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가이드#1

격국(格局) 상관격(傷官格) 1

파이팅 | 2017-10-03 13:06:12

조회수 : 1,711

격국(格局)
 
정격(正格)
 
상관격(傷官格)

 
육신(六神)으로 식상(食傷)은 아생자(我生者) 즉 日主가 生을 하기 때문에 日主의 정영(精英)을 뺏어가는 것으로서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이 있다.
식신은 日主와 음양(陰陽)이 같으며 상관(傷官)은 日主와 음양(陰陽)이 다른 육신(六神)이다.
식신(食神)은 기본 성정(性情)이 순수(純粹)하여 生을 좋아하며 상관(傷官)은 강한 기운이 잡(雜)하여 있어 기본적으로 剋하는 것을 좋아한다.
따라서 식신(食神)은 재관인식(財官印食) 사길신(四吉神)으로 분류하며 상관(傷官)은 살상겁인(殺傷劫刃) 사흉신(四凶神)에 포함되는바 격국(格局)도 별도로 정하고 있다.
상관(傷官)은 도기(盜氣), 박관(剝官), 수기(秀氣), 상귀(傷貴) 등의 별칭(別稱)을 갖고 있다.
상관(傷官)은 日主의 혈기(血氣)를 훔쳐간다고 하여 도기(盜氣)라 부르며, 일주의 기운을 설기(泄氣)하는데 日主와 음양(陰陽)이 다르므로 기운을 빼는 강도가 육신(六神) 중에서 가장 높아 수기(秀氣)라 부른다.
식신(食神)은 편관칠살(偏官七殺)을 진극(眞剋)하지만 상관(傷官)은 정관(正官)을 진극(眞剋)하여 파관(破官)하니 박관(剝官) 혹은 박관살(剝官殺 ), 상관칠살(傷官七殺)이라 부른다.
甲木 日主인 경우 상관(傷官)은 丁火이고, 정관(正官)은 辛金이다.
火剋金으로 음간(陰干)끼리 진극(眞剋)을 하며 辛金의 입장에서 보면 丁火는 일곱 번째 干이 된다.
상관(傷官)이 日主의 기운을 설기(泄氣)하고 정관(正官)을 진극(眞剋)한다 하여 나쁜 것만은 아니다.
日主의 기세(氣勢)가 태왕(太旺)하여 설기(泄氣)가 급한 경우는 상관(傷官)이 그 역할을 가장 효과적으로 하게 되며, 상관(傷官)도 식신(食神)과 마찬가지로 상관생재(傷官生財)하여 귀격(貴格)으로 이끌기 때문에 상귀(傷貴)라 별칭(別稱)한다.
따라서 육신(六神)을 사길신(四吉神)과 사흉신(四凶神)으로 구분을 하고 있으나, 사주의 구성에 때라 길신(吉神)이 흉신(凶神)이 되며, 흉신(凶神) 또한 최귀격(最貴格)의 길신(吉神)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관격(傷官格)은 다른 격국과 마찬가지로 월령(月令)으로 격국(格局)을 정하나 상관격(傷官格)은 격국(格局)중에서 가장 변화가 많다.
따라서 상관격(傷官格)은 천간(天干)에 상관(傷官)의 투출(透出) 여부(與否)와 상관없이 사주의 간지(干支)중 상관(傷官)이 유기(有氣)한 경우는 상관격(傷官格)으로 정하게 되니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격국(格局)을 판단해야 된다.
상관격(傷官格)은 진상관격(眞傷官格)과 가상관격(假傷官格)으로 구분을 한다.
진상관격(眞傷官格)과 가상관격(假傷官格)에 대해서는 시중에 나와 있는 책자들과 학자들의 설명이 다양하고 복잡하게 설명되어 있어 혼동의 여지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진상관(眞傷官)이란 상관(傷官) 육신(六神)이 유기(有氣)하여 日主의 기운을 왕성하게 설기(泄氣)하고 있으며 관성(官星)을 진극(眞剋)하고 있는 힘이 우월한 경우이다.
따라서 진상관격(眞傷官格)은 사주에서 상관(傷官)의 기세(氣勢)가 왕성하여 자연적으로 日主가 신약(身弱)한 경우를 말한다.
반대로 가상관격(假傷官格)은 상관(傷官)이 득기(得氣)하지 못하여, 日主의 기세(氣勢)를 제대로 설기(泄氣)하지 못하고 日主가 신왕(身旺)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역시 관성(官星)을 진극(眞剋)하는 힘이 월등하지 못하고 대치하고 있거나 관성(官星)의 기세(氣勢)에 극제(剋制)를 당하고 있는 경우가 가상관격(假傷官格)이 된다.
진상관격(眞傷官格)과 가상관격(假傷官格)의 구별을 편하게 하는 방법은 상관격(傷官格)의 사주 내에서 상관(傷官)의 기세(氣勢)가 태왕(太旺)하면 진상관격(眞傷官格)이 되고 상관(傷官)의 기세(氣勢)가 약하면 가상관격(假傷官格)이라 생각하면 합리적인 판단이 될 것이다.
상관(傷官)은 관성(官星)을 파극(破剋)하는 육신(六神)이니 상관격(傷官格)에서 관성(官星)을 보는 것을 크게 꺼리며 관성(官星)이 있는 경우 상관(傷官)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制去)되거나 관성(官星)이 전무(全無)하여야 한다.
이를 상관상진(傷官傷盡)이라 한다.
하지만 상관격(傷官格)에서도 오히려 관성(官星)을 즐거워하는 경우도 있다.
상관격(傷官格)에서는 다른 격국(格局)과는 달리 상관격(傷官格)으로 성격(成格)되었을 때 日主와 상관(傷官)의 오행(五行) 기준으로 하여 별칭(別稱)하고 있다.
甲乙木 日主에 월령(月令)이나 유기(有氣)한 상관(傷官)이 화기(火氣)의 오행일 경우 목화상관격(木火傷官格)이라 하며, 같은 방법으로 화토상관격(火土傷官格), 토금상관격(土金傷官格), 금수상관격(金水傷官格), 수목상관격(水木傷官格)으로 별칭(別稱)하고 있다.
상관격(傷官格)의 사주도 신왕(身旺)함을 요구(要求)한다.
하지만 상관격(傷官格)의 구성 자체가 식신격(食神格)과 마찬가지로 日主의 설기(泄氣)를 전제하게 되므로 신약(身弱)의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관격(傷官格)에서는 인성(印星)과 재성(財星)을 가장 좋아한다.
명리정종(命理正宗)에 상관약견인수 귀불가언(傷官若見印綬 貴不可言)이라 하여, 만약 상관(傷官)이 인성(印星)을 보면 귀(貴)함을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뜻이다.
상관격(傷官格) 자체가 日主의 혈기(血氣)를 설기(泄氣)하니 인성(印星)을 만나야 상관(傷官)을 견제하고 신왕(身旺)해져 귀격(貴格)이 된다는 의미이다.
재성(財星)을 좋아한다는 것은 상관(傷官)은 정관(正官)을 파극(破剋)하므로 재성(財星)이 있어 식생재(食生財), 재생관(財生官)으로 통관(通關), 재성(財星)이 상관(傷官)을 인화(引化)하고 관성(官星)을 生함으로서 관성(官星)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관성(官星)은 명예(名譽)와 자손(子孫)이며, 여명(女命)의 경우는 부성(夫星)이기 때문에 상관(傷官)에 피상(被傷)되면 극자극부(剋子剋夫)하게 된다.
상관격(傷官格)에는 재성(財星)과 인성(印星)이 있어야 귀격(貴格)이 되며 만일 재성(財星)이 전무(全無)하면 빈한(貧寒)한 명(命)이 된다.
 
 
출처 : 명리세상 - blog.daum.net/gbell58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26 Fun 다음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26 Fun 다음
© 원제역학연구원

select count(*) as cnt from g4_login where lo_ip = '18.119.105.155'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m/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