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그런데 윗 원문을 읽으면서 뭔가... 헷갈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무엇이 문제인지 찾아보려고 도표를 만들어 확인해 보았다.
* 도표의 목화토금수는 원문의 벌레들(蟲).
목=> 모충(毛蟲)
화=> 우충(羽蟲)
토=> 나충(倮蟲) 사람의 정자는 나충에 속함
금=> 개충(介蟲)
수=> 인충(鱗蟲)
* 6기 작용의 원칙
1) 司天과 在泉 조합으로 한 해에 작용.
2) 사천이 중심. 그러나 한 해의 전반부는 사천의 힘이 강하고 후반부는 재천의 힘이 강함.
이런 분류로 도표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수정전>
|
|
6氣 |
木 |
火 |
土 |
金 |
水 |
1 |
司天 |
少陰群火 |
不成 |
靜 |
|
育 |
|
在泉 |
陽明燥金 |
耗 |
不成 |
|
育 |
|
2 |
司天 |
太陰濕土 |
|
不成 |
靜 |
|
育 |
在泉 |
太陽寒水 |
|
? |
不育 |
|
耗 |
3 |
司天 |
少陽相火 |
育 |
靜 |
不成 |
|
|
在泉 |
厥陰風木 |
育 |
不育 |
耗 |
|
|
4 |
司天 |
陽明燥金 |
|
育 |
|
不成, 靜 |
|
在泉 |
少陰群火 |
|
育 |
|
耗, 不育 |
|
5 |
司天 |
太陽寒水 |
|
|
育 |
|
靜 |
在泉 |
太陰濕土 |
|
|
育 |
|
不成 |
6 |
司天 |
厥陰風木 |
靜 |
育 |
|
不成 |
|
在泉 |
少陽相火 |
不育 |
育 |
|
耗 |
|
윗 도표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해 두었다.
* 1번의 경우,
소음군화가 사천하고 양명조금이 재천할 경우 화는 '不成'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문장을 읽어보면 맥락상 '不育'이 와야 된다.
다른 문장을 참고해 보면 사천과 재천의 작용 중, 오행의 변화관계의 최종 결재라인은 사천이기에
'不成'의 개념은 사천에서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不育'이란 재천과 각 오행의 관계에서 모극(목生화->화侮목, 목母화)과
변극(화克금-> 금克화)이 일어날 때 사용되는 개념이다.
양명조금과 화의 관계는 금이 강해지는 경우이므로 금극화의 변극이 일어나며
고로 '不育'이 된다.
* 2번의 경우,
태음습토가 사천할 때의 '화'가 있다면 응당 태양한수가 재천할 때도 '화'가 존재해야 하는데
이 부분은 비어있다.
내용상 수극화가 되고, 다른 문장에서 이러한 오행의 상극관계를 '모(耗)'라고 표시하고 있으므로
이 자리에는 '모(耗)'가 와야 한다.
또한 태양한수가 재천할 때 '수'의 경우에 '모(耗)'라고 되어 있는데
재천의 오행과 벌레들의 오행이 일치할 경우에는 육(育)이 되므로
이 자리에는 '모(耗)'가 아니라 '육(育)'이 되어야 한다.
* 5번의 경우,
태음습토가 재천할 때는 토극수의 관계가 성립되므로 '不成'이 아니라, 耗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문장을 다시 수정하면 다음과 같은 도표가 만들어진다.
<수정후>
|
|
6氣 |
木 |
火 |
土 |
金 |
水 |
1 |
司天 |
少陰群火 |
不成 |
靜 |
|
育 |
|
在泉 |
陽明燥金 |
耗 |
不育 |
|
育 |
|
2 |
司天 |
太陰濕土 |
|
不成 |
靜 |
|
育 |
在泉 |
太陽寒水 |
|
耗 |
不育 |
|
育 |
3 |
司天 |
少陽相火 |
育 |
靜 |
不成 |
|
|
在泉 |
厥陰風木 |
育 |
不育 |
耗 |
|
|
4 |
司天 |
陽明燥金 |
|
育 |
|
不成, 靜 |
|
在泉 |
少陰群火 |
|
育 |
|
耗, 不育 |
|
5 |
司天 |
太陽寒水 |
|
|
育 |
|
靜 |
在泉 |
太陰濕土 |
|
|
育 |
|
耗 |
6 |
司天 |
厥陰風木 |
靜 |
育 |
|
不成 |
|
在泉 |
少陽相火 |
不育 |
育 |
|
耗 |
|
출처 : <창작사주이야기26> '황제내경'의 실수 - blog.daum.net/twinstar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