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觀相) 팔관법(八觀法)
페이지 정보
본문
1. 팔관법(八觀法)
| 
 주역(周易)의 괘상(卦象)에 대입하여 전체적 형상을 3길상(三吉相)과 5흉상(五凶相)으로 나누어 관찰한다.  
길상(吉相) 
 [설명] 
* 위맹지상(威猛之相): 위엄이 당당하며 그 신색의 엄숙함이 두려운 상이다.  널리 군중을 모으고 집중시키는 영웅 호걸형으로 리더격의 타입이다.  
* 후중지상(厚重之相): 태산같이 무게가 있고 후덕해 보이는 상이다. 부(富)함을 타고난 상이다.  재산가의 타입이다. 
* 청수지상(淸秀之相): 정신이 탁월하게 뛰어나 맑고 깨끗하다. 속세에 물들지 않은 듯 귀(貴)함을 타고난 상이다. 후(厚)함이 없으면 다소 경박해 보일 우려가 있다.  학자 선비의 타입이다. 
흉상(凶相) 
 [설명] 
* 고괴지상(古怪之相): 내모난 형태로 바위 같이 위맹(威猛)은 보이나 빛이 맑지 못해 지혜가 부족하고 속되며 다소 무식한 천(賤)상이다.  즉 덩치 값도 못하는 무지렁이 타입이다. 
* 박약지상(薄弱之相): 빈약하고 천박하게 보이며 야무지지 못해 가볍고 겁먹은 듯한 기색으로 빈천(貧賤)이 따라붙은 상이다. 
즉 볼품없는 타입이다.   
* 속탁지상(俗濁之相): 빛이 혼탁하고 맑지 못해 마치 쓰레기 속에 섞여있는 것같이 천하고 저속하다. 눈빛이 흐려 부족한 듯 두리번거리며 세상을 못마땅해 한다. 의식(衣食)의 여유가 없는 상이다. 게으른 거지 타입이다. 
* 고한지상(孤寒之相): 목뒤가 길고 어깨가 오그라들듯 하고 다리가 삐뚤어진듯하며, 앉을 때 몸이 한편으로 기울어져 쓸쓸해 보이는 상이다.  고독한 과부 또는 외롭게 집도 절도 없는 나그네 타입이다. 
* 악완지상(惡頑之相): 음모를 품고 있는 듯 보이며, 목소리도 바르지 못하며 성격도 난폭하여 눈알이 바르지 못하고 범죄형으로 남의 배려도 없는 상이다.  사기꾼 또는 범죄자 타입이다. 
이 형은 얼굴자체로만으로는 나타나지 않으니 심상(心相)과 행동거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알아볼 수가 있다.  | 
출처 : 觀相學(관상학) - blog.daum.net/choitj1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10-2263-9194
 국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