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꽃의 효능
페이지 정보
본문
나팔꽃의 효능과 이용에 대하여 알아보기

아시아가 원산지로 흔히 나는 메꽃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길이는 2~3m되고 전체가 밑을 향해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흔히 보라색, 흰색, 붉은색으로 핀다. 열매는 8~9월에 열리며 성숙기(8~10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씨앗이 검거나 희고 그 약효가 소 한 마리와 바꿀수 있을 정도로 높다하여 “견우자(牽牛子)”라 한다. 씨앗이 검으면 “흑축”, 황색이면 “백축”이라고도 부른다.
*. 효능알아보기.

견우자는 보통 가루내어 쓰거나 끓이거나 볶아서 쓴다. 약성을 지켜 법제를 할때는 보통 막걸리에 버무려 3~4시간 찐다. 원래 성질이 차기 때문에 그것을 완화 시키고자 함이다. 그후 다시 말려 찧어서 가루내어 채서 첫물만 약으로 쓴다. 속명은 견우자에 함유되어 있는 “파르비틴” 이라는 성분에서 나왔다. 원래 파르비틴은 장내에서 담즙과 장액에 접촉되면 특정한 산이 발생되는데 이것이 장관에 강렬한 자극을 주어 장의 유동작용을 강화하고 그로 인해 장점막이 충혈되고, 분비액을 증가 시킨다. 그래서 심한 변비에 효과적이다. 많은 양을 내복하면 중독현상이 생기므로 주의한다.
1. 강한 사하작용이 있다.
소변을 통하게 하고 적체를 내려보내고 수종을 물리친다.
2. 거담작용을 한다.
천식 환자로서 담이 너무 많아 토해낼수 없을 때, 누워 있을수도 없을때, 거담제가 효과
가 없을 때 견우자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 질병에 따라 먹는 방법.

1. 변비에는.
위장에 실열이 꽉차서 생기는 변비, 복부창만, 복수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견우자
4~12g을 사용하면 장의 점막을 자극하여 분비액의 증가를 촉진해 배설작용을 원활하게
한다.
2. 간경화, 신염에는.
복수가 있거나 소변 보기가 힘들어지면 견우자에 망초, 대황을 배합하여 쓰면 체내에 쌓
인 수분이 대소변으로 나가게 된다.
3. 오랜 변비에는.
발열이 장기간 계속되어 체내에서 수분이 소모되고 변비와 복부 팽만을 초래하면 황련,
황금, 망초를 배합하여 사용한다.
4. 벌레 물린 상처에는.
주로 외용으로 쓰는데 꽃잎을 짓이겨 즙을 짜서 상처에 바른다.
5. 피부미용에는.
견우자는 미용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견우자 가루를 달걀 흰자에 개서 자기전에 바르
고 아침에 잘 씻어낸다.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탄력을 높인다.
출처 : 몸의 건강을 지켜주는 약초 - kby8478.blog.m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