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원 | 즐겨찾기 
공지
원제역학연구원 홈페이지 오픈 (10)

11.25 (월)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생활역학이야기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게시물 1,284건
   
신언서판(身·言·書·判)과 사람의 운명
초인 2017-11-09 (목) 09:50 조회 : 2713

“눈에 총기 넘치면 短命運,박정희는 觀相보다 목소리 좋아 대통령 됐다”



身·言·書·判과 사람의 운명



身·言·書·判. 오랜 세월 동안 동양사회에서 인물을 평가할 때 적용하던 기준이다. 그중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마지막 기준인 判이다. 身·言·書를 보는 이유도 최종적으로 판단력을 보기 위해서다. 그런데 판단력에는 두가지가 있다. 바로 理判과 事判이다. 대체적으로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 종합해 내리는 합리적 판단이 事判이고 직관적이고 영적 차원에서 내리는 판단이 理判이다. 사주명리학이란 바로 理判의 세계를 다루는 학문인 것이다. 무턱대고 운명을 먼저 알려고 하는 것은 명리학을 하는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인간으로서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한 뒤 마음을 가다듬어 하늘의 뜻을 묻는 ‘先事判 後理判’의 자세가 올바른 태도인 것이다. <편집자 주>


신·언·서·판(身·言·書·判). 오랜 세월 동안 동양사회에서 인물을 평가할 때 적용하던 기준이다. 신(身)이란 관상(觀相)을 일컫는다. 남자의 관상을 볼 때 포인트는 눈이다. 정기(精氣)는 눈에서 표출된다고 본다. 그러나 지나치게 눈빛이 형형하게 빛나면 총기는 있지만 장수(長壽)하지 못한다고 본다. 도교 내단학(內丹學)에서 말하는 인체의 3가지 보물(三寶)은 하단전(下丹田)의 에너지인 정(精)과, 중(中)단전의 에너지인 기(氣), 그리고 상(上)단전의 에너지인 신(神)이다.

눈빛에서 나오는 총기는 신에서 나오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가공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원유가 정이라고 한다면, 원유를 어느 정도 가공해 나온 석유가 기이고, 상당히 가공해 나온 휘발유가 바로 신에 해당한다. 휘발유는 상당히 가공된 것이어서 귀하고 비싼 기름이다. 그러므로 평소에도 신이 항상 빛난다는 것은 비싼 휘발유인 신이 지나치게 과소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은 기에서 나오는 것이고, 기는 다시 정에서 생산되는 것이므로, 신을 많이 소비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하단전의 정과 중단전의 기도 이에 비례해 빨리 고갈되게 마련이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위치를 꺼놓아야지 항상 스위치를 켜놓고 있으면 배터리가 빨리 방전되는 이치다. 그러므로 관상가들은 눈빛이 지나치게 반짝거리면 빨리 죽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눈에 총기가 가득한 천재들이 대체적으로 장수하지 못하고 빨리 죽는 것은 이 때문인 것 같다. 회광반조(回光返照). 빛을 돌려 아랫배를 관조하라는 말은 눈의 총기를 밖으로 품어내지 말고 내면으로 감추라는 말이다.

자기 몸을 감추는 둔갑술이란 바로 눈빛을 감추는 일이다. 인도의 성자(聖者) 라마나 마하리쉬의 눈빛을 보라! 지극히 고요하고 편안하면서도 보는 사람을 감동시켜 버리는 눈빛이다. 오사마 빈 라덴의 눈빛도 수준급이다. 사람을 폭발시켜 버리는 테러리스트답지 않게 고요하고 편안한 눈빛이다. 이미 죽음을 받아들인 사람의 눈빛으로 보인다. 기도를 많이 한 것 같다.

관상을 볼 때 또 하나의 포인트가 찰색(察色)이다. 얼굴의 색깔을 보는 일이다. 얼굴 생김새와 윤곽은 선천적으로 타고나지만, 얼굴색은 그때그때 상황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한다. 찰색을 일명 ‘기찰’(氣察)이라고도 부른다. 사람의 장기 운세는 관형(觀形)을 가지고 판단하지만, 눈앞에 직면한 단기적인 운세의 판단은 찰색을 보고 예감한다. 예를 들어 이마에서 빛이 나면 관운이나 승진운이 있다고 판단하고, 양쪽 눈 중간의 콧대 부분이 시커멓게 보이면 조만간 죽을 수도 있다고 본다.

관상의 대가들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찰색의 핵심은 관상을 볼 때는 반드시 한낮인 정오에 나무그늘 밑에서 보아야 한다고 한다. 정오는 태양이 중천에 떠서 자연광이 가장 밝은 시점이다. 그러나 너무 밝아 얼굴의 미세한 명암을 볼 수 없다. 나무그늘 밑은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곳이므로 음양이 균형잡힌 지점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조도(照度)다. 저녁때 카페 불빛 아래서는 찰색을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다. 결국 조도가 가장 균형을 갖추는 시점에 보라는 말이다.

사주를 보려면 생년월일시를 만세력(萬歲曆)에서 찾아 십간십이지의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이지만, 관상은 상대방의 얼굴을 한눈에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주에 비해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필자는 관상을 돈오(頓悟:한순간의 깨달음)에 비유하고 사주는 점수(漸修:점진적으로 닦음)에 비유하곤 한다.중세에 서양 귀족들이 사람을 만나러 출장갈 때 반드시 대동하는 두 사람이 있었는데, 한명은 이발사이고 다른 한명은 관상가였다고 한다. 정치나 사업이나 결국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일이고, 상대를 겪어보기 전에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상만큼 효율적인 방법이 없다.

관상을 제대로 마스터하려면 의학까지 공부해야만 하고 최소한 1만명 정도의 임상실험을 거쳐야 경지에 들어설 수 있다고 한다. 내공(內功)의 힘은 이론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니라 임상실험의 횟수에 비례한다. 경험의 두께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관상의 대가는 하루아침에 배출될 수 없다. 20~30년의 누적된 투자가 필요한 것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 사회에는 관상의 고수들이 많이 있었지만, 관상 보는 일이 사회적으로 천한 직종으로 여겨지다 보니 소질 있는 젊은 사람들이 이 업종(?)에 입문하기를 꺼려해 현재는 후계세대가 거의 단절되다시피 했다.


전설적인 ‘觀相 大家’ 백운학 이야기

근래에 우리나라에서 관상의 대가를 꼽으라면 단연 백운학(白雲鶴)이다. 1970~80년대까지 서울에는 백운학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관상가가 상당수 활동했을 만큼 백운학은 관상계에서 전설적인 인물이다. 그러나 원조 백운학은 요즘 사람이 아니라 구한말 대원군 시대에 활동했던 인물이다. 역문관 유충엽 선생으로부터 들은 바에 의하면 백운학은 경북 청도 사람이라고 한다.

그는 젊었을 때 청도 운문사(雲門寺)에 있던 일허선사(一虛禪師)를 만나 관상학의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신상전편(神相全篇)을 사사(師事)받았다. 백운학은 일찍이 관상에 소질을 보였던 모양이다. 일허선사는 백운학에게 “너는 애꾸가 되어야 한다. 한쪽 눈이 없는 애꾸가 되어야 사람들을 정확하게 볼 수 있다”고 충고하였다. 일허선사의 가르침에 따라 백운학은 멀쩡했던 한쪽 눈을 담뱃불로 지져 진짜 애꾸로 만들었다. 그러한 대가를 치르면서 백운학은 관상의 깊은 경지로 들어갔던 것 같다.

청도에서 관상수업을 마친 백운학은 어느날 한양으로 올라온다. 당시 대원군이 살던 운현방(현재 운현궁이 있는 자리)을 찾아가 마당에서 팽이를 치고 있던 13세 소년 명복(命福) 도련님에게 “상감마마 절 받으십시오”하고 땅바닥에서 큰절을 올린다. 열세살 먹은 어린아이에게 임금이라면서 큰절을 올렸다는 보고를 받은 대원군은 하도 황당해 애꾸눈 백운학을 불러 자초지종을 묻는다.

백운학이 말하기를 “제가 한양에 와서 보니 이곳 운현방에 왕기(王氣)가 서려 있음을 보았습니다. 저기서 팽이를 치고 있는 명복 도련님은 제왕(帝王)의 상을 갖춘 분이라서 큰절을 올린 것입니다”라고 했다. 그러고 나서 백운학은 대원군에게 복채를 요구했다. 대원군이 얼마를 주면 되겠느냐고 묻자 “제왕의 상을 보았는데 3만냥은 주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지금 달라는 것이 아니고 4년 후에 주시면 됩니다” 했다.

3만냥이면 엄청난 거액이었다. 하지만 당시 대원군은 돈이 없던 시절이라 복채를 곧바로 줄 수는 없었고, 약속어음 비슷한 증서를 백운학에게 써 주었다고 한다. 과연 그로부터 4년후 명복 도련님은 고종으로 즉위하였고, 그 소식을 들은 백운학은 복채를 받기 위해 대원군이 써준 어음을 들고 운현방으로 찾아갔다. 대원군을 찾아갈 때 백운학은 당나귀 4마리를 끌고 갔다고 한다. 당나귀 4마리는 3만냥의 엽전을 싣기 위한 용도였음은 물론이다.

3만냥의 복채 외에도 백운학은 대원군에게 벼슬을 요구하였다. 벼슬도 못하고 죽으면 신위(神位)에 ‘현고학생’(顯考學生)이라고 써야 하니 학생(學生)을 면하기 위해서였다. 결국 백운학은 복채로 3만냥과 함께 청도 현감이라는 벼슬까지 받았다고 하니 배포 한번 대단했던 셈이다.
이러한 연유로 해서 백운학의 명성은 전국적으로 알려졌고, 이후 조선팔도에는 수많은 가짜 백운학이 탄생하게 된다.

여기저기 백운학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관상가가 하도 많아 1990년대 중반 정보기관에서 전국의 백운학이 과연 몇명인가를 조사한 적이 있었다. 그때 조사된 숫자가 29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광주에서는 3명의 백운학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웃지 못할 사실은 그 3명의 백운학이 모두 같은 빌딩에서 영업하고 있었다고 한다. 서로 자기가 진짜 백운학이라고 주장하였음은 물론이다.




관상과 사주는 頓悟漸修의 상호 보완적 관계

필자도 사주를 연구하다 보니 그 사람의 태어난 시가 불확실할 때는 관상을 참고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상과 사주는 돈오점수(頓悟漸修)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다. 필자는 관상을 제대로 배우기 위해 재야의 숨어 있는 관상의 대가들을 수소문한 바 있다. 그 과정에서 전혀 뜻밖에도 재야(在野)가 아닌 대학교수 가운데 관상에 깊은 조예를 가진 인물을 알게 되었다. 원광대 서예과 김수천 교수의 소개로 만나게 된, 1997년 당시 성균관대 미대 교수로 있던 이열모(70) 교수가 바로 그 분이다.

지금은 정년퇴직하고 서울 팔판동의 한 미술관 관장으로 있다. 당시 이열모 교수를 만나 관상에 얽힌 이야기들을 듣게 되었다. 이교수로부터 들은 관상담(觀相談) 가운데 유명한 일화가 내무부 장관을 지낸 안응모씨의 승진을 알아맞춘 이야기다. 안응모씨는 말단 경찰 공무원으로 시작해 장관에까지 오른 입지전적 인물이다. 친구였던 안응모씨가 승진할 때마다 이교수는 관상을 보고 그 사실을 미리 알아맞췄는데, 3번 예언에서 3번 모두 적중하였다.

“자네 언제쯤 승진할 것 같네”하면 어김없이 그 시기쯤 안응모씨가 승진하곤 했던 것이다. 이교수가 관상을 잘 본다는 소문이 나자 그의 화실로 사람들이 몰려와 관상을 봐달라고 사정하는 통에 화실을 여러번 옮겨야만 하는 고통도 겪었다. 미국 조지워싱턴대 유학시절에도 친분 있는 교포들이 관상을 보러 오기도 하였다. 아무튼 박대통령만 제외하고 이후락 정보부장, 박종규 경호실장을 비롯한 정·관계 모모한 인사들이 중간에 사람을 넣어 이교수에게 자신들의 관상평(觀相評)을 부탁하곤 하였다. 직업적인 술객(術客)이 아니고 동양화를 전공한 현직 대학교수였던 만큼 더욱 신뢰감이 갔던 것일까!

이교수가 처음 관상을 배우게 된 인연도 재미 있다. 그는 서울대 동양화과에 다니다 6·25를 만나 부산으로 피난을 갔다. 피난한 사람이 많아 조그만 여인숙 방 하나를 어떤 영감님과 함께 사용해야만 했다. 그런데 이 영감님이 관상의 대가 김재학씨였다. 같은 여인숙 방에서 피난살이하던 대학생 이열모의 관상을 보고 “너는 난리통에도 절대 죽지 않는다. 그 다음에는 언제 대학교수가 되고 이후 이러저러하게 살 것”이라고 예언했다.

결과적으로 지나온 인생을 되돌아보면 이 양반이 했던 예언은 거의 적중했다는 것이 이교수의 술회다. 김재학씨를 통해 이교수는 관상의 세계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 데다 서울대 미대 재학시절 부처상을 소묘하면서 ‘부처님의 얼굴을 왜 이렇게 조성하였을까. 32상 80종호는 무엇인가. 가장 이상적인 성자의 얼굴은 어떤 모습일까’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길을 가거나 버스를 타면 사람들의 얼굴을 유심히 뜯어보곤 하였다.

6·25 이후 어느날 대학생 이열모는 우연히 서울 소격동쪽을 지나가다 우연히 어느 관상 보는 집에 들르게 되었다. 관상과 인연이 있어서였는지 거기에는 부산 여인숙에서 만났던 김재학씨가 관상을 보고 있지 않은가. 그때부터 시간날 때마다 이교수는 김재학 선생에게 놀러 갔고, 유망한 제자가 들를 때마다 김재학씨는 관상의 핵심을 전수해 주었다. 하지만 김재학 선생은 이열모에게 “자네는 관상에 타고난 소질이 있어서 조금만 더 공부하면 이 분야의 대가가 될 수 있지만, 관상쟁이라는 것이 천대받는 직업이니 대학교수를 하라”고 충고하였다.

이열모 교수는 한동안 관상의 적중도에 심취했으나 40대 후반 들어서면서 다른 사람의 앞날을 미리 안다는 일이 무섭게 느껴질 뿐더러 동시에 허무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 뒤로는 관상 보는 것을 중단하였다. 다만 대학에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4학년 졸업할 무렵에는 진로 선택에 관련된 조언만큼은 해주었다. 1997년 이열모 교수를 만나 관상 이야기를 나누면서 필자는 이교수에게 ‘한국의 관상학’에 대한 책을 하나 써 주시면 어떻겠느냐고 엉뚱한(?) 부탁을 드린 적이 있다. 사실 이 분야는 한국의 이면문화사(裏面文化史)요, 생활사에 해당하기도 한다. 미술 평론에 관한 책이야 선생이 아니라도 쓸 사람이 많지만, 관상에 대한 내용은 이열모 교수 같은 분이 책을 써 놓지 않으면 영영 사라져 버리고 만다.


“박정희는 金聲, YS는 木聲”

신(身) 다음에는 언(言)이다. 언이란 그 사람이 말을 얼마나 조리있게 하는가를 보는 일이다. 언을 조금 깊게 들어가면 목소리의 색깔(voice color)을 분석해 보는 일이 중요하다. 어떤 사람은 보이스 컬러를 가리켜 성문(聲紋)이라고도 표현한다. 사람마다 지문(指紋)이 다르듯 목소리의 결인 성문도 각기 다르다는 것이다. ‘관상(觀相)이 불여음상(不如音相)’이라는 말은 관상보다 음상이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이런 말이 있을 만큼 목소리는 인물 됨됨이를 판단할 때 근본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고(故) 박정희 대통령의 경우가 바로 여기에 해당하는 사례다. 박대통령은 관상보다 목소리가 좋아 대통령이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1970년대 박대통령이 대중연설하는 목소리를 들어보면 마치 종을 때리는 것 같은 카랑카랑한 쇳소리가 나왔다. 이를 오행으로 분석하면 금(金) 기운의 목소리로 본다. 금의 성질은 과감하고 결단력이 있으므로, 그 사람의 목소리에서 쇳소리가 나오면 금성(金聲)으로 분류한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목소리는 전형적인 목성(木聲)이다. 목의 기운이 많은 목소리는 맑고 우렁찬 느낌을 준다. 목은 오행에서 인(仁)을 상징하기 때문에 목성의 소유자는 인정이 많다고 한다. 목성은 제자들을 많이 키우는 학자들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사람마다 각기 목소리가 다른 이유는 인체 내의 오장육부(五臟六腑)가 각기 다른 데서 연유한다. 목소리는 그 사람의 오장육부의 진동에 따라 나오는 것이고, 사람마다 장기의 크기와 강약이 다르므로 목소리의 컬러도 각기 다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오장(五臟) 가운데 상대적으로 비장이 강한 사람의 목소리 톤은 ‘음 -’ 소리가 강하고, 폐장이 강한 사람은 ‘아 -’ 소리가 강하다. 간장이 강한 사람은 ‘어 -’ 소리가 강하고, 심장이 강한 사람은 ‘이 -’ 소리가, 신장이 강한 사람은 ‘우 -’ 소리가 강하게 나온다. 음·아·어·이·우 5가지 소리는 각각 비장·폐장·간장·심장·신장과 연결되어 있다.

음·아·어·이·우의 음높이는 전통 음계인 궁·상· 각·치·우와 나란히 만난다. 궁에 해당하는 ‘음-’ 소리가 가장 낮은 소리이고 ‘우-’ 소리가 가장 높은 소리다. 그 사람의 목소리를 들어보아서 ‘음’ 소리가 강하게 나오면 이 사람은 오장 중에서 비장이 튼튼하고, 그 성격은 군왕의 성품이 있다고 판단한다. 음 소리가 지나치게 강하면 교만한 성품일 수 있다. 적당하면 군왕의 위엄이 있는 좋은 목소리이지만 지나치면 다른 사람의 말을 듣지 않는 교만한 성격일 가능성이 있다. ‘아 -’소리는 폐장에서 나오는 소리로 노(怒)하는 마음이 들어 있다. ‘어 -’는 원망하는 마음이, ‘이 -’는 슬픈 마음이, ‘우-’는 신장에서 나오는 소리로 음란한 마음이 들어 있다.

이러한 각도에서 볼 때 서양음악의 여자 소프라노들이 내는 소리들은 ‘우 -’소리에 해당한다. 이는 곧 음란한 소리, 즉 섹슈얼한 소리인 것이다. ‘우 -’소리는 신장에서 나오고, 신장이 강한 사람들은 수기(水氣)가 강해 다분히 섹스를 즐길 수 있는 사람들이다. 참고로 과로해서 피곤할 때 목젖(편도선)이 먼저 붓는 사람은 신장이 약하다는 표시이고, 어금니가 솟는 사람은 간장이 약하고, 혓바늘이 솟는 사람은 심장이 약하고, 입술이 부르트는 사람은 비장(위장)이 약하고, 앞니가 솟는 사람은 폐장이 약한 증거로 본다.

음상을 본다는 것은 이러한 음·아·어·이·우와 같은 소리의 기준에 맞추어 그 사람의 목소리를 분석해 보고, 그 분류 등급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과 행동양식을 미리 짐작해 보는 작업이다. 목소리는 인격의 표상인 것이다. 이는 또한 마음을 수양하는 수련 방법에도 이용되었다. 신장이 약한 사람은 ‘우 -’소리를 집중적으로 연습하면 신장이 강화된다. 심장이 약하면 ‘이 -’ 소리를 집중적으로 발성하면 효과가 있다. 다른 내장 기관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음·아·어·이·우’ 발성 수련법은 ‘정역’(正易)의 저자이기도 한 김일부(金一夫·1826~98) 선생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리된 바 있다. 김일부는 조선 초기 서화담에서 시작하여 이토정-이서구-이운규로 내려오는 조선의 도맥(道脈)을 이어받은 도학자다. 그는 ‘음·아·어·이·우’를 길게 반복하여 소리내면서 춤추고 노래부르는 ‘영가무도’(靈歌舞蹈)의 수련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오늘날 ‘음·아·어·이·우’의 영가무도 수련법은 일부 선생을 추종하는 정역파(正易派)를 통해 전해 내려온다. 충남대 총장을 지낸 이정호(李正浩) 선생과 그 뒤를 이은 권영원(權寧遠) 선생이 전법 제자들로, 필자는 대전에 사는 권영원 선생을 통해 이러한 한국 고유의 음상학(音相學)을 접할 수 있었다.


“에라, 이판사판이다”가 뜻하는 것

서(書)는 글씨다. 좁은 의미로는 글씨체를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문장력을 말한다. 요즘이야 붓을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 자판을 통해 글을 쓰는 세상이어서 글씨체는 별 의미가 없다. 대신 문장력은 여전히 힘을 발휘한다. 한국사회의 여론은 여전히 글을 쓰는 칼럼니스트, 신문기자, 논객, 작가들이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런 만큼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상당한 능력이라 아니할 수 없다. 자기 생각의 50%만 말로 표현할 수 있어도 그 사람은 웅변가라고 할 수 있고, 자기 말의 50%만 글로 전달할 수 있어도 그 사람은 대단한 문장가에 속한다.

‘판’(判)은 무엇인가. 판단력이다. 신과 언과 서를 보는 이유는 최종적으로 판단력을 보기 위해서다. 결국 판단력에서 인간의 능력은 결판난다. 인생사는 ‘예스’냐 ‘노’냐 하는 판단의 연속이다. 결정적인 순간에 판단 한번 잘못 내리면 만사가 끝장날 수 있다. 지도자의 자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첫번째 능력 역시 판단력이다. 그런 만큼 신언서판 중에서 필자는 판단력이 가장 중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판단에는 두가지 차원이 있다. 하나는 이판(理判)이고 다른 하나는 사판(事判)이다. 이 둘을 합쳐 흔히 ‘이판사판’이라고 한다. 이판사판의 어원은 불교의 ‘화엄경’에서 유래하였다. 불교 경전 중에서 최고의 경전이라고 일컬어지는 ‘화엄경’에서는 인간사의 범주를 이(理)와 사(事)로 파악한다. 이는 본체의 세계이고 사는 현상의 세계이다. 이는 눈에 안 보이는 형이상(形而上)의 세계이고 사는 눈에 보이는 형이하(形而下)의 세계이기도 하다.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고 할 때 이는 공(空)의 세계이고, 사는 색(色)의 세계와 같다. 양자는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같으면서도 다른 관계에 있다. 같으면서도 다르다는 점이 사람을 헷갈리게 만든다. ‘화엄경’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인격은 이판과 사판에 모두 걸림이 없는 경지의 인격이다. 대체적으로 사판은 데이터를 분석 종합하여 내리는 합리적인 판단이고, 이판은 직관적이고 영적인 차원에서 내리는 판단이다. 예를 들어 처녀 총각을 중매할 때 신랑의 학벌·직업·외모·집안을 따지는 것은 사판에 속한다. 그러나 조건이 좋다고 해도 둘이 만나 백년해로할 것인가는 100% 장담할 수 없다. 조건이 좋다고 무조건 잘 사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두 사람의 생년월일시를 놓고 사주와 궁합을 본다. 사주와 궁합을 보는 작업이 이판에 속한다. 사판 능력은 인생경험에 비례해 증가하지만, 이판능력은 경험세계와 데이터를 초월한 영역이므로 이 분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판과 사판이 모두 좋게 나오면 일은 거의 성사된다. 이판사판이면 더 이상 생각할 필요 없이 밀어붙인다는 뜻에서 “에라, 이판사판이다”라는 말이 나왔다.

여기서 유의할 대목은 무턱대고 사주·궁합부터 볼 일은 아니라는 점이다. 먼저 사판을 충분히 검토하고 그 다음에 이판을 보는 것이 순서다. 합리적인 과정을 한번 거쳐 신비적인 영역으로 들어가는 수순이 지혜로운 자의 태도다. 이름하여 ‘선사판(先事判) 후이판(後理判)’이다.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의 창시자인 중국의 주자(朱子)도 인생 후반부에는 사판을 거친 다음 이판을 내린 사례가 발견된다.

당시 주자는 조정의 권력자를 비판하는 상소문을 황제에게 전달하려고 하였다. 그러자 주자의 제자들이 이를 적극 반대하였다. 아무리 옳은 내용이라도 권력자를 비판하면 틀림없이 화를 입는다고 만류하였다. 주자는 상소문을 올리려고 하고 제자들은 반대하고…. 그러다 마침내 주역의 괘(卦)를 뽑아 결정하기로 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그때 뽑은 괘가 바로 천산둔(天山遯)괘였다고 전해진다. 64괘 중에서 33번째 괘로서 위에는 하늘(乾)이 있고 아래로는 산(艮)이 있는 괘다. 이 괘의 내용은 물러가 은둔하라는 뜻이다. 돈괘(遯卦)를 뽑은 주자는 스스로를 둔옹(遯翁)이라 자처하면서 상소를 포기하고 운둔하였다. 주자는 제자들과 충분히 토론을 거친 다음 결판이 나지 않는 상황에 이르자 마지막에 점을 쳤던 것이다.

처음부터 무턱대고 점을 친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하지만 50대 50으로 결판이 나지 않는 모호한 상황에서 자존심을 내세워 무리하게 결정을 내리는 행위도 지혜가 없는 자의 태도다. 주자 같은 인물도 마지막에는 경건하게 마음을 가다듬고 하늘의 뜻을 묻는 점을 쳤던 것이다. 점을 우습게 볼 일도 아니라는 말이다. 점의 역사는 5,000년이 넘는다. 인류문명과 함께 해온 것이 점이다. 필자가 생각할 때 주자의 판단은 이판과 사판의 종합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다.


한국 명리학의 3대 거인 이석영·박재완·박재현

이판 가운데 대표적인 방법이 사주명리학에 의거한 판단이다. 그러자면 유능한 명리학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의사라고 다 같은 의사가 아니다. 명의가 있고 돌팔이가 있듯 명리학자의 수준도 천층만층이다. 고수(高手)는 명리학자라 부르고 하수(下手)는 사주쟁이라 부른다. 필자가 꼽는 근래 한국 명리학계의 ‘빅3’는 자강(自彊)이석영(李錫暎·1920~83), 도계(陶溪) 박재완(朴在琓·1903~92), 제산(霽山) 박재현(朴宰顯·1935~2000)이다.

만약 명리(命理)를 겨루는 메이저리그가 있어서 한국의 빅3가 동반출전한다면 그야말로 환상적인 드림팀이 되지 않았을까. 아마 3명 모두 20승 이상은 거뜬히 올렸을 것이다. 필자는 돈이 좀 생기면 한국에서 ‘세계예언자리그’를 개최할 계획이다. 여차하면 미국에 있는 에드가 케이시(Edgar Cayce·1877~1945)재단과도 협조할 방침이다. 한국에서 ‘세계 예언자리그’가 열리면 CNN이 도시락 싸들고 중계하러 오지 않을까. 매우 인상적인 이벤트사업이 될 것이다.

이제 이판의 대가였던 한국의 빅3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해 보자.
빅3 가운데 가장 먼저 작고한 자강 선생에 관한 이야기부터 해볼까 한다. 자강을 빅3에 포함시킨 이유는 그의 학문적 업적에 있다. 자강이 한국 명리학계에 기여한 최대 공로는 ‘사주첩경’(四柱捷徑) 총 6권을 저술하였다는 데 있다. ‘사주첩경’ 6권의 비중을 비유하자면 의학의 ‘동의보감’에 해당된다.

‘사주첩경’은 한국 명리학계의 ‘동의보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허준이 ‘동의보감’을 저술함으로써 조선의 의학이 중국의 권위로부터 독립할 수 있었듯, 필자는 이석영의 ‘사주첩경’이 성립되면서 한국의 명리학계는 중국의 권위로부터 독립할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독립이란 바로 토착화가 이루어졌음을 말한다. 토착화 없이는 로열티를 지불하면서 영원히 끌려다닐 수밖에 없다. 그동안 한국에서 사주명리학을 배우려면 철저히 중국의 원전에 의지하여야만 했다.

‘연해자평’(淵海子平) ‘명리정종’(命理正宗) ‘적천수’(滴天髓) ‘삼명통회’(三命通會) ‘궁통보감’(窮通寶鑑) 등 한문으로 된 중국 고전들을 해독하느라 고생해야만 했다. 이들 고전을 해독하려면 여간한 한문 실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단순히 글자만 해독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고 완벽하게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더더욱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이들 고전에 등장하는 사례들이 거의 중국사람들일 뿐더러, 시대적으로도 몇백년 전의 상황이라서 산업화, 정보화 시대로 접어드는 지금의 한국적인 상황과는 격세지감이 있다. ‘사주첩경’은 중국 고전들의 요점들만 요령 있게 적출하여 이를 한글로 정리하였으므로 원전 읽기의 부담을 덜어 준다. 또한 한국 사람들을 상대로 한 임상사례들을 예화로 들었기 때문에 훨씬 현장감과 생동감이 느껴진다.

‘사주첩경’ 최대의 강점은 소위 ‘통변’(通變)이라고 일컬어지는 실전 해독 능력을 배양해 준다는 데 있다. 사주 공부의 어려운 점은 통변에 있다. 이론은 달달 외우는데 막상 생년월일시를 적어 놓고 실전에 들어가면 어디서부터 해석해야 할지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는 경우를 누구나 체험한다. 마치 호적 서기의 딜레마와 같다. 면사무소에서 주민들의 호적을 담당하는 서기는 서류상으로는 주민들의 가족관계나 이름을 달달 외울 수 있다.

그러나 골목길에서 호적상에 나타나는 당사자를 만나면 누가 누구인지 모르는 것과 같다. 호적대장을 통해 이름은 알지만 실제로 그 사람 얼굴은 알아 보지 못한다. 사주공부도 마찬가지다. 실전문제를 푸는 능력인 통변은 그래서 중요하다. 통변이야말로 사주의 핵심 능력이기 때문에 보통 사주책들은 기본 이론들만 나열하지 정작 중요한 통변에 관한 부분은 노출시키지 않는다.

어찌 보면 자신의 노하우가 공개되는 것이므로 프로들은 이를 꺼리게 마련이다. 자강은 이 통변에 관한 부분을 처음으로 공개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사주에 입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노하우를 공개한 태도, 바로 이 부분을 필자는 높게 평가한다. 학자적 양심이라고 하는 부분이 바로 자강 선생의 이러한 공개적인 태도이다. 필자도 1980년대 중반 사주 공부를 처음 시작할 때 중국 고전들을 이것저것 읽어보아도 도저히 감히 잡히지 않았는데, 필사본으로 유통되던 ‘사주첩경’을 보고 나서야 사주라는 것이 한번 해볼 만한 공부라는 판단이 들었다.


“丙申日에 태어난 남자는 외방자식 둘 확률 높다”

‘사주첩경’에서 배운 통변에 관한 초식을 한가지 소개하면 이렇다. 태어난 날짜가 육십갑자로 따졌을 때 병신(丙申)에 해당하는 사람의 예를 들어 보자. 역술계에 회자되는 바에 의하면 병신일(丙申日)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먼저 ‘병신이 육갑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때의 병신이란 장애인을 가리킨다. 조선시대에는 장님을 비롯한 장애인들이 역술업(육십갑자)에 많이 종사하였던 데서 유래한 말이다.

또 하나는 병신일에 태어난 사람들이 다른 날짜에 태어난 사람에 비해 통계상 역술에 소질이 많다고 한다. 이는 경험상으로 볼 때 그렇다는 이야기다. 이 외에도 ‘사주첩경’에서는 병신일에 태어난 남자들은 확률상 집 밖의 다른 여자에게서 자식을 낳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즉, 외방자식을 둘 확률이 높다. 왜 그런가를 ‘사주첩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병신(丙申)을 인수분해하면 병(丙)은 화(火)이고 신(申)은 금(金)이다. 화는 금을 극한다. 고로 화에 대해 금은 재물이 된다. 사주에서는 이기는 것을 재물로 본다. 병일(丙日)에 태어난 남자 사주의 입장에서 보면 신은 재물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재물은 여자와 동일시한다. 사주에 재물이 없으면 여자도 없다고 해석한다. 무재(無財)이면 마누라도 없는 경우가 많다. 다재(多財)이면 여자도 많다.

재벌 회장들은 여자도 몇배나 많지 않은가! 옛날 사람들은 재물과 여자를 똑같이 쟁취하는 대상으로 본 것이다. 재물이 없는 무재 사주는 입산수도하면 딱 맞다. 돈과 여자가 아예 없으므로 수도에 전념할 수 있다. 반대로 병신일에 태어난 남자는 사주상 돈과 여자를 선천적으로 깔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문제는 신이다. 신은 외형상으로는 금에 해당하지만, 내면적으로는 임수(壬水)가 많이 내포되어 있다. 전문용어로 신의 지장간(支藏干)에는 임수가 함축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신 속에 임(壬)이라는 수가 숨어 있는 것이다.

임은 수다. 수는 화를 극한다. 고로 임은 병을 극한다. 남자 사주에서 자기를 극하는 것은(자기를 이기는 것은) 자식이라고 본다. 자식 이기는 부모는 없다. 자식에게 극을 당하게 마련이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병신일의 남자는 신이라는 여자 속에 임이라는 자식이 숨어 있는 형국이다. 문제는 신이 역마살에 속한다는 점이다. 역마살이란 바쁘게 돌아다니는 살이다. 역마살 많은 사주치고 일요일날 집에서 TV 보는 사람 보지 못했다. 분주하게 마련이다.

申이 역마살이라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는 그 여자가 집안의 여자가 아니라 여행을 가거나 출장을 가서 만난 외부 여자라는 사실을 암시한다. 병신일에 태어난 남자의 사주를 총정리하면 병에 대해 신은 여자를 상징한다. 이 여자 속에 자식이 숨어 있는데, 그 여자는 밖에 있는 여자다. 그 여자와 관계해서 단순히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식까지 둘 확률이 높다고 보는 것이다.

필자는 몇년 전에 돌아가신 집안 어른의 묘를 이장할 일이 있었다. 그때 이장을 담당하는 지관이 한명 왔었는데 이 지관이 아주 거만하고 무례한 사람이었다. 주변 사람들에게 안하무인격으로 함부로 말을 내뱉는 습관이 있었다. 그날 산일을 도와주려고 청바지에 티셔츠를 입고 집안 어른들을 따라간 필자에게도 함부로 반말을 막 해댔다. 동안(童顔)이고 하니 아마 나이 어린 대학생 정도로 보지 않았나 싶다.

집안 어른들 체면을 보아서 아무 말 없이 참고 있던 필자는 산일을 끝내고 돌아오는 차 안에서 그 지관의 사주를 슬쩍 물어보았다. 만세력으로 계산해 보니 마침 그 지관의 태어난 날이 병신일 아닌가. 병신일을 확인한 순간 ‘옳지, 이거다!’ 하고는 “당신 외방자식 두었지?” 하고 조용하게 한방 내갈겼다. 확률 70%였다. 그 순간 지관의 얼굴이 벌개지면서 대번에 말투가 공손하게 변하였다.

“아니, 그것을 어떻게 아셨습니까?”
병신일이라는 단서 하나 가지고 라이트 훅을 한방 날렸는데 운 좋게도 적중하였던 것이다. 이게 모두 ‘사주첩경’을 공부한 덕이라고 생각한다.
‘사주첩경’의 저자 자강 이석영은 어떤 사람인가. 그는 1920년 평안북도 삭주군 삭주면 남평리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한학과 역학에 조예가 깊었던 조부 이양보(李陽甫)로부터 훈도받았다. 1948년 월남해 충북 청주에서 몇년간 살다 그후 서울로 옮겨 1983년 사망하였다. 자강이 본격적으로 명리를 연구하게 된 시기는 1948년 월남한 후에 생계 수단으로 명리를 보면서부터다. ‘사주첩경’ 6권은 1969년에 완성되었다. 1948년부터 대략 20년간의 연구와 실전체험을 정리해 저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석영의 이력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부분은 그가 평안도 출신이라는 점이다. 왜 평안도 출신이라는 부분을 눈 여겨보아야 하는가. 조선시대에는 이남(以南)보다 이북(以北)지역 사람들이 차별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북 사람들은 이남 출신에 비해 고급관료의 배출 숫자가 훨씬 적었으므로 알게 모르게 소외감을 가지고 있었다.

기독교가 이남보다 상대적으로 이북 지역에서 환영받았던 배경에는 조선시대에 이북 사람들이 받았던 소외감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누적된 차별과 소외감은 ‘주님 앞에 평등’이라는 기독교의 메시지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서북지역인 평안도나 황해도 쪽은 이북지역 중에서도 더욱 차별이 심했다는 사실은 공공연한 이야기다. 서북지역에 대한 차별 때문에 발생한 난리가 바로 평안도에서 봉기한 홍경래(1771~1812)의 난이다.


“운명은 사주로부터 도망갈 수 없다”

왜 사주 이야기를 하면서 갑자기 소외와 차별이라고 하는 사회학적 변수를 들먹이는가 하면 양자가 모종의 함수관계에 놓여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근래 우리나라 사주 대가들의 출신지역을 추적하다 보니 발견되는 공통점은 이북 출신이 많다는 사실이다. 일제때 대단한 명성을 날렸던 구월산인(九月山人) 신승만(申承萬)도 황해도 출신이었고, 그 외에도 몇몇 대가들이 모두 이북사람들이었다. 이석영이 그러한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 중에서도 이석영은 차별이 아주 심했던 평안도 출신이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사주라고 하는 것은 생년월일시만 잘 타고나면 왕(王)도 될 수 있고, 장상(將相)도 될 수 있다는 신념체계다. 반대로 아무리 지체 높은 집안의 자식이라 해도 사주가 좋지 않으면 별 볼일 없다고 믿는다. 사주가 좋으면 신분이 비천해도 기회가 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혁명사상이 들어 있고, 그것이 타고나면서 결정된다는 측면에서 보면 결정론이자 운명론이 내포되어 있다.

모순되게 보이는 양면이 미묘하게 배합되어 있는 셈이다. 한쪽에는 치열한 현실타파의 노선이 마련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운명에의 순응이다. 혁명과 운명론의 배합. 이 두가지 요소가 어떤 사람들에게는 대단히 매력적인 변수로 작용하였다. 그 사람들이란 바로 머리는 있는데 출세길이 막혀 버린 사람들이다. 머리는 좋은데 구조적으로 출세할 수 있는 채널이 막혀버렸다고 여긴 사람들이 명리학에 심취하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내가 머리는 좋은데 왜 세상에 나가 그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가. 그 이유는 사회체제가 잘못되어 그런 것이다.

체제를 바꾸어야 한다. 조선조 각종 반란사건에 감초처럼 명리학이 개입되게 된 하나의 원인이다.
그 다음에는 머리도 좋고 능력도 있는 내가 왜 이처럼 초라하게 살아야 하나, 왜 대접을 못받고 사나에 대한 해답이 운명론이다. 능력이 있는데 왜 출세를 못하는가. 그 이유를 운명론이 아니면 해명할 수 없다. 고대 중국의 사상가 가운데 매우 과학적이고 혁명적인 사상가라고 평가받는 ‘논형’(論衡)의 저자 왕충(王充·AD 27~97)이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그는 천재였지만 매우 가난하게 살아야만 했는데, ‘논형’을 읽어보면 왕충은 그 이유를 자신의 운명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도대체 운명이 아니면 이럴 수 없다고 여겼다. ‘도덕적 개인과 비도덕적 사회’라는 기독교 사회학자 라인홀드 니버의 명제처럼 사주 신봉자들은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운명론 신봉자이지만 집단적인 차원에 진입하면 혁명론가로 전환된다. 이북 사람들, 특히 평안도를 비롯한 서북지역 사람들이 일찍부터 명리학에 깊은 관심을 보인 배경에는 소외와 차별이라는 사회적 환경이 크게 작용하였다. 서북지역 출신 수재였던 이석영의 명리학 연구도 이같은 맥락에서 이해해야 하지 않을까.

이석영이 명리학에 입문하게 된 배경에는 사회적인 원인도 있지만, 개인적인 원인도 무시할 수 없다. 그의 조부인 이양보가 이미 명리학에 깊은 조예가 있었다. 어린 시절부터 이석영은 명리학의 고수였던 조부의 영향을 받았던 것 같다. ‘사주첩경’ 4권에 보면 1927년(정묘년) 이석영 본인의 집안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소개하고 있다. 그 사건이란 이석영의 조부가 혼사를 앞둔 손녀딸(이석영의 누님)의 궁합이 좋지 않다고 보고 손녀딸 혼사를 반대한 일이었다. 그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나의 조부님께서 우리 누님과 신랑 될 사람의 궁합을 보시고 나의 아버님께 하신 말씀이 “애, 그 청년이 지금은 돈도 있고 명망도 있고 학교도 중학까지 나왔으니 나무랄 데가 하나도 없으나 단명(短命)한 게 흠이야. 거기에 혼사 하디 말라. 만약 하면 길레(吉女:누님의 애명)가 30을 못넘어 과부가 된다. 그러니 안하는 것이 좋을 거야” 하셨다. 그러나 좋은 사윗감을 놓치고 싶지 않은 것이 나의 아버님과 어머니의 심정이었고 또 누님도 매우 그곳에 출가하고 싶어했기 때문에 결정짓기로 하여 마지막으로 조부님의 승낙을 청하였을 때의 일이다.

조부님께서는 “허- . 명은 할 수 없구나, 너희들이 평소에는 내 말을 잘 듣더니 왜 이번에는 그렇게도 안 듣느냐, 저 애가 팔자에 삼십 전(三十前, 누님은 1911년생)에 과부가 될 팔자다. 그 청년은 서른셋을 못넘기는 팔자이고 보니 기어코 팔자를 못이겨 그러는구나. 이것이 곧 하늘이 정한 배필인가 보다. 이 다음 네가(누님을 가리킴) 일을 당하고 나서 나의 사당 앞에서 울부짖으면서 통곡할 것을 생각하니 참 가엾구나. 안하고 하는 것은 너희 마음에 있는 것 아니겠느냐”라고 말씀하셔서 혼인은 성립된 것이다.

그후 재산과 부부간의 금슬 면에서는 부러울 것 없이 행복하게 살았는데, 자손에 대해서는 애가 태어나면 죽고, 나면 죽고 하여 6남매(4남2녀)를 낳아 모조리 실패하였다. 기묘(己卯)년(1939년) 9월14일에 득남하고 매형은 그해 12월30일 별세하고 말았다. 조부님은 이미 2년 전인 정축년에 작고하셨고 누님은 기묘년에 상부(喪夫)하여 과연 조부님의 사당 앞에 가서 울부짖으며 통곡하는 누님의 모습이 지금도 나의 눈에 훤하고 귀에 쟁쟁하게 들려오는 것 같다. 나의 매형 사주는 무신(戊申)년 정사(丁巳)월 기묘(己卯)일 경오(庚午)시였다.(‘四柱捷徑’ 卷4, 韓國易學敎育學院, 309~311쪽)

심리학자들의 이야기에 의하면 유년시절의 체험이 그 사람의 인생행로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사주첩경’의 저자인 이석영도 어린 시절 누님의 운명에 얽힌 참담한 광경을 목격하였다. “나의 사당 앞에서 울부짖으며 통곡할 것”이라는 조부의 예언이 현실로 들어맞았을 때 그 장면을 목격한 이석영의 심정은 어떠하였을까. 고인들이 탄식하였던 ‘명막도어오행’(命莫逃於五行·운명은 오행(사주)으로부터 도망갈 수 없다)의 이치를 깨달았던 것일까.

이석영이라는 걸출한 명리학자의 출현은 서북지역의 소외감, 명리학의 대가였던 조부의 영향과 어린 시절의 체험이 모두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빅3 가운데 나머지 두사람. 도계 박재완과, 제산 박재현은 이석영과는 전혀 다른 인생행보를 보이는데, 이 두사람에 관한 이야기는 다음호에 싣기로 한다.
조용헌
 
 
출처 : 신언서판(身·言·書·判)과 사람의 운명  - cafe.daum.net/dur6fks




   

게시물 1,284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9
내로남불의 정석 내.로.남.불. 귀걸이 왜 빼셨나...?ㅡㅋ 당신의 읽기에 감사 드 립니다. 더 멋 진 …
우주의작은별71567 03-19 1314
368
좌파와 우파   당신의 읽기에 감사 드 립니다. 더 멋 진 내용을 클릭하다.카지노 룸에서 제공하는 보너…
우주의작은별71567 03-19 1776
367
미국 vs 북한 전면전 시나리오미국과 고구려의 기상으로 전면전을 필사적으로 펼치는 기상넘치는 북한 북쪽전사…
우주의작은별71567 03-19 1775
366
아 갑자기 왜 김연아 ㅈㄴ 이뻐보이지  ㄹㅇ진지하게 당신의 읽기에 감사 드 립니다. 더 멋 진 내용을 …
우주의작은별71567 03-19 1870
365
통보나 보닌 웆퀴임 당신의 읽기에 감사 드 립니다. 더 멋 진 내용을 클릭하다.카지노 룸에서 제공하는 …
우주의작은별71567 03-19 1694
364
자기 고향을 황급히 부정하는 연예인 jpg.   전 씨스타 보라(전라도) 당신의 읽기에 감사 드 립니다. 더 …
우주의작은별71567 03-19 1715
363
여자들은 양아치같은 남자 좋아하더라ㅋㅋㅋㅋㅋㅋㅋㅋ 여유있고 껌씹고 자신감있는 표정으로 있으니까  …
우주의작은별71567 03-19 2041
362
자기야 우리도 해보자   당신의 읽기에 감사 드 립니다. 더 멋 진 내용을 클릭하다.카지노 룸에서 제공…
우주의작은별71567 03-19 1889
361
비트코인 하락세라네씨부랄 이제 그 좆같은 가즈아~~~!!! 안들어서 좋겠네 아 그 ㅆㅂ 좆같은 문구 때문에 졸라 …
우주의작은별71567 03-07 1865
360
트럼프 대통령, 탈북민들과 백악관 환담 “북한은 살기 힘들고 위험한 곳” : VOA20180202 트럼프-문재인 통화 “북…
우주의작은별71567 03-07 1659
359
갓미선 기자가 호감인 이유 문재앙이 근친 야동 기사 썻음ㅋㅋㅋ 당신의 읽기에 감사 드 립니다. 더 멋 …
우주의작은별71567 03-07 1561
358
사주와 직업운 Q 사주와 직업에 어떤 연관관계가 있습니까. 예를 들어 재벌, 정치인, 연예인 등 특정한 직업군의 …
초인 11-09 3868
357
“눈에 총기 넘치면 短命運,박정희는 觀相보다 목소리 좋아 대통령 됐다” 身·言·書·判과 사람의 운명 身·言…
초인 11-09 2714
356
60갑자 탄생의 비밀 그러면 여기서 갑자(甲子)년이니 을축(乙丑)년이니 하는 한 해의 연주는 어떻게 정했을까? 이…
초인 11-09 3489
355
[조용헌 살롱] 비빔밥과 오행(五行)    융합(融合)하는 능력이 경쟁력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 한국의 휴대…
바른생활 11-09 2026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2-569-9194
               평일 오전 10시~오후7시,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4시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11-25 신작* (男) 궁합
11-23 임대* (男) 택일
11-21 고현* (男) 사주
11-19 이선* (女) 사주
11-18 박종* (男) 사주
11-16 박건* (男) 사주
11-16 최준* (男) 택일
11-14 김영* (男) 사주
11-13 손현* (女) 사주
11-12 간미* (男) 사주
상담후기
상담후기 적극추천
박진우 | 조회수 : 3758
도서 구입 (1) 적극추천
한지민 | 조회수 : 296213
우리들의 얼굴 적극추천
이성민 | 조회수 : 21473
안녕하세요 적극추천
김수향 | 조회수 : 8681
감사합니다 적극추천
김지은 | 조회수 : 11317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348980]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340619]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34863]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344521]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350018]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348066] (2)
아들의 외고합격 [365259] (2)
젊은 여성의 임신 [301171] (1)
재벌 회장의 사주 [356832] (2)
유명가수의 사주 [352428] (1)
보험설계사 [35404]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381670]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370592]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사주초급반

사주중급반

사주전문가반

육효반

신수작괘반

성명학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찾아오시는 길

select sum(IF(mb_id<>'',1,0)) as mb_cnt, count(*) as total_cnt from g4_login where mb_id <> 'admin'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