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地水師 (지수사) - 효사해석 그림
페이지 정보
본문
[大象] : 대지가 풍부하게 물을 저축하며 있다. 이것이 師(사)의 괘상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보고 이 대지와 같이 인민을 포용하고 양육한다.
< 師는 貞이니 丈人이라야 吉하며 무구( 无垢 ) 하리라 ! ~ 바른 통솔의 원칙을 말함 >
[初陰] : 군대를 움직임에는 먼저 紀律(기율)을 엄정하게 하라.
紀律(기율)이 어지러우면 비록 한때의 승리를 얻는 일이 있더라도 결국은 흉할 것이다.
[二陽] : 군대 안에 있어서 천자의 깊은 신임을 얻어 길하다.
만국을 심복시키고 몇 번이고 임금의 포상을 받는다. 무슨 허물이 있으랴.
(제2효는 下괘의 중앙에 있는 중요한 위치이다.
이 중요한 위치에 陽효가 있음은 마치 충분한 실력이 있는 자가 통솔자의 지위에 있음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제5효와 음양 상응하고 있으므로 천자의 신임을 받는 것이요,
또 제2효의 陽괘를 중심하여 上下에는 모두 陰효가 둘러 있다. 그리하여 모든 주위 즉 천하를 심복시킨다고 풀이 한것이다.)
[三陰] : 전쟁에 나가면 크게 패하여 시체를 차에 싣고 돌아오리라. 흉하다.
(제3효는 下괘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인데
陰효이니 마치 아무 실력도 없는 자가 지휘자의 지위에 있음과 같다.
그러므로 부하 장병들이 심복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四陰] : 전진하기 어려움을 알고 후퇴한다.
전진함이 불리한 것을 깨달으면 후퇴하는 것은 兵法(병법)의 常道(상도)이다. 이 상도를 지키면 큰 허물은 면하리라.
[五陰] : 사냥에 포획물을 얻는다.
이제야말로 대업명성을 내걸고 왕명을 받들어 불의한 무리를 토벌함이 좋다.
불의의 전쟁이 아니니 허물이 있을 리 없다.
다만 장수에는 훌륭한 인물을 임용해야 된다.
그만한 실력이 없는, 적임이 아닌 자를 장수에 임용하였다가는 시체를 차에 싣고 敗走(패주)하는 참패를 당하리라.
비록 정의를 위한 싸움이나 결과는 흉하리라.
[上陰] : 전쟁이 끝나면 천자는 論功行賞(논공행상)하여 공신을 제후에 봉하고, 卿(경:벼슬)ㆍ大夫에 임명한다.
그러나 아무리 싸움의 공이 있더라도 인격과 인민을 다스릴 만한 才德(재덕)이 없는 자에게는 이러한 지위를 주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자에게 지위를 주었다가는 반드시 나라를 어지럽게 할 것이다.
출처 : 7. 地水師 (지수사) - 효사해석 그림 - cafe.daum.net/dur6fk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