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와 대정역수
페이지 정보
본문
사주팔자와 대정역수
주역은 점을 칠때도 사용하지만 ~ 이를 사주팔자에 적용하여
[ 대정수 ] 라는 것을 통해 < 명조 본괘 + 동한 효사 ( 얻은위치 ) > 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사주링크 만세력 => http://www.sajulink.com/ssMain/cal_1.jsp >
이 만세력에서는 ~ [ 포멧형식 ] 에서 < 대정수 format >을 옵션으로 누르면
사주명조의 대정수와 효동(爻動)을 자동으로 계산해서 보여 줍니다. ( 예전엔 일일이 계산했음 )
일례로 < 사주팔자 대정수format > 이 다음과 같다면,
이 명조는 < 대정수 1568 > 로써 < 뇌풍항 2효동 > 이 됩니다.
뇌풍항의 밑에서 2번째 효사가 ( 양에서 음으로 ) 변하면서 ~ 뇌산소과로 되기 때문 !!
즉 여기서 우리는
(1) [ 두개씩 짝지어진 육효 그림 ]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2) [ 2효동 ] 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두 알 수 있습니다.
효사는 밑에서 부터 위로 1효~6효까지 구성이 되고
짝지어진 것들은 본괘 중에서 변하는 효사를 표시한 것입니다.
우선 주역 기초이론 판독 + 주역으로의 흥미유발과 재미를 들이기 위해서
이렇게 < 사주로 산출된 자신의 대정수 format > 이 어떤 괘를 나타내는 지를 읽어보고
자신이 위치한 곳 ( = 효사가 동하는 자리 )에 해당하는 효사 문구를 읽어 보면 재미있습니다.
또한 이 방법을 우선 배우면
[ 명리 2숙 ] 대정역수로 사주를 판단하는 글귀도 훨씬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참고로 대정역수는 교련싯구와 맞아야 한다고 벽허님의 지도말씀이 있었구요
앞으로는 64괘의 본괘와 효동(爻動)에 대한 내용을 이곳에서 정리해 보려 합니다.
참고로 [ 뇌풍항 2효동 ]은 저의 사주로 뽑은 것입니다.
뇌풍항은 택산함 다음에 나오는 것으로
택산함은 느끼고 감응하는 < 결혼 전에 연예의 법칙 >을
뇌풍항은 < 결혼 후에 변치않는 부부사랑의 법칙 >을 뜻하기도 하는데
< 뇌풍항 [二陽] : 후회함이 없다. 길이 중용의 위치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
즉 본괘의 의미와 본괘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문구상으로 좋은 것이 되는데 ~
다만 변해버린 결과물인 뇌산소과 의미가 좋지 못한 것이 단점입니다. ( 인생만사 다 좋을 순 없겠죠. )
출처 : 사주팔자와 대정역수 - cafe.daum.net/dur6fk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