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방위의 五行
오행의 기운은 팔방위에 각각 구분되어 배치되고 있다. 북은 수, 북동은 토, 동은 목, 남동은 목,
남쪽은 화, 남서는 토, 서는 금, 북서는 금에 각각 해당한다. 여덟 개의 방위 중에서 물과 불은
하나씩 차지하고, 나머지는 두개씩의 방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관계는 불의 기운과 물의
기운이 모든 기운의 근원이 되어서 목, 금, 토가 생성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1. 오행의 相生
다섯 개의 기운은 각각 고유한 성질을 갖고 있으면서 다른 기운과는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 관계는 크게 상생, 상극으로 나뉜다.
상생이란 하나의 기운이 다른 기운을 북돋아주고 만들어 주는 것을 일컫는다. 예컨대 물은 나무
가 살도록 도와주고 있다. 그러므로 물과 나무의 관계는 물이 나무를 살려주는 관계로 서로 좋
아하는 관계가 된다. 이것을 수생목(水生木)이라고 한다. 나무와 불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나무가
있으면 불을 쉽게 만들게 된다. 즉 불은 나무에 의해서 생명력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나무와
불은 서로 도와주는 관계이다. 목생화(木生火)라고 한다.
불이 타고 나면 흙으로 돌아간다. 재와 같은 흙은 불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흙과
불은 서로 조화하는 관계이다. 이것을 화생토(火生土)라고 한다.
흙 속에서는 단단한 쇠가 이루어진다. 즉 쇠는 흙에 의하여 그 기운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쇠와
흙은 서로 좋아하는 관계이며, 이것을 토생금(土生金)이라고 표시한다. 즉, 흙이 쇠를 만들어
준다는 뜻이다 쇠와 물과의 관계로 보면, 금속성의 표면에는 물방울이 생기게 마련이다.
즉, 단단하고 차가운 물질에서는 기운이 수축되어 물이 생기게 되는 만큼, 금속과 물은 서로
조화하는 관계이다. 이 관계를 금생수(金生水)라고 표현한다.
이것을 연관시켜 각기 다시 설명하면, 물의 경우, 물은 금 기운에 의하여 발생되고 자기 자신은
목으로 그 기운을 전달한다. 그러므로 물은 금과도 친하고 나무와도 친한 관계이다. 나무의 경
우는 물에 의하여 그 기운이 형성되고, 자신의 기운은 불의 기운을 만들어준다. 그러므로 나무
는 물과 불의 기운과 잘 어울린다.
불의 경우는 나무에 의하여 불기운이 형성되고, 자신의 기운은 흙의 기운을 만들어준다.
그러므로 불은 나무나 흙과 친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금의 경우는 흙의 기운으로부터 금
자신의 기운이 형성되고, 자신의 기운은 물의 기운을 만들어준다. 그러므로 금은 흙기운, 물
기운과 친하게 유지한다.
2. 오행의 相剋
오행 각각의 기운은 서로 싫어하는 기운이 있다. 불의 기운은 물에 의하여 억제된다. 즉 불이
아무리 강해도 물한테는 이길 수가 없다. 이러한 현상을 수극화(水剋火)라고 한다.
즉 물은 불을 억제한다는 뜻이다.
쇠의 경우 매우 강하지만, 뜨거운 불에 달구어지면 그 힘이 무력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보아 화극금(火剋金)이라고 한다. 나무의 기운은 하늘로 높이 솟아오르려는 기운이지만, 도끼
의 쇠와 같이 강한 기운에 의하여 잘려진다. 이러한 현상을 금극목(金克木)이라고 한다.
흙의 기운은 모든 기운으로 뭉쳐져서 정지하려는 성질이 크다. 이에 비하여 흙으로부터 나무는
기운이 솟아오르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목극토(木剋土)라고 한다. 물은 쉬지 않고
흘러가려. 이러한 물의 기운도 제방을 쌓으면 그 흐름이 정지된다. 즉 물의 기운은 흙의 기운에
의하여 억제된다. 이러한 관계로 토극수(土剋水)라고 한다.
방위의 상생과 상극 이론에 의하여 실내 주인기운의 방위와 출입문의 손님기운의 방위 각각의
오행에 의하여 상생인 경우면 좋고 상극관계면 좋지 않다. 가령, 남쪽을 향하고 있는 방의 경우,
중심의 기운은 북쪽에 있는 만큼 오행상 물에 해당되므로, 이 경우 출입구가 남동에 있으면 오행
상 목의 기운이므로, 북쪽의 물과 남동의 목은 서로 수생목이 되어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실내에서는 좋은 기운이 항상 돌게 된다. 그러나 동일한 실내에서 출입문이 남서 방위에
있으면 남서는 오행상 토에 해당하므로 토의 기운과 물의 기운은 토극수의 관계로 서로 상극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는 좋지 않은 방위를 이룬다.
8-6. 방위의 종합 평가
방위를 분석하는 기준은 동‧서사택, 음양 그리고 오행의 세 가지 이론으로 구분되지만, 이 중
에서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것은 동‧서사택의 기준이다. 세 개의 방위에 대한 이론을 비
중으로 구분할 경우에 동서사택 60%, 음양에 의한 방위가 20%, 오행 방위는 20%로 종합하게
된다. 즉, 평점을 100으로 할 때에, 동사택과 서사택이 방위가 맞으면, 60이 좋은 것이다. 음양의
겨우는 음기 양기가 서로 어울리면 20의 좋은 기운, 같은 기운끼리 모이면 0이고, 오행의 경우
상생관계는 20의 기운을 더하고, 상극이면 0이 된다. 그리고 오행상에 있어서 같은 기운끼리 있
으면(금과 금, 목과 목) 등은 10으로 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 때 가장 이상적인 관계는 물론 도합 100점의 방위관계이다. 이러한 방위는
예컨대 남향의 건물에 있어서 남동의 출입구를 갖춘 경우를 들 수 있다. 남향의 건물이란 건물의
중심적인 기운이 북쪽에 있고, 이 건물 실내의 중심점에서 기운이 모여 있는 것을 분석해보면
북쪽이 중심점이다. 이 중심기운은 동사택의 기운이 되며, 출입구가 남동에 있으면 방위상으로
같은 동사택 방위이다. 그러므로 손님기운과 주인 기운이 어울린다. 여기서 60점의 생기를
확보한다.
음양으로 분석할 경우에 북쪽에 중심 기운은 둘째 아들의 남자 기운에 해당한다. 남동의 출입구
는 음양으로는 장녀의 여성방위에 해당한다. 즉, 여성의 기운이 들어오면 남성의 기운과 어우
러져 20점에 해당하는 생기를 얻게 된다. 오행상으로도 주인 기운은 물, 손님 기운은 나무가
되어 수생목의 상생관계를 이룬다. 이렇게 하여 도합 100점의 실내 기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남향 건물에 서쪽 출입구의 예를 보자. 방의 중심에서 기운이 모이는 쪽을 바라보면,
주인의 기운은 동사택에 해당한다. 중심에서 출입구가 있는 서쪽을 볼 경우 서사택 방위에 해
당한다. 주인의 동사택 기운과 손님기운의 서사택 기운은 서로 좋지 않은 기운이 되어서 0점에
해당한다. 음양의 기운으로 분석하면, 주인의 기운은 둘째 아들의 남성기운에 해당하고, 출입
구인 서쪽은 소녀의 여성 기운에 해당된다. 이 경우 음과 양은 서로 조화를 이루어 20점의 점수를
받는다. 오행으로 구분하면, 중심의 기운은 물에 해당되고, 출입구의 기운은 금에 해당하여 금
생수(金生水)의 상생관계를 이루어 20점을 받게 된다. 이렇게 하여 총 합계는 40점이다. 그다지
좋은 집이 되지 못한다.
출입구의 방위는 건물의 중심이 어느 쪽에 있느냐를 기준으로 좋은 방위를 선택해야 한다.
여덟 개의 각 방위마다 100점에서 0점까지의 출입문이 각각 결정된다. 항상 동쪽 대문이 좋은
것은 아니다. 중심기운의 방위에 따라서 동쪽이 좋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게
되는 것이다.
8-7. 기능상의 공간구분
실내에서는 방위상으로 좋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좋은 기운을 받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실내의 작업공간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하나는 양성(陽性)적인 공간이고, 하나는 음성
(陰性)적인 공간이다. 즉, 공간이 음과 양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양성 공간이란 사람이 대외적
으로 나타나게 작업하는 공간을 말하며, 여러 사람이 만나는 공간이나 또는 주방, 사장실, 사무
실, 카운터, 출입문, 작업테이블 등을 말한다. 음성 공간이란 사람의 양성적인 공간을 보조해
주는 공간 즉, 화장실 창고 쓰레기장 등을 말한다.
실내의 공간을 구획함에 있어서, 양성공간을 생기가 많이 모이는 곳에 두고, 음성공간은 생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곳에 두어야 좋다. 특히 건물의 기운이 동사택인가 서사택인가를 살펴서
동사택 기운이 중심적인 곳에서는 양성을 동사택 방위로, 음성을 서사택으로 하는 것이 좋다.
즉, 남향의 사무실의 경우 동사택의 건물이므로, 사장실이나 카운터, 출입문 등은 동쪽이나,
또는 북쪽 등 동사택 방위에 오는 것이 좋다. 그리고 화장실, 창고 등의 음성적인 공간은 서쪽에
두어서, 양성공간을 중심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의 출입문 역시 남쪽에 있거나
동남쪽에 있는 것이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동향의 건물은 서사택 건물인 관계로, 이 경우에는 사장실이나 카운터, 중심홀 등이 서사택 방
위에 있는 것이 좋고, 출입문도 서사택 방위에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러한 경우에 화장실이나
창고 쓰레기장은 남쪽이나 북쪽 등의 동사택 방위에 두어야 한다. 건물이 전체적으로 동사택인
경우에 화장실 창고는 서사택 방위로, 건물이 전체로 서사택인 경우에 화장실 등은 동사택 방
위에 두어야 한다.
8-8. 주거공간의 내부배치
주택 내부에는 거실, 안방, 주방, 화장실 등 여러가지 종류의 방들이 구획되어 있다. 주택의 내
부공간 배치를 결정하는 데에도 방위의 이론을 적용하여 좋은 기운이 많이 있는 곳을 찾아 이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택 내의 기능도 양성공간과 음성공간으로 구분된다. 양성공간이란
사람이 활동적으로 나타나게 일하는 공간을 말하며, 음성공간이란 잘 나타나지 않게 사람의
활동을 보조하는 공간을 말한다.
양성공간은 거실, 주방, 안방 그리고 학생방 등 침실을 말한다. 음성공간이란 화장실, 작업장,
창고, 세탁장, 다용도실 등 양성공간을 도와주는 공간이다. 크고 밝고 따뜻한 공간은 양성공간
으로, 어둡고 물을 많이 사용하고 추운 공간은 음성공간으로 구분이 된다.
주택 내부의 공간배치도 주택이 전체적으로 동사택인 경우에는 양성공간은 동사택 방위에 배
치하고 음성공간은 서사택 방위에 배치한다. 즉 남향의 경우, 거실은 남쪽의 중앙에 두고, 안
방은 동쪽이나 북쪽 등의 동사택 방위에 두는 것이 좋고, 화장실이나 창고 등은 서쪽에 두는
것이 좋다. 자녀들의 방도 가급적이면 동사택 방위에 두는 것이 좋다. 동향집의 경우는 서사택
방위이므로 거실은 중심에 두고, 안방은 서쪽이나 남서쪽, 화장실이나 창고는 북쪽이나 동남
쪽에 두는 것이 좋다. 이 경우도 출입문은 북동쪽에 두는 것이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