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십간(十干)의 희기(喜忌) 관계 |
주르르루주르르루
2017-10-01 (일) 14:57
조회 : 1540
|
|
십간(十干)의 희기(喜忌) 관계
- 乙木의 희기 관계 壬水는 乙木에 대해 희기(喜忌)가 극단적이다.
乙木에 壬水가 너무 강하여 기신의 작용을 하면 축수도화(逐水桃花)로 도화가 물을 쫓는 격이 되어 타인으로부터 고통을 받기 쉽다. 장요문은 이를 두고 남인경박(男人輕薄), 여인음탕(女人淫蕩)이라 하였으며 경험에 의해 乙과 壬으로 이루어진 종강격은 매우 귀명이 된다.
- 丁火의 희기 관계
乙木 일간에 기신 丁火 조합은 화소초원(火燒草原), 전형적인 회재불우(懷才不遇)의 명식이 되며 그 재능은 있되 표현능력의 부족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丁火 일간에 기신 甲木의 조합은 포신구화(抱薪救火:장작을 안고 불을 구하려 뛰어드는 격), 기신 乙木의 조합은 건시열화(乾柴烈火:마른 나무에 쌓인 사나운 화염 격)의 형상이 되어 성실함보다는 요령을 우선시하는 재(才)로 인해 일을 망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 戊土의 희기 관계
戊土 일간에 희신 壬水가 자리 잡으면 산명수수(山明水秀)라 하여 대단한 지력의 소유자가 되지만 기신 壬水나 癸水의 조합일 경우는 인색하기 짝이 없는 옹졸한 유형이 되어 대성하기 어렵다. 기신 庚, 辛이 자리 잡으면 참견이 심한 성격이 형성되어 좋은 결과를 보지 못한다. 기신 甲木이 나란히 하고 있으면 줏대가없으므로 자기 주의, 주장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만년 하위직에 머물 공산이 크다. 이처럼 戊土일간은 희기(喜忌)를 잘 살펴 추론에 임해야 한다.
- 己土의 희기 관계
己土 일간에 희신 丙火는 대지보조(大地普照)로 원조자의 조력을 받는 길선함이 있으나 기신 丙火와의 관계가 형성되면 홍관천리(洪光天里), 탁한 광채가 천리를 가는 격으로 인기가 없고 성공 확률이 희박하다. 己土는 통상 甲, 乙의 하고(下固) 역할을 하나 기신 甲, 乙의 조합이 되면 야초난생(野草亂生), 잡풀이 무성한 격이 되어 주변이 산만하고 행운이 잘 따르지 않게 된다. 기신 壬水와의 조합은 희기를 막론하고 기토탁임(己土濁壬)이라 하여 남성은 재적 실패수가 강하고 여성은 색정 문제를 일으킬 확률이 높은 조합이다.
- 庚金의 희기 관계
庚金 일간은 丁火의 기운을 가장 기뻐하나 기신 丁火와의 관계는 화열금용(火烈金熔)이라 하여 火가 지나쳐 金을 녹이는 격으로 나쁜 간(干)의 조합이다. 庚金과 壬水의 조합은 매우 길선한 관계로 타고난 좋은 재능의 소유자가 되지만 기신 壬水와의 관계가 성립되면 수다금침(水多金沈) 혹은 금한수냉(金寒水冷)의 저조한 명식이다. 아러한 경우 예외없이 모든 일에 참견이 많아 스스로를 망치는 결과를 본다. 기신 癸水와의 관계도 보도사로(寶刀巳老)라 하여 위 경우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실패하기 쉽다. 이는 칼이 녹슨다는 의미로써 흉의를 암시한다.
- 壬水의 희기 관계
壬水 일간에 희신 乙의 관계는 출수홍련(出水紅, 물 위에 떠 있는 붉은 연꽃과 같은 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