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살론(神殺論)

명리약언-재관쌍미(財官雙美)를 논함

임대건 | 2012-03-13 11:06:50

조회수 : 3,204

 http://cafe419.daum.net/_c21_/bbs_read?grpid=11iE8&mgrpid=&fldid=JTdc&… [480]
재관쌍미(財官雙美)를 논함

구서(舊書)에서는,
壬午日癸巳日은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인데,
壬水가 기토관성(己土官星)과 정화재성(丁火財星)을 깔고 앉았고,
癸水가 무토관성(戊土官星)과 병화재성(丙火財星)을 앉았으며 협잡(夾雜)이 없는 까닭이다.
겨울에 태어남을 기뻐하고, 간두에 칠살(七殺)이나 상관(傷官)이 나타나는 것은 꺼린다’라고 한다.

壬午日과 癸巳日은 진실로 아름다우나,
그러나 일지(日支)가 재관(財官)인 것은 단지 한 부분일 뿐인데, 어찌 그것을 근거로 하여 격(格)이 될 수 있을 것인가?

또한 재관(財官)을 귀하다고 하는 바는 일주가 감당할 수 있기 때문인데,
설령 壬午日이라고 할지라도 간지에 丁己午未가 거듭 나타났거나, 癸巳日이라고 할지라도 간지에 丙戊辰巳가 중중으로 나타났으면 필시 재관(財官)을 감당할 수 없으니 이것은 도리어 아름답지 않다.

또한 가령 간두에 칠살(七殺)이 나타났고 巳午가 충(沖)을 만나서 재관쌍미(財官雙美)로 취격(取格)하지 않는데 달리 살인(殺刃)이 상제(相濟)하여 살인상정격(殺刃相停格)을 이루었거나,
혹은 甲乙木이 투출하고 亥卯未가 나타나서 상관국(傷官局)을 이루었는데 극제가 있고 인화가 있으면, 모두 귀(貴)를 취할 수 있다.
어찌 반드시 좌하(坐下)의 재관(財官)에 얽매여야 하고, 반드시 칠살(七殺)과 상관(傷官)은 취용하지 않을 것인가?

총괄하건대,
좌하(坐下)가 재관인식(財官印食)이면 아름다운 형질을 이미 갖춘 것이니, 만약 전국(全局)의 억부(抑扶)가 마땅함을 얻었으면 영현(榮顯)이 비교적 쉬우나, 그것에 의지하여 귀하게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혹자(或者)는 ‘고인(古人)이 십간(十干)중에서 단지 이 두 날만을 취하였는데, 반드시 다른 날과 같지 않은 점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는데,
부지(不知)로되,
己亥日도 갑목관성(甲木官星)과 임수재성(壬水財星)을 깔고 앉았다. 이것과 어찌 다른가?1)
1)壬午日의 기토관성(己土官星)과 정화재성(丁火財星)은 午가 녹궁(祿宮)이고, 癸巳日의 무토관성(戊土官星)과 병화재성(丙火財星)은 巳가 녹궁(祿宮)이나, 己亥日의 임수재성(壬水財星)은 亥가 녹궁(祿宮)이라고 할지라도 갑목관성(甲木官星)은 亥가 녹궁(祿宮)이 아니다.

가령 일주가 관인(官印)을 깔고 앉은 것도 또한 많은데,
어찌 인수(印綬)가 나타나는 것은 재(財)가 나타나는 것만 못하고, 어찌 재(財)를 취하는 것이 보다 나을 것인가?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
*벽천 김석환 선생님(고 자강 이석영 선생님의 계승자)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제대로 보는 적천수천미(전4권),
*제대로 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전2권)
*제대로 보는 자평진전(전2권),
*제대로 보는 궁통보감(전2권),
*제대로 보는 명리약언(전1권) 출간.
 
 
원제역학연구원:  http://wonje.co.kr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3 Fun 다음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3 Fun 다음
© 원제역학연구원

select count(*) as cnt from g4_login where lo_ip = '18.222.20.30'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m/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