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불초
페이지 정보
본문
금불초의 효능과 이용에 대하여 알아보기

금불초(선복화 라고도 한다)는 습지나 강가의 풀밭, 논둑 등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키가 20~60cm 정도 되며 근경이 뻗으면서 번식한다. 습한것과 추위에도 아주 강한편이며 볕이 잘드는 곳이면 어떤 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여름에만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재배하기 좋다. 7~9월에 꽃이 피며 지름이 3~4cm로서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 전체가 산방상을 이룬다. 꽃은 노란색으로 피는데 환하고 부드럽다.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짜고 맵고 쓰다.
*. 효능알아보기.
거담작용을 한다.
천식과 호흡 곤란을 편안하게 하며 담을 없애는 작용이 뛰어나다. 주로 해수, 천식, 소화불
량, 흉협창만, 심하 비경을 치료하며 간, 폐, 위, 방광경에 들어간다. 용량은 1일 6~12g으로
하여 끓이거나, 알약 또는 가루약으로 먹는다.
*. 질병에 따라 먹는방법.
1. 식용방법.
7~9월에 꽃이 활짝피었을 때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그대로 쓰거나 약간 볶거나 꿀을
발라 살짝 구워서(혹은 태워서) 쓴다. 4~5월즘 싹이 돋아나면 어린순을 먹는데 찬물에 하
루정도 우려내어 나물로 먹거나 된장국에 넣어 먹는다.
2. 급성 위장염으로 입에서 냄새가 나고 갈증과 딸꾹질을 자주하면.
반하, 석고, 죽여를 가미하여 사용한다. 만약 복용후에도 딸꾹질이 멎지 않을 때 정향, 감
꼭지, 지실을 선복화와 함께 사용하면 대변이 잘 통하고 딸꾹질이 멎는다.
3. 한담증으로 해수가 심하면.
숨이 가쁘고 목구멍에 담이차면 마황, 세신, 반하, 소자를 배합하여 쓰면 담을 제거하고 해
수를 멎게 한다.
4. 열로 인한 해수에는.
호흡이 가쁘고 끈적한 누런색 담이 많이 나오면 행인,패모, 상백피, 과루피를 배합하여 복
용하면 담열을 제거할수 있다.
5. 만성 기관지염에는.
발작이 일어나 담열이 심할때는 대황, 길경, 상백피를 배합하여 사용한다.
출처 : 몸의 건강을 지켜주는 약초 - kby8478.blog.m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