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궁
인수에 양생 제왕 놓인 사주는 그 어머니가 현숙한 귀부인 마님이다.
일주 인수, 월상 인수, 일주 재, 월상 재, 일주 관, 월상 관에 놓인 사주는 부모 은덕이 업다.
재성이 길신이고, 월에 겁재 놓인 사주는 인수가 길신에 월이 재성이면 부모 무덕한다.
비겁 형제 길신이고, 월에 관살이 있는 사주는 식상 조모에 길신이 있고, 월에 인수 놓인 사주는 부모가 빈천하여 부모 덕이 없다.
재성이 길신이 되고, 비견 겁재가 극을 하고, 월상에 재성이 귀신에 해당한 사주, 월상 식신이 귀신에 해당하면 부모 유산이 사라진다.(한푼도 없게 된다).
월봉길신 사주는 유아시 부모애정 많이 받고, 월봉이 귀신에 해당되는 사주는 부모 무덕하고, 유아시에 고생하고 자랐다.
재는 많고 인수가 적은 사주는 부친이 강하고, 어머니는 약하다.
부모 이별 두렵다.
인수가 왕하고 재성이 약한 사주는 어머니가 강하고 아버지가 약하니 어머니가 주도권을 잡았다.
재성에 장생(長生)이 놓인 사주는 부친이 장수하고, 인성에 장생(長生)이 놓인 사주는 모친이 장수한다.
재성 자리에 양인(羊刃)이 놓인 자는 부친이 너무 강직하다.
인수 자리에 양인(羊刃)이 놓인 사주는 모친이 너무 강직하여 열녀가 난다.
재성에 록(祿)을 놓인 사주는 부친이 나라에 충성하고 성품이 인자하다.
인수에 록(祿)을 놓인 사주는 어머니가 자상하다.
인수에 용신를 가진 사주는 모친이 자상하고 인자하며 현모 한다.
재성이 왕하고 인수가 약한 자의 사주는 어머니가 고질병으로 고생하다 가신다.
인수성이 형충을 만나면 모친이 수술이나 잔병이 많다.
인수 관성이 동주(同柱)하면 장수한다.
인수에 공망 호신살을 가진 사주는 유아시에 모친이 이별하여 남의 손에 자라 본다.
인수태왕 재성신약은 유아시에 부친을 먼저 잃고, 홀어머니 손에 자라 본다.
중중편재(편재가 많으면) 인수가 간 합한 사주는 그 어머니가 두 번 시집간다.
(두 명의 남편을 가져 본다).
인수 합에 도화살이 같이 있으면 그 어머니가 부정하다.
인수성의 백호 대살에 놓인 사주는 어머니가 횡사했다.
편인성에 백호살은 숙모나 이모가 횡액 한다.
월지 편재가 역마와 같이 있으면 부친이 원행(멀리)가서 생활한다.
월지 인수가 역마와 같이 있으면 어머니가 멀리 가서 산다.
외지에 나 다닌다.
재가 있는데 재자리에 절지(絶地) 쇠병사(衰病死)에 놓인 사주는 부친이 가난하고 병약하다.
편재성에 형충이 놓인 사주는 그 부친이 횡액 했다.
편재성에 많은 비겁이 있는 사주는 부친이 단명했다.
편재성이 식신을 보면 부친이 장수했다.
편재성이 살지(殺地)에 있어 부친이 객사했다.
편재성이 역마와 형 충이면 부친이 자동차 사고로 죽었다.
편재성이 백호 대살을 보면 부친이 흉사 했다.
정재성의 백호 대살은 숙모나 고모가 횡사했다.
편재 정재의 일지 합은 이복 숙부나 고모가 있고, 정재성과 비견 겁재가 암합하면 고모가 바람 났다.
출처 : 명리공부 - blog.naver.com/kht4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