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야모야병의 증상과 치료방법
페이지 정보
본문

모야모야병의 증상
소아의 경우 보통 24시간 이내, 흔히 1~2시간 이내에 혈관이 딱딱해져서 일시적으로 한쪽 팔다리에 마비증상이 나타나고, 저리거나 운동기능이 마비되며, 발음에 장애가 생기고 시력이 저하되는 일과성 허혈발작이 나타난다.
또한 뇌 속의 동맥고리인 윌리스환이 점차적으로 좁아져 뇌 혈류가 감소될 때 그에 따른 증상을 보이는데, 증상이 서서히 심해지므로 초기에 부모들이 자칫 병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성인에게는 뇌출혈이 일어나며, 두통, 의식장애 증상과 출혈 부위에 따른 부분적 신경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라면이나 국과 같이 맵고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풍선이나 악기를 부는 경우, 심하게 울 때에 과호흡으로 일시적으로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지면서 뇌혈류가 감소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운동으로 탈수가 된 경우에도 증상이 유발될 수 있는데 대개 갑작스레 울고 난 후 몸에 힘이 빠지면서 몸 한 쪽에 마비가 오거나 반신불수를 일으키고, 곧 회복되는 등의 일과성 허혈 증상이 반복되다가 뇌경색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간혹 심한 두통이나 간질성 경련을 보이기도 합니다.

증상은 주로 4세~6세 경 유발되지만 아주 어린 나이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출혈의 경우 소아가에서는 발생이 드물고 30~40대의 성인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따라 영구적인 장애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모야모야병의 원인?
병리학적으로 동맥 안쪽의 막인 동맥내막이 점차 두꺼워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야모야병의 원인으로 후천성과 선천성에 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어 전반적인 정확한 발병 원리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모야모야병 치료방법
환자의 임상적 증상 상태와 병의 진행 정도에 맞추어 치료방법을 결정합니다.
급성기 뇌허혈 증상이 유발된 직후에는 우선 내과적인 약물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뇌를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치료를 합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복용으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약물을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아직까지 모야모야병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합니다.
이상증상이 보일경우(*뇌허혈 증상) 반드시 정밀검사를 통해 진단해보시기 바랍니다! |
*뇌허혈 증상 :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발음장애 등이 흔히 발생
출처 : 생활정보 - blog.daum.net/lalallaa_8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