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에서는 기의 출입처라고 말합니다.
집의 가장 중요한 3요소인 양택3요는 대문, 안방, 부엌을 말하지요.
가상에서 얼마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지 아시겠지요.
동,서사택이론 이라는게 있어요.
간단히 말해 이 양택3요의 배치가 동사택의 경우는 북, 동, 남동, 남쪽에 배치되거나
서사택의 경우는 북동, 북서, 서, 남서쪽에 배치되어야 한다는것인데 아파트주거가 대부분인 요즈음 굳이 적용시키기는 힘들겠지요.
우선 대문의 방향에 대하여 얘기해 볼까요.
주택의 좌향에 따라 약간씩 길흉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동쪽, 남쪽, 북서쪽 방위를
길하게 보는군요.
서쪽대문은 여자가 가정을 주도하고 아들을 얻을수 없다고 보는군요.
북쪽대문은 병에 걸릴 우려가 크고 실패가 많아서 기운이 쇠퇴한답니다.
그리고 북동쪽은 변화가 많고 길흉이 교차한다는 군요.
그 다음 대문의 크기와 모양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일단 대문은 집에 비해 터무니없이 크거나 대문의 모양이 흉하면 가운이 기운답니다.
대문의 무늬는 부드러운 느낌이나 가지런한 느낌을 주는 전통적인 무늬가 좋죠.
날카로운 쇠붙이로 장식한 대문은 드나드는 기를 탁하게 만든답니다.
색깔은요, 가족들의 상태에 따라 조화롭게 해야 하는데 호흡기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흰색은 금물이며, 위장병환자가 있다면 녹색은 안되고, 당뇨환자가 있다면 노란색이 좋지않겠죠. 오행상생상극의 원리랍니다.
꽉막힌 대문보다는 사이사이로 안팎이 서로 통할 수 있는 대문이 좋대요.
그리고 현관문이든 방문이든 여닫을때 삐걱이는 소리가 나면 안된답니다.
즉시 기름칠을 해주어 안정된 소리가 나도록 할것. 아셨죠?
다음은 현관의 인테리어에 대해 이야기해볼께요.
일단 환해야 해요. 그래야 기의 순환이 원활하답니다.
따뜻하고 온화한 느낌이 나는 백열등이 더 좋다는 군요.
그리고 청결해야 합니다. 상식적인 문제지만 현관은 기의 출입구죠.
현관을 통해서 기가 들어오는데 현관에 먼지나 잡동사니들이 쌓여 있다면 그대로 탁한
기운이 묻어서 실내로 유입되겠지요.
자질구레한 물건들은 눈에 보이지 않도록 수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관입구의 실내쪽 측면에는 밝은 느낌의 그림(정물화, 풍경화)이나 거울을 걸어두십시오.
왼쪽에 팔각형이나 둥근 거울을 걸면 재운이 상승한다는 군요.
거울 앞쪽에는 관엽식물이나 꽃을 두시면 기운이 더 살아나죠.
현관은 항상 청결하게, 물걸레질을 한다음에는 바로 말려서 물기가 질척거리지 않도록
해야 한답니다.
또 하나,
현관문을 들어서서 집 안을 바라볼때 좌측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지점은 매우 중요한
방위적 기능이 작용하는 공간이랍니다. 집의 장래를 결정지을 포인트라는 군요.
이 지점에 화장실이나 창고같은 공간이 있게되면 매우 해로운데 밝고 우아한 조명을 적당한 곳에 설치하여 기의 흐름을 순화시키라는 군요.
아 또 있군요.
단독주택의 경우인데요, 화장실과 대문이 마주보면 흉하답니다.
담보다 대문이 높아서도 안되고 대문안에서 물이 새는등, 물기가 보이면 절대로, 절대로,
안된대요. 대문앞에 묵은 나무가 있으면 병자가 생길 수 있답니다.
아이 참, 가릴게 너무 많지요?
끝으로 각 향별로 가장 좋은 대문의 방위를 일러 드리면서 글을 맺겠습니다.
남향-동남문, 남대문
동향-북동대문
서향집-남대문
출처 : 대문과 풍수 - cafe.daum.net/25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