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재(編 材)의 배속
년간: 생활의 터전이나 기본 바탕이 우연히 얻어지는 재물이 되니 선대의
유산이나 부의 재정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일찍부터 어른 흉내를 내니 돈과 여색을 탐하여 돈을 잘 쓰는 낭비벽으로
부모와 충돌을 일으켜 학업을 등한시하고 타락하는 수가 있다.
생각지도 않은 제안으로 돈이 지나는 길목이나 기득권속에 머물게 되거나
이득이 발생하는 곳에서 횡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정재가 안정적이고 길들여진 완성된 것을 대하게 된다면 편재는 불안정하지
만 작은 것 보다는 큰 것을 확보하려고 한다.
년지: 천연자원으로 얻어지는 금은 보석이나 유산 등 땅 투기사업이나 무역
업과 같은 체인망을 가진 기득권을 선점하는 사업과 인연이다.
재화에 대한 기득권을 점유하는데 공간적 의미가 국가간에 교역을 다루게
되고 정부시책에 따른 국유지 환속문제로 인한 혜택이 있어 보게 된다.
월간: 결과 보다는 과정을 작은 것 보다는 큰 것을 취하려는 야욕이 크니
한 순간에 일확 천금을 취득하고자 모험성과 투기성이 강하다.
년은 근본으로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라면 월은 주어진 것이고 만들어 가고
자 하는 곳으로 년을 기반으로 월을 활용하고 만들어 가고자 하는 것이다.
과욕과 의협심으로 진취성이 강하고 능동적으로 활동하게 되니 요행 심리로
도박성도 강하고 유흥적이다.
남명은 항상 의식이 주위를 맴돌게 되니 외도하는 경우가 많고 심하게는 재
혼하는 경우도 있다.
월지: 기업체나 실업계통으로 진출하며 재경과 기업이 천부적인 인연이므로
공직이나 봉급생활은 과정이고 결국은 경영을 하고자 하는 사업가이다.
하루 벌어 하루를 쓸망정 고정수입 보다는 뭉칫돈에 관심이 있어 투기나 모
험으로 벌기도 잘하고 없애기도 잘하는 물질 만능주의 형이다.
금전의 유통 경로에 있게 되고 또 찾고 구하고자 하는 것이 되니 증권이나
금융 유통을 하는 장소적이며 대부분 사업가적인 기질을 가지게 된다.
일지: 부친과의 인연이 깊은 것을 뜻하니 장남 노릇을 행하려 하고 재물에
인연이 많고 모든 것을 물질적으로 해결하고 한다.
남명은 타 궁에 정재가 있어도 첩을 더 사랑하게 됨을 의미하니 정처는 멀
리두고 첩을 가까이 두고 마음에 두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강압적인 통제를 하는 까닭에 외부적으로는 애처가로 보이나 내부적으로는
의처증이 있음을 말한다.
정재가 직접적으로 재화를 취욕하고 취급하게 된다면 편재는 기득권을 행사
하고 활용성에 목적을 둔다.
시간: 時相一位 편재가 생왕하면 남명은 재혼을 하거나 첩을 거느리고 여인
을 다수 접촉하게 된다.
탐욕과 취욕의 원리 때문에 과감한 투기성이나 재물 여색을 취하고자 하는
능동적인 관념이니 권위의식이 강하다 할 수 있다.
막연한 새로운 공간에 대한 호기심이 발동하니 낯선 공간으로 떠나고 싶은
막연한 마음이 동요한다.
시지: 여행지나 별장과 같은 공간으로 식상해버린 현실에서 벗어나 새롭게
느낄 있는 또 다른 장소로 개인적으로 희망하는 아지트와 같다.
출처 : 궁과 성 - blog.daum.net/024614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