로 조국이 일본 식민지로 전락하자 엄동설한인 12월24일 만주 서간도로 망명한다. 이 노선비는 서간도에 갈 때 혼자 간 것이 아니라 만삭 임신부인 손부와 손녀를 데리고 간다. 일본 식민지에서 증손자들이 태어나면 자동적으로 일본신민이 되는데 이를 참을 수 없는 치욕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백하일기’에 따르면 목적지 유하현으로 가는 도중인 1911년 2월2일과 23일에 손부와 손녀가 해산을 한다. 엄동설한의 눈밭에서 난산을 했다고 전해진다. 병원도 약도 구할 수 없어 버선과 신발이 얼어붙을 정도로 동분서주하고, 마을 성황당과 칠성님께 비느라 손발이 얼어터지는 참담한 상황을 겪어야만 했다. 김대락은 증손자의 이름을 중국(唐)에서 태어나 통쾌하다는 뜻으로 쾌당(快唐), 외증손자는 고구려의 건국시조 고주몽(高朱蒙)의 고장에서 태어났다는 뜻으로 기몽(麒蒙)이라고 지었다고 하니,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기가 막힌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문중 원로가 66세의 노구를 이끌고 더구나 만삭인 손부와 손녀가 뒤를 따르는 걸 보고 감명을 받은 내앞 사람 22가구 50여 명이 대거 만주로 건너갔다. 이런 걸 보면 양반은 그냥 양반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내앞 출신의 독립투사 중 대표적인 두 사람을 꼽는다면 일송(一松) 김동삼(金東三)과 월송(月松) 김형식(金衡植)이다. 일송은 1923년 상해에서 독립운동자 총회인 국민대표회가 열릴 때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대표로 참가하여 의장을 맡았던 인물이다.


이때 부의장은 안창호, 윤해였다. 독립군 단체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수습하는 회의마다 거의 의장을 맡다시피 할 정도로 존경을 받던 인물이었다고 한다. 일송이 향년 60세로 1937년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사했을 때, 평소 일송을 존경하던 만해 한용운이 그 유해를 수습하여 성북동 심우장에서 화장을 한 후 유언대로 한강에 뿌렸다.


월송(1877∼1950년)은 김대락의 아들이다. 사람 천석, 글 천석, 밥 천석을 하던 도사택(都事宅)에서 태어나 협동학교(協東學校) 교사를 하다가 아버지와 대소가 안팎 식솔 수십 명과 함께 서간도로 망명하였다.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1948년 김구와 김일성이 만나는 남북연석회의 당시 개회식에서 사회를 보았다. 노년에 금강산에서 휴양중(1950년 가을) 전화가 미치자 미군에게 수모를 당하는 것보다는 깨끗하게 생을 마치겠다며 구룡폭포에서 투신 자살하였다. 향년 74세. 자진하면서 남긴 절명시는 이렇다.


‘이 산에 응당 신선이 있을 터인데, 육안으로는 분간이 어렵구나. 백발 노인이 구름 사이로 치솟으니, 사람들은 나를 신선이라 하겠구나(此山應有仙 肉眼不分看 白髮聳雲間 人謂我神仙).’


내앞 사람들의 민족계몽운동과 독립운동의 중심에는 협동학교가 있었다. 협동학교는 내앞에서 수많은 독립투사를 배출한 산실이었다.





인물을 낳은 방 ‘산실(産室)’

풍수 좌향으로 계좌(癸坐)를 놓은 의성김씨 종택의 구조에서 필자의 흥미를 끄는 부분이 하나 있다. ‘산실(産室)’이라고 불리는 조그만 방이다. 사랑채에서 안채가 거의 겹쳐지는 지점에 있는 방이다.


풍수를 연구하니만큼 나는 유달리 이 방에 관심이 간다. ‘인걸(人傑)은 지령(地靈)’이라는 풍수의 대명제를 직접적으로 확인시켜주는 성스러운 장소이기 때문이다.


이 집의 임신부는 아이를 출산할 때 다른 방에서 낳지 않고 대부분 이 방에서 낳았다. 아이를 출산하는 방이라고 해서 산실 또는 태실(胎室)이라고도 한다.


이 방은 집 전체에서 지기(地氣)가 가장 강한 곳이기 때문에, 여기서 산모가 아이를 임신하거나 출산하면 그 정기를 받아 비범한 인물이 나온다고 의성김씨들은 믿었다. 학봉도 이 방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서 다른 아들들도 모두 여기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다면 오룡지가의 오룡을 낳은 방도 바로 이 방이고, 그 이후로도 수백년 동안 많은 인물이 이 방의 정기를 받고 태어난 셈이다.


이 집과 관련하여 또 하나의 이야기가 있다. 소설가 이문열이 94년에 발표한 작품 중에 ‘홍길동을 찾아서’라는 단편이 있다. 안동의 어느 명문가 산실(産室)을 소재로 한 작품인데, 혼례를 치른 딸이 친정집의 산실에서 첫날밤을 치르고, 출산할 때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어코 친정집의 산실에서 아기를 낳는 과정을 묘사한 내용이다. ‘입 구(口)자 두 개가 겹치는 곳에 있는 그 산실은 집 전체의 지기가 뭉쳐 있는 곳이고 풍수적으로는 종가의 기운이 몰려 있을 뿐만 아니라 그곳 문중의 기운이 몰려 있는 곳’이라는 묘사가 작품에 등장한다.


처음에는 잘 몰랐지만 필자가 의성김씨 종택을 답사하는 과정에 ‘홍길동을 찾아서’는 의성김씨 종택이 그 모델이었을 것이라는 판단이 들었다. 이문열씨 진외가, 그러니까 이문열씨의 할머니가 내앞 의성김씨였고, 서울농대에 있다가 6·25 때 납북된 그의 아버지도 할머니의 친정인 이 집에서 출산하였다고 한다. 이문열씨가 대학을 중퇴하고 여기 저기 떠돌아 다닐 때도 가끔 진외가인 내앞 종택에 들러 사랑채에서 몇 달씩 머물기도 하였다는 게 안동 KBS에 근무하는 김시묘씨의 이야기다.


산실의 영험함에 관한 믿음은 내앞 종택 외에도 여기 저기서 발견된다. 경주 양동마을의 손중돈 고택에서도 3명의 인물이 배출된다는 산실이 남아 있고, 안동 신세동에 있는 고성이씨의 종택, 즉 독립운동가 이상룡(李相龍, 김대락의 손윗동서)의 고택에도 조선조에 재상 3명을 산출한 영실(靈室, 산실)이야기가 전해진다.


과연 산실이라는 게 타당성이 있는가? 산실의 영험성은 풍수에서 그 집터의 입수맥을 통해 파악한다. 사찰에 가면 지맥이 들어오는 내룡, 또는 입수맥 자리에 대개 산신각이나 대웅전이 자리잡고 있어 기가 충만한 종교적 영험성을 확보할 수 있듯이 산실도 마찬가지다.


그 집터의 입수맥(入首脈)은 바위를 보면 파악할 수 있다. 집 뒤에 바위가 있으면 그 바위 방향으로 집터에 지기(地氣)가 들어오고(input)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 지점이 집터의 지기가 뭉친 곳이기도 하다. 짐작건대 내앞 종택의 산실 뒤쪽에는 조그만 바위라도 땅속에 박혀 있거나 돌출되어 있었을 것이다. 현재는 바위가 안 보이지만, 혹시 돌출되어 있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그걸 치워버렸거나 아니면 땅속에 박혀 있어서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지도 모른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갈 사항은 비범한 인물이 형성되는 조건이다. 산실에서만 낳으면 무조건 인물이 되고, 쓰레기장을 매립해서 지은 15층 아파트에서 낳으면 별볼일 없는 필부가 되는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첫째, 천시(天時, 타이밍)도 좋아야 한다. 천시라는 걸 넓게 해석해 보자. 만약 바둑의 이창호가 지금부터 100여 년 전에 전주에서 태어났더라면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하여 죽창들고 가다가 황토현 들판에서 죽었을지도 모른다. 바둑으로 몇억 원씩 번다는 건 상상도 못할 일이다. 즉 어느 시대에 태어나느냐가 중요하다. 이를 좁게 해석하면 태어난 연,월,일,시도 중요하다. 그래서 사주(四柱)라는 것도 무시는 못한다.


둘째, 태어난 지역, 지리도 중요하다는 뜻이다. 모택동이 중국이 아니라 한국에서 태어나 빨치산이 되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십중팔구 지리산에서 토벌대의 총에 맞아 죽었을 것이다. 지리를 좁게 해석하면 명당이다. 쓰레기장을 매립한 아파트보다는 그래도 명당에 자리잡은 산실이 낫다는 이야기다.


셋째, 인사(人事)다. 인사를 넓게 해석하면 유전인자(DNA)다. 같은 사주팔자이고 같은 명당에서 낳았다고 할지라도 부모의 유전인자가 열등하면 별로 신통치 않은 자식이 나오는 걸 목격한다. 일단 유전인자가 좋고 볼 일이다. 좁은 의미로 보면 교육도 중요하다. 어떻게 교육을 해서 어떤 정신을 심어주느냐가 영향을 끼친다.


인물이 형성되는 과정은 이상의 세 가지 조건이 모두 부합될 때 가능한 것이지, 어느 한 가지만 가지고는 어렵다는 게 정설이다. 영남의 명문으로 수많은 인물을 배출한 내앞의 의성김씨 종택을 보면서 필자가 내려본 결론이다.

이 포스트를..
덧글 1개 엮인글 쓰기

맘착한토끼아찌 [한국의 명가 명택] 의성김씨 내앞(川前) 종택
맘착한토끼아찌 [한국의 명가 명택] 의성김씨 내앞(川前) 종택

2005/05/22 13:06

http://blog.naver.com/joba34/140013167980

[한국의 명가 명택] 의성김씨 내앞(川前) 종택




人傑地靈의 명당, 선비정신의 산실




의성김씨 종택은 권력의 부조리를 정면에서 고발하는 기백과 목숨을 내건 의리로 인해 조선시대 금부도사가 세 번이나 체포영장을 들고 오는 수난을 겪었다. 또 비범한 인물들을 배출한 내앞 종택의 산실(産室)은 이문열의 소설 소재로 등장할 만큼 이야깃거리가 풍부하다.




조용헌 <원광대 사회교육원 교수>





안동에 있는 의성김씨(義城金氏) 종택을 찾아간다. 안동 시내에서 동쪽으로 반변천(半邊川)을 따라 30리를 올라가다 보면 국도 연변 좌측에 고풍어린 기와집들이 즐비하게 자리잡은 풍경이 나타난다. 바로 5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의성김씨 집성촌이다.


그 기와집들 가운데에 청계(靑溪) 김진(金璡, 1500∼1580년)을 중시조로 모시는 의성김씨 내앞(川前) 종택이 나그네의 눈길을 끈다. 내앞 종택은 조선 선비의 강렬한 정신이 어려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 강렬함이란 권력의 부조리를 정면에서 고발하는 직언(直言) 정신과, 의리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내놓은 기백을 가리킨다.

내앞 종택은 그 기백과 의리 때문에 조선시대 금부도사(禁府都事)가 직접 체포영장을 들고 찾아와 종택 뜰에 말을 매는 일대 사건을 세 번이나 겪어야 했다. 안동지역 인근에서 회자되는 ‘유가(儒家)에는 3년마다 금부도사가 드나들어야 하고, 갯밭에는 3년마다 강물이 드나들어야 한다’는 속담은, 자신의 신념과 명분을 지키기 위해서 금부도사의 체포영장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영광으로 받아들였던 조선 선비들의 정신이 잘 나타나 있다.


언제부터인가 ‘모난 돌이 정 맞는다’를 과도하게 명심한 나머지 자나깨나 모나지 않기 위해서 박박 기는 삶을 전부로 알고 있는 범부들의 처세 요령과 비교해 보면 너무나 차원이 다른 처세이자 정신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 내앞 종택은 조선 선비의 기개가 전해오는 집이다.


의성김씨 내앞 종택에 전해오는 선비정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동문화의 특징을 간단하게 짚어보는 것이 순서일 성싶다.




명문 종택의 고장


한국의 문화지도에서 안동이라는 지방을 찾아보면 ‘양반문화’라는 코드가 나타난다. 다른 지역에 비해 조선시대 양반 선비들의 문화가 현재까지도 가장 잘 보존된 지역이 안동 일대다.


필자의 주관적인 판단인지는 몰라도 봉제사(奉祭祀) 접빈객(接賓客)의 풍습이 아직도 남아 있는 곳이 안동이다. 문중 제사가 있으면 전국에서 모여들고, 외부 손님이 왔을 때는 아무리 바쁜 일이 있어도 내색하지 않고 정성을 다해 맞이하는 고풍을 간직하고 있다. 필자는 ‘전라도 사람’으로서 수년 동안 안동 일대를 여러 차례 답사했는데, 그때마다 안내를 맡은 청년유도회(靑年儒道會)의 정성어린 접대를 받으면서 접빈객의 유풍(遺風)이 살아 있음을 실감한 바 있다.v 그런가 하면 종가에 대한 애착도 각별한 것 같다. 종손의 자녀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워서 대학 등록금을 내지 못하면 지손들이 십시일반으로 돈을 갹출해서 대신 내주는가 하면, 종가의 건물을 보수하고 선조들의 문집을 번역 출판하는 이른바 ‘보종(補宗)’에도 아주 열심이다. 전국적으로 볼 때 조선시대 선비들의 문집 간행이 가장 활발한 곳 역시 이곳이다.

수백년 역사를 지닌 종택들이 가장 많이 보존되고 있는 곳도 안동 일대라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의성김씨, 진성이씨, 안동권씨, 고성이씨, 하회류씨, 전주유씨, 재령이씨, 광산김씨 등등 명문종택 수십 군데가 안동, 봉화, 영양 일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종택이 안동 일대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과거에는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 일대에도 많이 있었다. 하지만 일제 36년의 굴욕, 6·25전쟁의 겁살, 산업화로 인한 인구의 대도시 집중, 그리고 유교의 봉제사가 광복 이후 전파된 기독교의 반제사(反祭祀)와 정면으로 문화적 충돌을 겪는 과정에 유교적 풍습과 그를 뒷받침하던 종택(종가)들은 서서히 사라지고 와해돼 왔다.


그러한 역사의 풍파를 겪으면서도 유독 안동 일대만큼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유교문화의 순도를 유지하고 있다.


왜 그런가? 오늘날 안동 일대에 유교문화 또는 양반문화가 비교적 많이 보존돼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안동 내앞의 의성김씨 종택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묻지 않을 수 없는 질문이다.


풍수가에서 지목하는 영남의 4대 길지는 경주의 양동마을(良佐洞), 풍산의 하회(河回), 임하(臨河)의 내앞, 내성(乃城)의 닭실(酉谷)을 꼽는다. 양동마을은 건축학자 김봉렬의 표현에 따르면 조선시대의 평창동에 해당되는 고급주택지로서 손중돈과 이언적의 후손들이 사는 곳이다. 하회는 겸암과 서애로 상징되는 류씨들 동네고, 내앞은 의성김씨, 닭실은 충재의 고택으로 뜰 옆 거북바위 위에 앉아 있는 청암정(靑巖亭)으로 유명한 곳이다.


그런데 4대 길지 가운데서 양동마을을 제외한 세 군데, 즉 하회·내앞·닭실이 안동 부근에 몰려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택리지’의 4대 길지


그런가 하면 ‘택리지(擇里志)’의 저자 이중환(李重煥, 1690∼1752년)은 조선에서 양반선비가 살 만한 가장 이상적인 장소로 경북 예안(禮安)의 퇴계 도산서원이 있는 도산(陶山)·하회·내앞·닭실을 꼽았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반 풍수가에서 꼽는 영남의 4대 길지와, ‘택리지’에서 지목한 4대 길지 가운데 세 군데가 중복된다는 점이다. 하회·내앞·닭실이 그렇다. 이중환은 경주의 양동마을 대신 퇴계가 살던 도산을 포함시킴으로써 안동 일대 네 군데를 모두 조선의 베스트 명당으로 꼽은 것이다.


이중환은 어떤 기준으로 안동 일대를 선비의 가거지(可居地)로 본 것일까? 여기에는 이중환이 살던 당대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유교적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중환이 생각하였던 길지의 기준은 첫째 지리, 둘째 생리(生利), 셋째 인심(人心), 넷째 산수(山水) 네 가지였다. ‘택리지’에서 안동 일대를 선비가 살기에 최적지라고 지목한 이유는 이상 네 가지 조건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 네 가지 조건을 필자의 소견으로 다시 한 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즉 풍수를 보자. 경상도는 충청과 호남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산세가 높고 가파른 편이지만, 안동 일대만큼은 예외적으로 높지 않은 산들이 고만고만하게 포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바위가 뾰족뾰족 돌출된 악산(惡山)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문사(文士)들이 좋아하는 온화하고 방정한 산세에 가깝다.


한반도 전체의 지맥을 놓고 보자면, 척추인 백두대간에서 부산 쪽으로 내려가는 낙동정맥과 태백산에서 방향을 틀어 속리산 쪽으로 내려가는 다른 한 맥의 분기점 중간에 안동 일대가 있다.


흔히 기공(氣功)이나 단전호흡, 쿤달리니 요가를 수련하는 방외일사(方外逸士)들 사이에 종종 화제에 오르는 ‘양백지간(兩白之間)’이 바로 이곳이다. 양백지간이란 태백산과 소백산 사이를 일컫는 표현으로, 크게 보면 안동 일대, 즉 봉화, 춘양, 안동, 영양 지역이 양백지간에 해당하는 곳이다.


흰 백(白)자가 들어가는 산들은 백의민족이 정신수련을 하기에 적합한 산이라고 일컬어지는데, 태백과 소백은 바로 그러한 신령한 산일 뿐 아니라 이 지역 일대가 현재까지 남한에서 가장 덜 오염된 지역이고 기운이 맑은 곳이라고 평가된다. 경상도가 충청이나 호남보다 먼저 공업화의 길을 걸었지만 주로 낙동강 중하류인 대구와 부산 쪽이 오염되었지, 낙동강 상류인 이곳 양백지간은 오지라서 공장도 거의 들어서지 않은 덕택에 현재도 비교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둘째, 경제적 조건인 생리 부문이다. 조선시대의 가치관으로 볼 때 사대부가 장사를 하면서 재리(財利)를 취할 수는 없었고, 기껏 한다면 농사나 짓고 사는 일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경상도의 산간지역보다는 호남의 넓은 평야지대가 농사짓기에 훨씬 유리할 것 같다. 그러나 이 부분에 대해서 지리학자 최영준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호남평야의 범위가 현재보다 훨씬 좁았으며, 바닷가의 들(갯땅)에는 소금기가 많고 관개시설의 혜택을 고르게 받지 못하여 한해와 염해를 자주 입는 곳이 많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들판보다는 약간 내륙 쪽의 고래실(구릉지와 계곡이 조화를 이룬 지역)에 사대부들이 많이 거주하고 바닷가의 들에는 주로 가난한 농민이 거주하였다. … 기계화의 수준이 낮은 농경사회에서는 홍수의 피해가 크고 관개가 어려운 대하천보다 토양이 비옥하고 관개가 용이한 계거(溪居)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최영준, ‘국토와 민족생활사’, 84쪽)


조선시대에는 관개시설도 부족하고 염해가 발생하는 평야보다는 오히려 내륙의 냇물이 흐르는 곳이 농사짓기에 적합했다는 지적이다. 산이 많지만 그렇다고 해서 지나치게 높은 산도 아니라서 적절한 구릉과 계곡이 이곳 저곳에 형성되어 있는 낙동강 상류지역은 바로 이러한 입지조건에 해당한다.


지형도에 나타난 지명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에 의하면, 지명에 계곡을 나타내는 골(谷)이라는 접미어가 붙은 곳이 조선시대 안동부에 속하는 안동, 봉화에 각각 27%와 28%로 전국 최고 비율을 점하고 있으며, 골과 같은 의미인 ‘실’과 ‘일’을 더하면 35%, 32%로 역시 전국 평균 19%보다 훨씬 높다고 한다(정원진, ‘한국인의 환경지각에 관한 연구’, 1983)

조용헌 - 한국의 명가 명택 (의성김씨 내앞(川前) 종택 역사.인물)




   

게시물 1,284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9
고중숙의 사이언스크로키 영화 <허리케인>에서 백인 처녀는 열대섬의 원주민 청년에게 마음이 끌린다. 둘은…
초인 09-30 1582
98
[한국의 명가명택] 충남 예산의 추사 김정희 고택 문자향(文字香)과 서권기(書卷氣) 감도는 명당 추사 김정희가 …
깡통박사 09-30 2310
97
지리적 안목으로 분석 경북 영양군 일월면의 주실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이처럼 지조와 학문을 갖춘 인물들이 집…
깡통박사 09-30 1983
96
[기고] 윤달과 생활풍습   금년 병술년에는 음력으로 7월달이 두 번 들었다. 이럴 경우에 그해 윤달이 들었다…
초인 09-30 2399
95
                              1950년대 뉴욕의 할렘 …
깡통박사 09-30 1623
94
삼십육계의 여러 가지 다양한 술수는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보완성의 근원에는 심오한 사…
깡통박사 09-30 2230
93
소나기는 피하는 것이 좋다. 가랑비는 별 생각없이 그냥 맞으면서 가다가는 푹 젖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 "젖는…
깡통박사 09-30 1923
92
지조론’ 낳은 370년 명가의 저력 재물과 사람과 문장을 빌리지 않는 ‘삼불차(三不借)’ 원칙을 370년간 지켜온 …
깡통박사 09-30 2177
91
지금 한국의 곳곳에는 온갖 고수(高手)들이 포진해있다. 경남 김해에는 전통 염색에 일생을 바친 고수가 있고, 전…
깡통박사 09-30 1945
90
‘황제내경(黃帝內經)’ 운기편(運氣篇)을 1만 독(讀)이나 했던 함경도 출신의 천재 한의사 한동석(韓東錫·1911~ …
깡통박사 09-30 1693
89
성격과 운명의 비밀 코드, 12동물 띠 이야기   쥐띠·들끓는 색욕소띠·만삭의 모태호랑이띠·어짊과 포악의 …
깡통박사 09-30 1631
88
사주 명리학은 통계학인가?   흔히들 사주 명리학은 통계학이 아닌가 하는 얘기가 있다. 과연 그럴까?  &…
초인 09-30 2510
87
"소질을 알면 성공이 보인다"   [프레시안 강양구/기자]  <프레시안>에 연재되고 있는 "CEO출신 역…
초인 09-30 1699
86
종택의 비보 풍수 의성김씨 내앞 종택의 풍수적인 여러 조건은 별로 흠잡을 것이 없으나, 한 가지 수구(水口)가 …
깡통박사 09-30 2162
85
[한국의 명가 명택] 경주 최부잣집 경주 최부잣집9대 진사 12대 만석꾼 배출한 재력가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은 하…
깡통박사 09-30 2179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2-569-9194
               평일 오전 10시~오후7시,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4시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11-23 임대* (男) 택일
11-21 고현* (男) 사주
11-19 이선* (女) 사주
11-18 박종* (男) 사주
11-16 박건* (男) 사주
11-16 최준* (男) 택일
11-14 김영* (男) 사주
11-13 손현* (女) 사주
11-12 간미* (男) 사주
11-09 허수* (女checked) 사주
상담후기
상담후기 적극추천
박진우 | 조회수 : 3755
도서 구입 (1) 적극추천
한지민 | 조회수 : 296058
우리들의 얼굴 적극추천
이성민 | 조회수 : 21471
안녕하세요 적극추천
김수향 | 조회수 : 8681
감사합니다 적극추천
김지은 | 조회수 : 11314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348785]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340418]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34760]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344333]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349828]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347868] (2)
아들의 외고합격 [365077] (2)
젊은 여성의 임신 [300986] (1)
재벌 회장의 사주 [356635] (2)
유명가수의 사주 [352238] (1)
보험설계사 [35397]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381493]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370407]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사주초급반

사주중급반

사주전문가반

육효반

신수작괘반

성명학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찾아오시는 길

select sum(IF(mb_id<>'',1,0)) as mb_cnt, count(*) as total_cnt from g4_login where mb_id <> 'admin'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