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장간(地藏干)에 대하여
지장간(地藏干)은 제삼의 간지라고 할수 있습니다. 뭐냐면 천(天)은 천간(天干)으로 보고 지(地)는 지지(地支)로 보며 인(人)은 지장간(地藏干)으로 보는 것입니다.
물론 명리학(命理學)에서 보는 것입니다. 옛날 사람은 이세상을 구성하는 세가지 요소로 천(天), 지(地), 인(人)의 삼재(三才)를 꼽았던거 같습니다.
따라서 각기 세가지를 대표하는 것으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와 지장간(地藏干)을 만들었던가 봅니다.
지장간(地藏干)이란 뭐냐면 지지(地支)에는 지지(地支) 고유한 성질만 있는 것이 아니고 천간(天干)의 성질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월령(月令)에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데 이것은 달의 공전을 관측한 결과를 제시한 것이라고 합니다. 명리학(命理學)은 천문(天文) 연구의 결과라고 하는데 이런데서 그런 것이 나타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바로 이 지장간(地藏干)을 가지고 격국(格局)을 정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표를 제시하고 다음에 얘기를 계속 하도록 하겠습니다.
餘期 中期 正期
子 壬: 10일 3분 癸: 20일 3분
丑 癸: 9일 3분 辛: 3일 1분 己: 18일 6분
寅 戊: 7일 2분 丙: 7일 2분 甲: 16일 5분
卯 甲: 10일 3분 乙: 20일 6분
辰 乙: 9일 3분 癸: 3일 1분 戊: 18일 6분
巳 戊: 7일 2분 庚: 7일 2분 丙: 16일 5분
午 丙: 10일 3분 己: 11일 1분 丁: 10일 6분
未 丁: 9일 3분 乙: 3일 1분 己: 18일 6분
申 戊: 7일 2분 壬: 7일 2분 庚: 16일 5분
酉 庚: 10일 3분 辛: 20일 6분
戌 辛: 9일 3분 丁: 3일 1분 戊: 18일 6분
亥 戊: 7일 2분 甲: 7일 2분 壬: 16일 5분
지장간(地藏干)을 줄여서 장간(藏干)이라고도 합니다. 장간(藏干)이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월령(月令)에 있습니다.
표에 대한 설명을 잠시 하자면 이때의 생일은 또한 양력이나 음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절기력(節期曆)을 사용합니다.
가령 절기력으로 15일에 태어난 사람이 일간이 정화(丁火)고 월지가 미토(未土)라면 이사람의 월지(月支) 장간(藏干)은 丁, 乙, 己가 됩니다.
이때 正期는 기토(己土)가 되니까 기토(己土)에 사령(司令)했다고 얘기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에 기토(己土)가 천간에 투간(透干: 사주천간에 해당 천간이 나타남)했다면 이걸로 격국(格局)을 잡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이사람은 일간(日干) 정화(丁火)니까 화생토(火生土)하여 식신격(食神格)이 되는것입니다.
이사람은 생일도 15일에 해당하니까 제대로 정기(正期)에 자리한 사람입니다.
이 기간에 대한 얘기를 잠시 해보면 여기(餘期)란 전달에 기운이 아직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중기(中期)는 해당월의 기운이 시작되는 기간이라고 생각하면 될것입니다.
제대로 그달의 기운이 작용하는 기간은 정기(正期)가 되겠습니다
출처 : ▶ 사주 교실 - cafe.naver.com/sajub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