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역(太易)이
생(生)하여 수(水)가 되고,
태초(太初)가 .
생(生)하여 화(火)가 되고,
태시(太始)가
생(生)하여 목(木)이 되고,
태소(太素)가
생(生)하여 금(金)이 되고,
태극(太極)이
생(生)하여 토(土)가 되었다 |
봄이 가면 여름오고, 여름가면 가을오고, 가을가면 겨울오고, 겨울가면 다시 봄이 오는 이것이 바로 상생(相生)법이다.
아침이 오고, 점심을 지나면, 저녁이 오고, 저녁이 지나면, 밤이 되는 이치와 뿌리에서 줄기가 생기고, 줄기에서 꽃이 피며, 꽃이 떨어지면 열매를 맺는 과정과 같은 자연에 의하여 공전(公轉)하는 것이 상생(相生)의 원칙적인 원리이지만, 도박판에서 도박뒷돈 대주는 것처럼 상생이 좋은 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상생을 받으면 오히려 나빠질 수가 있는 경우도 많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파괴시키며 살생, 투쟁,사생결단, 투기,질투 등이 상극(相剋)이라고 할 수 있다.
상극(相剋)이란 순서를 무시하고 질서를 깨고 강제로 힘으로 침해를 받는 것을 상극이라고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도둑과 강도 등을 억압하기 위해서 경찰이 필요하듯이 상극이라고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며, 좋은 점도 많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목(木)이 생긴 때를 목기(木器)시대라 하였는데 금(金)이 목(木)을 극(剋)하고 금(金)이 지배하는 청동기(靑銅器), 철기(鐵器)시대로 넘어간다. |
土生金 .... 金은 땅에서 생기고, 土가 희생되면서 金이 생긴다. 土는 金을 낳고 金은 흙의 도움을 받는다. |
木剋土 .... 나무가 땅속에 뿌리를 내리고 살면서 그 뿌리가 땅을 마음대로 헤집고 갈라놓는다. |
금(金)이 생긴 때를 철기(鐵器)시대라 하였는데 화(火)가 철(金)을 극(剋)하고 화(火)가 지배하는 화기(火器)시대로 넘어간다. |
金生水 .... 물은 돌이나 바위에서 생기고, 金이 희생되면서 물이 생긴다. 金은 물을 낳고 물은 金의 도움을 받는다. |
土剋水 .... 흙은 물을 못흐르게 막을 수 있고, 흙으로 만든 그릇은 물을 마음대로 떠올수도 있으며, 흙으로 물을 막고 땅도 만들 수도 있다. |
화(火)가 생긴 때를 화기(火器)시대라 하였는데 수(水)가 화(火)를 극(剋)하고 수(水)가 지배하는 수기(水器)시대로 넘어간다. |
水生木 .... 나무는 물이 있어야 살수가 있다. 물이 희생되면서 나무가 자란다. 물은 나무를 키우고 나무는 물을 먹고 산다. |
水剋火 .... 물은 불을 꺼 버릴수 있고, 불은 물을 만나면 꺼지게 된다. |
수(水)가 생긴 때를 수기(水器)시대라 하였는데 토(土)가 수(水)를 극(剋)하고 토(土)가 지배하는 토기(土器)시대로 넘어간다. |
木生火 .... 불은 나무가 있어야 생길 수있다. 木이 희생되면서 불이 일어난다. 木은 불을 일으키고 불은 木을 먹고 탄다. |
火剋金 .... 불이 金을 녹여 金으로 형체를 제작 가공하여 무엇이라도 만들수 있다. |
모여드는 것은 상생(相生)이고, 흩어지는 것은 상극(相剋)이며 합하여 붙이는 것은 상생(相生)이라 하고, 해산되고 끊어버리는 것은 상극(相剋)이 되는 것이다. |
火生土 .... 흙은 불이 있어야 형체를 만들수 있다. 火가 희생되면서 그릇을 만들어준다. 火는 土를 낳고 土는 火를 먹고 만들어진다. |
金剋木 .... 金으로 만든 칼이나 도끼는 나무를 베어 낼수 있으며, 金의 칼로 나무로 만드는 형체를 제작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