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엉(우방자) 효능
페이지 정보
본문
우엉(우방자)의 효능과 이용하기

우엉은 소들이 잘먹는다 하여 “소풀(우방)” 이라하고, 꽃받침 조각의 끝이 굽어 갈퀴 모양인데 박쥐가 매달려 늘어져 있는 것 같다해서 “편복자”라 한다. 또한 열매의 모양이 지저분하고 가시가 많아 “악실”이라 하고 쥐가 지나다니다가 걸리면 못 벗어난다해서 “서점자”로 불린다. 각처의 밭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로 원산지가 뚜렷하지않으며 주로 유럽, 시베리아, 만주 등지에서는 야생종을 볼수 있다. 우엉은 두해살이풀로서 키가 1.5m 정도 되며 비대한 뿌리가 30~60cm정도 곧추 들어가고 약용. 식용으로 쓴다. 꽃은 7월에 피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총포는 둥굴고 포는 뾰족해 끝이 갈고리 모양이다. 꽃은 검은 자줏빛이 돌고 종 모양의 관상화뿐이며 관모가 갈색이다. 열매는 8~9월에 익으며, 열매만을 햇볕에 말려 그대로 사용하거나 볶아 사용한다. 씨는 “우방자”, “서점자”. “악실” 이라고도 부르며 잎도 약용한다. 한방에서는 우엉을 “우방자(牛蒡子)라고 부른다. 성질은 차고 맵고 쓰다.
*. 효능알아보기.

1. 풍열소산. 소염. 해독작용을 한다.
인후종통에 좋은 치료효과를 갖는다.
2. 진통작용을 한다.
두통, 후두부의 견인통을 치료하는데도 좋다.
3. 통변작용을 한다.
유지방을 25~30% 함유하고 있어 발열질환으로 대변이 건조하여 굳은 경우 대변을 원활
하게 배설시킨다. 또한 배뇨가 순조롭게 못할때도 효과가 좋다.
4. 항균작용을 한다.
우엉 전체에 항균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황색 포도당 구균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
한다. 우방엽에 있는 항균성분은 꽃이필때에 가장 높다.
5. 이뇨작용을 한다.
우엉에는 셀룰로스와 리그닌 등의 식물성 섬유가 들어있어 변비를 풀어주고 당질속의 이
눌린 성분이 신장의 기능을 도와 몸안의 노폐물을 배설되도록 돕는 이뇨작용이 있다.
*. 질병에 따라 먹는방법.

1. 염증이 있을 경우.
염증을 제거하는 작용이 뛰어나므로 이하선염, 편도선염에 사용되고 급성 유선염 초기에
즙을 내어 개어서 환부에 직접 바르기도 하며 포공영, 금은화, 연교와 함께 내복하기도
한다. 뿌리는 풍열로 인해 얼굴이 붓고 종기가 있을 때 쓰면 좋고, 동맥경화가 있거나
온몸이 여기저기 쑤시며 피부가 까칠해진데 좋으며, 입안에 염증이 생겼거나 잇몸이 부
었을때도 좋다.
2. 소변이 잘 안나오면.
우엉잎을 찧어 즙을 내어 같은 량의 생지황의 즙과 섞은뒤 같은량의 꿀을 타서 녹인후,
물 반컵으로 끓여 활석(곱돌가루)4g을 타서 한번에 한컵씩 마시면 효과가 좋다.
3. 습진, 두드러기, 땀띠 등에는.
우엉의 뿌리든 잎이든 적당히 씻어 자루속에 넣고 목욕물에 우려서 쓴다. 심한 경우에는
진하게 달여 식힌후에 목욕하고 나서 피부에 바르고 분을 바른다.
4. 월경불순에는.
혈액을 원활히 순환시키므로 월경불순일 경우에 우엉술을 담가 마시면 좋다.
출처 : 몸의 건강을 지켜주는 약초 - kby8478.blog.m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