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마다 전통색채의식이 형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생활 색깔로는 오방색이 있다. 전통색채는 일상생활에서
색채를 사용할 때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의식속에 자리잡고 있는 색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혼상제나 일상생활에서의 예의 범절이나 음식 또는 의복,
가정생활의 규례 등의 모든 생활 중에서도 습관적으로 배우지 않아도 이것이
한국식이라는 분위기를 갖고 있는 색이라고 할 수 있다.
오방색은 단순한 색상으로서만이 아니라 종교, 우주, 철학, 생명, 지헤등 다양한
부분에 그 의미를 두었으며, 음양오행 사상에 기반하여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나쁜기운을 몰아내기 위해 신부가 연지 곤지를 바르는 것,
나쁜 기운을 막고 무병장수를 기원해 돌이나 명절에 아이들에게 색동저고리를
입히는 것, 황토집을 짓거나 궁궐, 사찰등에 단청, 공예품등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오방색의 색채는 사상체계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오행사상체계는 전통색채에도 강력한 영양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음양오행 사상에서 다섯 가지 색채(오방정색 : 적, 청, 황, 백, 흑)는 각 방위를 나타내는 색으로도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음양(陰陽)중 양(陽)에 해당한다고 보며, 양이 존재하기 때문에 음(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음에 해당하는 색을
오방간색이라 하여 녹, 벽, 홍, 유황, 자 의 다섯가지 색을 말한다.
다섯가지의 방위에 해당하는 다섯가지 색채를 오방정색으로 양(陽)에 해당되는 색이며, 다섯가지 방위 곧 동, 서, 남, 북, 중앙
사이에 놓여지는 색을 음(陰)색으로 오방간색이라고 하는 것이다.
즉 동방의 청색과 중앙의 황색의 간색으로 녹색이라 하고, 동방의 청색과 서방의 백색의 간색으로 벽색이라 하며, 남방의 적색과
서방의 간색은 홍색이고, 북방 흑색과 중앙 황색의 간색은 유황색으로, 북방의 흑색과 남방의 적색과의 간색은 자색이라고 한다.
이 다섯가지의 정색과 다섯가지의 간색을 나눈 것은 음양의 구분한 것으로 열가지의 색이 음양의 기본색이 되는 것이다.
오방색과 오방간색이 제일 잘 표현 된 것은 단청(丹靑)이라고 볼 수
있는데, 단청이라는 말은 넓은 의미로서는 색채로 그린 모든 그림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즉 일반적으로 목조, 석조 등 건축물을 장엄하게 하거나
조상 및 공예품에 채화해서 장식하는 도(圖), 서(書), 회(繪), 화(畵)를
총칭해서 단청이라고 한다.
본래의 단청은 오채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며, 오채는 음양오행의 개념으로
중앙은 토(土)이며 황색을나타내고, 좌측 동쪽은 목(木)이며,
오색 중의 청색이고 방위신은 청룡이다.
우측 서쪽은 금(金)이며 백색으로 백호이다. 남쪽은 화(火)로서 적색이고
주작이 방위신이며, 북쪽은 수(水)로 흑색이며 현무에 적용시킨 것은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고자 하는 개념에서 이루어 진다.
다시말해 단청의 색조 즉 오채로서 배색되는 음양으 오채는
삼라만상을 나타냄을 뜻하는 것이다.
좌청룡, 우백호, 북현무, 남주작의 방위(方位)설정은 우리나라의 환경에 대한 공간적 지각에서 수평적 즉 평면적인 공간개념으로
모든 생활 공간이나 우주공간을 생각해 왔다. 거의 철저하게 이 개념을 생활공간에 적용해 오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이러한 이치에 맞게 사용함으로서 개인은 상서로우며 길하게 되고, 국가는 번창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출처 : 풍수인테리어愛 - blog.naver.com/ssh7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