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기망(月幾望)
페이지 정보
본문
爻辭의 월기망(月幾望)은
3 곳에서 발견되던데 풍천소축 상구 / 풍택중부 육4 / 뇌택귀매 육5 등등
월기망은 我國의 선생님들이 풀기를 달이 망월(望月 = 滿月)이 거의 되간다 라고 하므로
달이 커져가서 거의 만월(滿月)이 돼가는 모습을 보면
마치 풍택중부와 풍천소축의 그림이 됩니다
그런데 뇌택귀매는 그러한 月幾望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
래지덕은 말하기를
月幾望 者는 坎月離日 震東兌西 日月東西 相望也 , 라 ..
五陰과 二陽이 서로 대응하는 것은 해와 달이 서로 마주보는 것이다
月幾望은 달빛이 아직 다 차지 않은 것 , 柔得居中하여 겸손한 모습이다
.....
뇌택귀매를 보면 ,
震은 東 , 兌는 西로서 東西가 마주보고 있고 , 互괘의 坎(달)과 離(해)가 마주보고 있으니
일월동서가 마주보는 형국이니 , 日月東西相望也 라고 했습니다
五陰과 二陽 이라는 것은 육5와 구2가 상응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또한 달(陰)과 해(陽)이 서로 마주보는 상이라는 것이 래지덕의 설명입니다
육5는 음효로서 득중득정하여 겸손하여 예의를 잘 차린 모습인데 음효이므로 달빛이 아직 다 차지 않았다고 한 것 .
※ 뇌택귀매의 互卦의 상은 坎 중남과 離 중녀가 상호간 물려있는 모습인 바 ,
이는 곧 젊은 부부의 合一한 물상입니다
출처 : 월기망(月幾望) - cafe.daum.net/dur6fk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