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내격 팔격(八格)인가 |
주르르루주르르루
2017-10-01 (일) 14:43
조회 : 1359
|
|
[왜 내격 팔격(八格)인가]
최근 사주학의 교재들을 보면 격국을 분류함에 있어 십정격(十正格)과 변격(變格:외격)으로 구분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적천수는 분명 내격 팔격을 말하고 있다. 내격 십격(十格)과 팔격 (八格)의 차이는 일간과 월지의 정기가 같은 오행인 경우 즉 건록격과 양인격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엄연히 록인격(綠刃)격은 별격(別格)으로 분류되어야지 내격(內格:정격)으로 분류되어서는 안된다. 이 점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십정격으로 분류한 일본식 추명법을 그대로 수용하게 되면 사주학의 기초 이론인 첫 단추부터 잘못 꿰고 들어가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사주학의 많은 교재들이 이를 무분별하게 수용하여 후학들에게 전파하고 있다. 간단하게 내격과 외격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용신을 취용하는 방법의 주(主)가 부억법(扶抑法:약한 것은 부조하고 강한 것은 억제하는 논리)이냐, 아니면 전왕법(專旺法:강한 세력에 따르는 논리)이냐에 따라 내격, 외격을 분류하게 되는 것이다. 즉 내격의 경우 부억법의 논리에 충실하여 일간이 강한 신강격(身强格)의 명식이면 강한 기운을 누출시키는 식상이나 제어하는 재관(財官)을 취용하게 된다. 반대로 일간이 약하면 인성이나 비겁으로 조력하게 된다. 따라서 내격의 명식이 비겁과 식상을 공히 기뻐한다든지, 관살과 인성을 공히 기뻐하는 경우는 좀체 발견하기 어려우며 원칙상 해당사항이 없다. 물론 사주학의 고급단계인 십간론(十干論)에 이르면 이상의 경우도 허다하지만 대개는 이를 부억(扶抑)과 조후(調喉)의 무분별한 혼용으로 무리하게 이해하여 지식 체계가 난삽해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해진다. 그런데 록인격(綠印格)의 경우는 비겁과 식상을 공히 희신(喜神)으로 간주하는 사례가 잦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외격 체계에도 해당되지 않으므로 별격 (別格)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한가지 더한 사례를 든다면 비겁과 식상성으로만 이루어진 명식에서 두가지 오행의 기운 세력이 공히 대등하게 형성되었다면 이는 양신성상격이다. 이때 희신은 비겁과 식상이다. 마찬가지로 부억법과 전왕법의 적용 사례가 되지 않으므로 별격(別格)으로 분류됨이 타당하다. 격의 전체 분류는 2장 종화론에서 별도로 표기하였다.
癸壬甲壬
卯辰辰子
얼핏 식신(食神)인 甲木을 用하고 재성 火의 기운을 기뻐할 것 같은 명식이지만 실제로는 水木운만을 기뻐하는 명식이다. 초반 火운에 아무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는데 이를 두고 일점 미약한 재성이 태왕한 왕신(旺神)인 壬水를 충격하여 불리하다고 설명하는 방법은 무리이다. 투출한 癸水 를 주도 세력으로 하여 겁격(劫格:刃格)이며 비겁과 식상을 기뻐하여 별격(別格)으로 분류되어야 할 명식이다. 만일 이를 두고 십정격에 포함하면 내격의 신왕명으로 식상과 재성을 기뻐하는 그릇된 추론을 하게 된다.
庚庚庚癸
辰子申卯
사주정설 재성(財星)편에 언급된 명식으로 일주가 강하고 식상이 강하니 재성이 다시 식상의 기운을 누출(漏出)시켜야 사주가 생생불식(生生不息)되어 팔자가 길해진다고 묘사된 사례이다. 위 壬辰일주와 비슷한 구도의 명식인데 동일 교재에서 어느 경우는 쇠신(衰神)이 왕신(旺神)을 충격하여 불행하고 어느 경우는 생생불식하여 길하다라는 모순된 설명이 몇 차례 반복되고 있다. 위 경우는 월간 庚金이 주도세력이 되는 록격(綠格)의 명식으로 실제 식상운과 재성운을 기뻐하는 명식이다. 이런 경우는 내격의 부억법에 근거한 용신 취용법과 일치한다. 그렇다면 록인격(綠刃格)의 신강명에 어느 경우 비겁과 식상을 기뻐하고, 어느 경우에 식상과 재성을 기뻐하는지가 관건인데 해답은 명료하다. 명식에 재성이 보이지 않으면 비겁과 식상만을 기뻐하는 양신성상격과 같은 유형에 해당될 확률이 높으며 재성을 보게 되면 식상과 재성을 기뻐하는 내격으로 분류되기 쉽다. 이처럼 부억법이 적용되는 경우와 해당되지 않는 경우가 혼재되므로 록인격은 별격(別格)으로 분류하게 되는 것이다. 전자인 壬辰일주는 재성 火를 명식에서 찾아 볼 수 없으며 후자의 경우는 년지에 재성 卯木을 보았으므로 내격의 부억법을 적용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