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正財 = 偏財의 사촌형제
->국가 자격증적지만 보강시켜 주는 것, 보조 업무를 하는 것,
->편재의 직업을 협조하는 사람으로 계급이 낮고 임금이 작다,
->활인공덕하는 곳에 근무하는 사람, 각종 상담, 재활 종사자,
->안마, 침쟁이, 간병인, 조무사, 물리치료사, 거시기 등등,
->편재가 의사면 사촌형제는 간호사가 되고 업무를 돕게 된다,
->이것이 偏財와 正財와 다름이고 食과 官을 대함이 다름이다,
# 印이 旺해도 官을 봐야하는 이유
->인월은 스스로 일간에 이르지 않는다,
->인월은 관을 봐야만 일간으로 유통한다,
->인이 관을 보지 않으면 비탈길, 오르막길, 오랜시간이 걸린다,
->인이 관을 보지 않으면 망망대해에서 방향성을 잃게 된다,
->인이 관을 보지 않으면 배가 땅에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印이 殺을 보면 한쪽 다리를 절면서 가니 오랜 시간이 걸린다,
3. 正官
->만사 무효가 된다, 직장에 들어가면 나오고, 망한다,
->편인+정관을 보면 정관이 설되는지 왕쇠판단을 한다,
->정보빼기, 횡령, 규칙을 무시한것, 자가적 융통성,
4. 殺
->偏印은 빼야 하니 조사, 偏官은 일간을 극하니 관찰,
->일간을 극하고 인을 본것이니 순간적으로 급하게 머리가 굴러간다,
->1초에 눈을 수없이 깜박이는데 예리한 관찰력이 있다, 시각적이다,
->원거리 관찰력이 뛰어나다, 험란함을 꾀로서 이겨내는 것,
->정신적 임기응변으로 조사, 가림, 순간적 판단능력이 좋다,
5. 食神
->도식이다, 의식주 미해결자, 의식주를 해결못하는 사람이다,
->다른 사람이 해결해 주다, 환자, 노인, 의탁자가 필요한 사람, 양로원,
->편인 식신은 할머니 할아버지 아래서 보육된 어린 사람을 말하다,
->의식주 생존, 탁아소, 거취소, 묶어 놓아야 한다, 디딤돌,
->목발, 의족, 의료장비, 견인차, 견인을 요하는 것들이 이속에 있다,
->편인으로 인비식이면 관을 못가지고 갔으니 쟁이 전문가이다,
->관을 설해 갔으니 무허가, 꾀는 있으니 모든일에 야매, 후르꾸 전문가다,
->식약하면 당한 것이고 식왕하면 내가 하는 것이다,
->편인이 일간을 불생하면 어린이와 같으니 도움이 필요한 자로 사는 것이다,
->편인이 일간을 생하면 인고의 세월을 고통속에서 견디어 내야 한다,
6. 傷官
->편인은 관설하고 상관은 견관하니 관이 녹아난 것이다,
->은밀하게 해먹는것, 官 계통 묵인하에 간다, 음성적이고, 지하적이고,
->야마시, 야매, 후루꾸, 타인을 끼고 간다, 욕망적이고, 욕구적이다,
->컨설팅, 살아가는 방법 자문기관, 투자 자문, 일시적 직업,
->상관이 약하면 고객, 왕하면 업주, 마음먹고 활용하고 써먹는 것,
7. 比劫
->고민가, 망상가, 우울증, 편집중, 정신분열증,
->자율성, 형이상학적, 종교성, 사상성,
->자기 사상에 젖어 있는 풍류가, 또는 한량,
....
만족할수 없는 접근이네요...
* 편인월령
->2+6은 활인공덕하는 사람을 협조하는 직장인으로
->은밀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자문하고 컨설팅하는 것이니 쟁이네요,
* 천간 6+2+6
->은밀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연구하여 활인공덕하기 위하여
->자기 관리하고 컨설팅하기 위해 주경하고 야독하네요,
* 지지까지 6+2+6+7
->풍류하고 은둔하고 초정절 학문에 이르려 사색하네요,
출처 : 편인월령 중심의 육신 - blog.daum.net/024614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