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자 인연법>
재성이 입고돼 있을 경우 이를 열어주는 글자의 띠가 처. 그 글자가 팔자 안에 이미 있으면 재성 입고지 띠가 처.
○ 戊 ○ ○ ○ 戊 ○ ○
○ 辰 ○ ○ <乾> ○ 辰 戌 ○ <乾>
왼쪽은 개띠, 오른쪽은 용띠를 처로 삼습니다.
재성이 드러나 있지 않으면서 협돼 있으면 그것이 처의 띠. 재성이 드러나 있더라도 그것이 편재이고 정재가 협돼 있으면 협된 재성이 처의 띠.
○ 庚 ○ ○
○ 辰 寅 ○ <乾>
토끼띠가 처.
극신약 사주로서 재관을 감당키 어려우면 지지의 록으로써 배필을 삼습니다. 록을 쓰기 어려운 경우는 록을 보좌하는 글자.
신약하거나 사주가 탁해 재성을 쉽게 쓰기 어려운 경우 일지의 띠가 그대로 처가 됩니다. 또는 답을 찾기가 영 어려울 때도 해당됩니다.
甲 丁 丁 壬
辰 巳 未 寅 <坤>
정관이 딴 짓 하고 있습니다. 지지에 목화가 왕하니 정화가 비견을 확실히 따라갑니다. 이처럼 관이 무력하고 무근하면 세상을 바라보는 기준이 허물어집니다. 반면 인성은 강하고 운마저 목화운으로 갑니다. 이런 경우가 녹록종신입니다. 공부는 했으나 할 일이 없어 상당 기간 비관의 세월을 보냅니다. 인성은 종교도 뜻하니 신앙인으로 살아가면 분을 지키는 것이 됩니다. 운이 반대로 흘렀다면 자격증 사업, 임대사업, 교육 등으로 갔을 것입니다. 화기가 강하므로 식상이 있다 해도 그 식상을 써먹기가 힘듭니다. 더욱이 재가 너무 약해 식상생재는 논할 것이 없습니다.
乙 辛 乙 壬
未 酉 巳 寅 <坤>
관이 일지의 비견과 합함으로써 남편의 덕이 반토막. 그나마 운까지 중년부터 식상운으로 흘러 더 그렇습니다. 여름철 낮에 태어나 목화가 왕하니 식상 수를 반겨 씁니다. 온천에서 요식업을 합니다.
<관과 이혼>
관이 발달한 여명은 자존심 때문에 막상 이혼을 잘 못 합니다.
<가상관격>
辛 壬 己 庚
亥 寅 丑 子 <乾>
형태상으로는 잡기재관. 월지에서 정기인 정관과 정인 투출되어 관인소통. 정관격. 그러나 지지의 상황으로 보면 얘기가 좀 다릅니다. 이 사주는 조후가 너무 시급합니다. 겨울에 태어나 음기가 태왕하니 인목을 용신으로 삼습니다. 왕자희설에도 부합합니다. 이처럼 상관 혹은 식신을 반갑게 쓰면 가상관격이 됩니다. 즉, 정관격이 아닙니다. 이같은 사주를 교과서대로 정관격 혹은 잡기재관격이 아니라 가상관격이라고 볼 수 있으려면 상당한 실력을 요합니다. 상관을 반갑게 쓰면 가상관격, 상관을 인성으로 제복하면 진상관격(상관상진, 상관패인)이 됩니다.
己 戊 乙 戊
未 戌 丑 申
一將當關에 群邪自伏이라 을목을 용신으로 삼기 쉽습니다. 또 어떤 책에는 왕자희설로서 가상관격으로 봅니다. 목운이 다 나쁘다든가 다 좋다든가 하고 보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인목은 매우 나쁩니다. 이 사주에서 매우 중요한 신금을 때림으로써 활동력에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 연예인이라면 누드사건이니 뭐니 하고 생길 수 있습니다. 인운이 나쁘다 해서 묘, 갑, 을운도 나쁘다고 보면 안 됩니다. 이럴 때도 일단은 발전합니다. 단지 식신과 서로 궤도를 달리하고 식신의 활동력을 막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추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가령 인기가도를 달리다가 마약 사건으로 패망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쏠린 사주가 갖는 극단성의 흉의는 어쩔 수 없습니다. 수도꼭지가 하나뿐이니 그게 막히는 순간 심한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출처 : 박청화 강의 노트 10 - cafe.naver.com/1472top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