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干論
1.십간의 발달과정
천간은 태양의 영향에 따른기초식물의 성장 발전 쇠퇴의 모습을 열가지의 부호체계로서
형상화한 것.
甲은 쪼갠다는 의미로 만물이 껍질을 가르고 터져지면서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식물의 씨앗단계)
乙은 만물이 처음 것이지만 굽고 얽혀서 아직 펴지못하고있는 모습(싹의 단계)
丙은 만물이 분명하고 뚜렷하게 보이는 의미로 지상에 드러났으므로 비로소 태양의 영향으로 성장하게된다(지상식물로 성장)
丁은 만물이 성장하여 튼튼하게 형태를 갖춘 것이다.(양적인 성장을 이룸)
戊는 무성한 것으로 만물이 무성하게 팽창하는 것이다.(질적성장)
庚은 건고하고 강한 모양으로 만물이 거두어들이고 열매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숙성의 단계)
辛은 만물이 비로서 성숙하고 조절되는 것을 말한다(이질적인변화)
壬은 임신하는 것으로 만물의 교차이니 만물은 자에 이르러 임신하여 종자를 품는 것을 의미한다.(종자의 단계)
癸는 겨을에 토가 이미 평평하니 만물이 헤아리고 측정할수있다는 의미한다.(쇠락의 단계)
2. 十干의 物象
甲(陽木)~땅을 뚫고 나오려는 모습.성장만을 중요한단계로 인식하여 큰 거목에 비유한다.
적천수에서는 參天(참천)이라하였다(參天 하늘을 찌를듯함)
乙(陰木)~고생스럽게 휘어져나오는 모습,휘어지는 특성으로 인식하여 작은 나무나 꽃나무에 비유한다. 적천수에서는 柔(유)라고 했다(柔 부드럽다)
丙(陽火)~태양에 드러나 지상으로 노출되는 모습, 태양으로 비유한다.
적천수에서는 猛烈(맹렬)이라고 했다(猛烈 기세가 몹시사납고 세참)
丁(陰火)~태양에 노출되어 성장하는 모습, 더 이상 태양이 필요없으므로 별이나 달로표현한다. 적천수에서는 內性昭融(내성소융)이라고했다(內性昭融은 문명의 형상적인 밝음)
戊(陽土)~ 무성해지는 모습, 무성해지기위해서는 장소가 넓어야하므로 넓은 밭이나 평야로 표현한다. 적천수에서는 固重(고중)이라고했다(固重 단단하고 무겁다)
己(陰土)~양적 성장이 극에 달하여 휘어지는 모습, 양적인 성장이 극에 달하였으므로 자신을 인식하는 단계이므로 개인성을 중시하여 정원으로 표현한다. 적천수에서는 卑濕(비습)이라고했다 (卑濕 축축한 성질)
庚(陽金)~질적성장으로 식물이 익어가는 모습, 거두어들여야하므로 큰칼이나 도구로 표현한다. 적천수에서는 帶煞(대살)이라고 표현했다(帶煞 날카롭고 무거움)
辛(陰金)~맛이 들어 전혀 다른 성분으로 변이한다, 가공을 하여야하므로 작은 칼로표현한다
적천수에서는 軟弱(연약)이라고 했다(軟弱 연하고 약하다)
壬(陽水)~종자의 맺음, 열매의 수분이 충분하므로 강물이나 호수로 표현한다.
적천수에서는 通河(통하)라고 했다 (通河 왕성하게 흐르는 물)
癸(陰水)~ 끝이 남, 종자의 수분이 제거되어야 오랜 보관이 가능하므로 시냇물이나 샘물로
표현한다. 적천수에서는 至弱(지약)이라고했다(至弱 약하게 흐르는 물)
출처 : 천간론 - blog.daum.net/g6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