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 (五行) 干(氣的)
地(세력) 支(質的)
天地는 (오행,세력을 말하고)
干支는 (氣的, 質적인것을 말함 )
천간(寒暖) 格
氣的작용 ㅡ>드러 나는 것 (시간적인 문제)
시간으로인하여 결과가 드러난다
결과(된다.않된다)
지지(燥濕) 抑扶
세력작용 ㅡ> 드러나지 않은 것,(공간적인 문제)
공간적으로 진행하는 모습
길흉( 좋다,않좋다)
格 ㅡ> 사회적인 것
천간 >정신적
천간으로 드러날때 격이 세워진다
격은 관인적인 성향이다
사회기준으로 만들어지는 틀이다
抑扶 ㅡ>개인적인 것
지지> 물질적
지지로 작용한다
식상재 적인 성향
자기 껏을 하려하는 것
가정적인 일 들은 지지에 작용 함
※格 (그릇)과 用(능력)을 정할 때
1) 격(기준)과 용(능력.쓰임)은 강(뿌리)해야 능력을 발휘 할 수
있으니 건왕(根이 强)한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①격용은 먼저 월주에서 정한다
② 월에 없으면 시에서 정한다
③월시에 모두 없으면 년간에서 정한다
그 중 강한 것을 정하고 약한 것은 버린다
※ 격용의 작용
1) 격은 일간이 활동하는 일터로서 사회적으로 그릇이 되는 것
用(쓰임)은 일간을 감당하는 능력이 되는 것
2) 희신은 일간의 희망하는 사항이 되는 것
3) 忌는 주변애서 일어나는 잡음이나 구설이 되는 것
1.격이 뚜렷하지 못하면 사회적으로 직장, 직업이 불분명하다 (이것 저것 아닌것이 된다)
2.격이 혼잡되거나 산란하면 한가지 일에 집중되지 않고 오래
가질 못하게 된다 ㅡ> 직업에 파동이 따른다
※ 격국에서 살펴야 할 것 들
1) 격국을 정하는 법
2) 격국의 성패
3)용신이 있고 없는 것과 강하고 약한 것을 관찰
4) 운과 희기의 관계
※ 八正格을 정하는 법
1) 월지 지장간 중에서 투출한 천간을 일간과 대비하여
어떤육신인지를 파악하여 그 해당하는 육신으로 격을 정한다
2) 월지 지장간 中에서 본기가 투출하면 먼져 격을 정한다
3) 월지의 본기가 투출하지 않고 여기나 중기에 해당하는 육신이
투출했을 경우 그 투출한 육신으로 격을 정한다
寅巳申亥월은 여기의 戊가 투출해도 격으로 잡지 않는다
4) 만약 월지의 본기가 투출하지 않고 여기와 중기에 해당하는
지장간이 동시에 투출항ㅆ을 경우에는 사주전체의 상황을
보고 사주에 강한 것으로 격을 정한다
5) 월지 지장간 중에서 비견이나 겁재는 투출하더라도 격국
으로 정하지 않는다
6) 월지 지장간 중에서 본기를 비롯하여 여기와 중기모둑 투출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월지 속의 지장간을 사주전체의 상황을
대조하여 그 중에서 제일 강한것으로 격을 정하거나 본기로
정한다
7) 왕지들은 투출한게 없더라도 바로 격으로 정한다
8) 월지 본기가 아닌 여기와 중기가 투출하였더라도 합이나
충극이 되어 무력하거나 세력이 약한 경우 격으로 정하지
않는다
9) 辰戌丑未월에 지장간에 같은 오행이 투출된면 그 육신으로 격을 정한다
10) 합충, 파격, 成格의 변수 작용을 파악한다
11) 변격은 대운의 구조조정에 따라 격을 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