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寒暖燥濕(한난조습)
1. 子意
1) 寒 [ 찰 한 ] ㉠차다 ㉡떨다 ㉢오싹하다 ㉣어렵다 ㉤가난하다, 쓸쓸하다 ㉥식히다 ㉦얼다 ㉧불에 굽다, 삶다 ㉨중지하다, 그만두다 ㉩침묵하다, 울지 않다 ㉪천하다(賤--), 지체가 낮다 ㉫추위 ㉬절기의 이름
命理에서는 金을 成物하고 木은 生物하는 것으로 五行으로는 水(壬, 癸)를 말하는 것이고, 계절로는 冬절기(亥子丑月) 출생자를 말한다. 통변은 추위에 떨다, 어렵다는 뜻으로 집안에 풀을 깔고 사람이 누운 모양으로 추위를 나타내기도 하고 가난을 의미한다. 가난과 외로움이란 단어를 적용하는 것이 적당할 것 같다. 웅크리다, 겨울잠을 자다, 멈추고 정지되어 있다, 어둠과 침묵속에 있다,
2) 暖 [ 따뜻할 난, 부드러울 훤 ] ㉠따뜻하다 ㉡따뜻이 하다 ㉢따뜻해지다 ㉣따뜻한 기운 ⓐ부드럽다 (훤) ⓑ유순한 모양 (훤).
命理에서는 木을 生物하고 金은 成物하는 것으로 五行으로는 火(丙, 丁)를 말하는 것이고, 계절로는 夏節生(巳午未月) 출생자를 말한다. 통변은 따듯하게 해준다는 뜻으로 상대를 배려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寒이 멈춰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면, 暖은 누군가와 어울리거나 남을 이끄는 뜻이 있다. 寒이 홀로 외로운 모양이라면, 暖은 남을 이끌고 어울리는 모양이다. 무엇인가 하고자하는 열정을 말한다.
3) 燥 [ 마를 조 ] ㉠마르다, (물기가)없어지다 ㉡말리다, 마르게 하다 ㉢애태우다, 초조하다(焦燥--) ㉣마른 물건
命理에서는 火의 氣運이 겉으로 드러난 모양을 말하는 것이니 五行으로는 金(庚, 辛)을 말하는 것이고, 계절로는 秋節生(申酉戌月) 출생자를 말한다. 火로 濕氣를 없애는 뜻이다. 가볍게 하기 위하여 무엇인가를 떼어낸다는 뜻도 담겨있다. 자연 그대로를 나누지 않고 분리하거나 응용한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통변으로는 빡빡한 인물, 고지식한 사람, 규칙강조 등으로 말하고 있다. 마치 경직되어 있는 인물 같은 모양이다. 자꾸만 떠나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4) 濕 [ 젖을 습, 나라 이름 합, 물 이름 답 ] ㉠젖다 ㉡축축하다 ㉢마르다 ㉣낮추다 ㉤스스로 비하하다 ㉥습기 ㉦물기 ㉧자연 그대로의 것 ⓐ나라 이름 (합) ⓑ물 이름(답)
命理에서는 水의 氣運이 드러난 모양으로 五行으로는 木(甲, 乙)을 말하는 것이고, 계절로는 春節生(寅卯辰月) 출생자를 말한다. 濕氣가 찬다는 뜻으로 부풀어 오르고 접착된다는 의미다. 燥가 火에 의하여 濕氣를 없애는 것이라면, 濕은 火에 의하여 濕氣가 생겨나는 것이다. 스스로 자신을 낮추고 자연 그대로를 인정하여 분리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다. 통변으로는 혼자 있기를 싫어하고 남과 어울리기를 좋아한다. 참여의식 또한 높고, 혼자가 되고자 하여도 사람 복이 많아서 동네 사랑방처럼 인간관계가 많다. 자꾸만 무엇을 손에 들거나 몸에 치장을 하려는 특징도 있다.
5) 冷 [찰냉,찰랭,물소리영,물소리령] ㉠차다, 한랭하다 ㉡식히다, 차게 하다 ㉢쌀쌀하다, 얼다 ㉣한산하다, 한가하다(閑暇--) ㉤낯설다, 생소하다 ㉥쓸쓸하다 ㉦인정미가 적다 ㉧맑다 ⓐ물소리 (령) ⓑ글 읽는 소리 (령) ⓒ소리의 형용 (령)
6) 熱 [더울 열] ㉠덥다 ㉡열덥다 ㉢바쁘다 ㉣더위 ㉤태우다
출처 : 寒暖燥濕(한난조습) - blog.daum.net/024614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