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1 (월)

 가입인사
close
HOME > 명리고급 > 자 평 진 전 강의

본 게시판의 모든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원제역학연구원에 있으며, 본 게시판의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사용을 엄격히 금합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제대로 보는 자평진전-잡격(雜格)의 취운(取運)을 부론(附論)함

페이지 정보

본문

잡격(雜格)취운(取運)을 부론(附論)함

잡격(雜格)은 한결같지 않은데, 대체로 기세(氣勢)가 편왕(偏旺)하고 오행의 상리(常理)를 벗어난 것들이다.

옛 사람들은 간명(看命)하되,
재관지설(財官之設)에 구애되어 사주에 취할만한 재관(財官)이 없으면 요합(遙合)이나 도충(倒沖)을 억지로 끌어들여서 재관(財官)에 부합시키고자 하였는데, 가소로움을 면하지 못한다.

명리는 오행(五行)을 벗어나지 않는다.
기세(氣勢)가 비록 편왕(偏旺)에 속한다고 할지라도 편왕(偏旺)한 가운데에도 취할만한 정리(正理)가 여전히 있는데, 적천수(滴天髓)를 자세히 살펴보라.

편왕(偏旺)한 격국에서의 취운(取運)은 대체로 반드시 그 기세(氣勢)에 순응하여야 한다.
비록 간지(干支)의 희기(喜忌)는 반드시 사주의 배합(配合)을 살펴보아야 한다고 할지라도, 그 기세(氣勢)에 순응하여 취운(取運)하는 것이 대체적이다.
이에 본편(本篇)에서 인용한 각각의 명조를 가지고서 간략하게 취운(取運)을 이야기한다.  



곡직인수격(曲直仁壽格)

壬  乙  乙  癸
午  未  卯  亥
戊己庚辛壬癸甲
申酉戌亥子丑寅

甲乙일주가 지지에 亥卯未 혹은 寅卯辰이 전부 있으면 곡직인수격(曲直仁壽格)이다.
기세(氣勢)가 木에 편왕(偏旺)하니 마땅히 수목화운(水木火運)으로 행하여야 하고, 관살운(官殺運)은 가장 꺼리며, 재운(財運)도 또한 마땅하지 않다.
丙丁일주가 지지에 寅午戌 혹은 巳午未가 전부 있으면 염상격(炎上格)이고,
戊己일주가 지지에 辰戌丑未가 전부 있으면 가색격(稼穡格)이며,
庚辛일주가 지지에 巳酉丑 혹은 申酉戌이 전부 있으면 종혁격(從革格)이고,
壬癸일주가 지지에 申子辰이나 혹은 亥子丑이 전부 있으면 윤하격(潤下格)인데, 다섯 종류의 의의(意義)는 서로 같다.
이 명조는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에 未中己土가 용신이니, 화토금운(火土金運)이 길하고 수목운(水木運)은 불리하다.



화기격(化氣格)

甲  壬  丁  甲
辰  寅  卯  戌
甲癸壬辛庚己戊
戌酉申未午巳辰

정임화목(丁壬化木)이 춘월(春月)에 생하고 시(時)에 甲辰을 만나 木의 원신(元神)이 투출하였으니 화기격(化氣格)인데, 기세(氣勢)가 木에 편왕(偏旺)하다.
화신(化神)은 왕지(旺地)로 행하는 것을 기뻐하니, 가장 마땅한 것은 비겁지향(比刦之鄕)인 동방(東方)의 寅卯辰이고, 관살운(官殺運)은 꺼린다.
일주의 환원지지(還原之地)도 또한 꺼리나, 그 중에는 조금 차이가 있다.
가령 정임화목(丁壬化木)에 일원이 壬水인데 인수지지(印綬之地)인 亥子丑으로 행하면 화신(化神)을 생기(生起)하니 역시 길하나,
만약 갑기화토(甲己化土)에 일원이 甲木인데 寅卯辰으로 행하면 화신(化神)을 극하니 크게 꺼린다.
화기격(化氣格)에는 갑기화토(甲己化土), 을경화금(乙庚化金), 병신화수(丙辛化水), 정임화목(丁壬化木), 무계화화(戊癸化火)라는 다섯 종류가 있는데, 의의(意義)는 대략 같다.
이 명조는 화격(化格)에 화신유여(化神有餘)이니, 목화운(木火運)이 길하고 토금운(土金運)은 불리하며 수운(水運)은 평탄하다.



도충격(倒沖格)

戊  戊  戊  戊
午  午  午  午
乙甲癸壬辛庚己
丑子亥戌酉申未

양신성상(兩神成象)인데, 기세(氣勢)가 火土에 편왕(偏旺)하니 종왕격(從旺格)이다.
금운(金運)이 가장 마땅한데, 토기(土氣)를 덜어내는 까닭이다.
다만 화염토조(火炎土燥)하여 결국은 꺼리게도 편고(偏枯)하니, 마땅히 대수지토(帶水之土)*로 호위하여야 한다. 가령 庚辰 辛丑등의 운이 가장 아름답다.
만약 수운(水運)이 나타나면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한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는 것과 같으니, 재앙이 바로 나타난다.
소위 ‘도충(倒沖)은 전실(塡實)을 가장 꺼린다’는 것인데, 즉 이러한 뜻이다.
목운(木運)은 土의 성질을 거스르고 火의 뜨거움을 더하니 역시 마땅하지 않다.
*대수지토(對水之土): 水를 가지고 있는 土, 丑辰.
이 명조는 종기화토격(從氣火土格)이니, 화토운(火土運)이 길하고 수목운(水木運)은 불리하며 금운(金運)은 평탄하다.




甲  丙  庚  甲
午  午  午  寅
丁丙乙甲癸壬辛
丑子亥戌酉申未

庚金은 무근(無根)이니 버리고 논하지 않으며, 기(氣)가 木火에 치우쳤으니 염상격(炎上格)을 이루었다.
가장 마땅한 것은 토운(土運)인데, 화기(火氣)를 덜어내는 까닭이다. 전의 곡직인수격(曲直仁壽格)에서 이야기하였다.
이상의 두 명조는 모두 소위 ‘도충격(倒沖格)’이다.
이 명조는 염상격(炎上格)이다.



조양격(朝陽格)

戊  辛  辛  戊
子  酉  酉  辰
戊丁丙乙甲癸壬
辰卯寅丑子亥戌

이것은 금수상관(金水傷官)인데, 원국(原局)에 관성(官星)이 없다.
기세(氣勢)가 金水에 치우쳐서 그 성질에 순응하여야 하니 토금수운(土金水運)으로 행하면 아름답고, 화운(火運)은 꺼린다.
水를 대동한 목운(木運)은 행할 수 있으나, 火를 대동한 목운(木運)은 마땅하지 않다.
이것은 소위 ‘조양격(朝陽格)’이다.
이 명조는 가상관격(假傷官格)에 子中癸水가 용신이니, 금수목운(金水木運)이 길하고 화토운(火土運)은 흉하다.




庚  戊  戊  己
申  辰  辰  未
辛壬癸甲乙丙丁
酉戌亥子丑寅卯

이것은 토금식신격(土金食神格)이다.
비겁(比刦)이 중중(重重)하고 기세(氣勢)가 土金에 치우쳤으니 금운(金運)으로 土를 설수(洩秀)하는 것이 가장 길하고, 수운(水運)도 또한 아름답다.
화운(火運)은 꺼리고, 목운(木運)도 또한 좋지 않은데 소위 ‘土가 왕성하면 木이 부러진다’는 것이다.
항간에서는 ‘庚金이 합한 乙木이 관성(官星)이고 이름하여 합록격(合祿格)이다’라고 하면서,
또한 ‘응당 관성(官星)이 나타나서는 아니 되고 재(財)의 생은 기뻐한다’라고 하는데, 취운(取運)은 대략 같다.
이 명조는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에 申中壬水가 용신이니, 금수목운(金水木運)이 길하고 화토운(火土運)은 흉하다.



합록격(合祿格)

庚  癸  辛  己
申  未  未  酉
甲乙丙丁戊己庚
子丑寅卯辰巳午

항간에서는 또한 이름하여 합록격(合祿格)이라고 하는데, 申이 합한 巳중의 戊土가 관성(官星)이다.
월령이 편관(偏官)이고 년상(年上)에서 투출하였는데, 칠살(七殺)을 인화하는 시상(時上)의 경금인수(庚金印綬)가 용신이다.
격국(格局)이 바르고 청(淸)한데, 어찌 아름답지 않은가?
만약 巳중의 무토관성(戊土官星)을 취용한다면 어찌 관살혼잡(官殺混雜)이 아닐 것인가?
이 명조는 살인상생격(殺印相生格)에 辛金이 용신이다.



종재격(從財格)

己  丙  乙  庚
丑  申  酉  申
壬辛庚己戊丁丙
辰卯寅丑子亥戌

乙木이 庚金을 좇아 화(化)하였으니 인수(印綬)로 논하지 않는다.
丙火가 申에 임하여 병지(病地)를 깔고 앉았고 사주가 무근(無根)인데, 시상(時上)의 己丑이 또한 생금(生金)하여 기세(氣勢)가 金에 편왕(偏旺)하니 기명종재격(棄命從財格)이다.
운은 마땅히 토금수(土金水)로 행하여야 한다.
남방(南方)의 화운(火運)을 가장 꺼리고, 목운(木運)도 또한 불리하다.
이 명조는 아우생아종재격(兒又生兒從財格)이다.



종살격(從殺格)

甲  乙  乙  乙
申  酉  酉  酉
戊己庚辛壬癸甲
寅卯辰巳午未申

乙木이 무근(無根)이고 기세(氣勢)가 金에 치우쳤으니 기명종살격(棄命從殺格)이다.
금운(金運)이 가장 아름답고 수토운(水土運)도 또한 길하나,
목운(木運)은 乙木이 뿌리를 만나고 화운(火運)은 그 왕세(旺勢)에 거스르니 모두 마땅하지 않은데, 위의 종재격(從財格)과 대략 서로 같다.
이 명조는 가종살격(假從殺格)이니, 토금운(土金運)이 길하고 수목화운(水木火運)은 흉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4건 1 페이지
  • RSS
자 평 진 전 강의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4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641 03-14
13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95 03-14
12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26 03-14
11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78 03-14
10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220 03-14
9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56 03-14
8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71 03-14
열람중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59 03-14
6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557 03-14
5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53 03-14
4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36 03-14
3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601 03-14
2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237 03-14
1 no_profile 원제 임정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543 03-14

검색

무료사주강의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27622]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18208]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172]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2523]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26954]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26354] 2
아들의 외고합격 [446567] 2
젊은 여성의 임신 [379217] 1
재벌 회장의 사주 [435398] 2
유명가수의 사주 [430061] 1
보험설계사 [40052]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0802]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1804]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