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통보감 오행론
페이지 정보
본문
★ 甲木論
※ 木의 喜忌를 따지는 법
★ 乙木論
乙木은 부드러운 성질이니 화초에 비유할 수 있다. 외부작용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적은 환경변화에도 곧 잘 타격을 받는다. 三春乙木은 丙火 癸水를 떠날 수 없다. 丙火를 보면 태양을 향함이니 만상이 回春하여 百花가 다투어 피는 격이다. 三夏乙木은 성질이 고초함이니 오로지 癸水로 귀용을 삼는다. 三秋乙木은 金氣가 태왕하니 선병후계(丙火.癸水)한다. 겨울의 乙木은 丙火로서 조후하고 戊土로서 뿌리를 박고 제습하여야 格을 이룬다. 乙木이 비록 유하나 丑.未土를 만나면 뿌리를 박을 수 있고 가을에 生하여도 丙.丁火가 있으면 金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겨울에 生하면 午火가 있어도 부목이 되므로 근심이 있으니 地支에 寅木이 있든지 甲木이 왕하여 도와주기를 희망한다. 인내적이고 인종적이며 내성적인 편이나 모든 일에 임하여 꾸준한 노력성이 있고 조심성이 있다. 그러나 그 반면에는 변태적 노기를 내포하고 있고 질투심이 지나친 것이 결점이라 하겠다.
※ 본 궁통보감은 사주의 십간이 갖는 일주의 특성과 월령의 계절성을 위주로 보는 대단히 귀중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먼저 이 십간과 지지의 오행작용의 흐름을 보는 안목을 길러야 할 것이며,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보는 단편식 논법이 아닌 이 궁통보감을 바탕으로 조후의 개념을 바로 잡고 그 이치를 궁구하여 꼭이 절대적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를 보아 사주 구조를 맞추워 나가는 것이 사주공부의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 丙火論
※ 궁통보감은 용신을 잡는데에도 많은 도움이 되며, 조후가 위주이고 억부 또한 일부 적용이 되어, 사주의 절후심천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를 바르게 체득하는 것은 곧 사주의 구조와 배열을 간파하는데 크나큰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 丁火論
丁火는 外陽 內陰으로 離卦에 該當한다. 燈盞불이나 火爐불과 같으며 內性이 昭融하다. 비록 盛하여도 烈하지는 않고 弱하더라도 窮地에 빠지지 않으니 甲乙寅卯 東方木의 精이 있으면 金 水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 戊土論
|
寅月
卯月 戊土
丙火.甲木.癸水를 쓴다. 丙火의 照暖함이 없으면 戊土가 不生하게 되고 甲木의 疏劈함이 없으면 萬物이 不長하니 먼저 丙火를 쓰고 다음으로 癸水를 쓴다.
辰月 戊土
丙火.甲木.癸水를 쓴다. 戊土가 司令하니 먼저 甲木으로써 疏通시키고 다음으로는 丙火를 쓰고 癸水를 쓴다.
巳月 戊土
甲木.丙火.癸水를 쓴다. 戊土가 建祿하니 먼저 甲木으로써 疏劈하고 다음으로 丙.癸를 쓴다.
午月 戊土
調候가 急하니 먼저 壬水를 다음으로 甲木을 쓰며 丙火를 配用한다.
未月 戊土
調候가 急하니 癸水를 缺할 수가 없고 丙火를 配用하되 土가 重하면 甲木이 없을 수 없다.
申月 戊土
丙火.癸水.甲木을 쓴다. 寒氣가 漸增하니 먼저 丙火를 쓰고 水가 많으면 甲木으로 洩氣한다.
酉月 戊土
丙火.癸水를 쓴다. 丙火의 照暖하게 함을 依持하고 水로써 滋潤하게 함이 기쁘다.
戌月 戊土
甲木.丙火.癸水를 쓴다. 戊土가 漸增하니 먼저 甲木을 쓰고 다음으로 丙火를 쓴다. 金을 보면 먼저 丙火를 取하니 甲木이 不靈하고 丙火가 아니면 따뜻하지 아니하다.
亥月 戊土
甲木.丙火를 쓴다. 甲木이 아니면 戊土가 不靈하고 丙火가 아니면 따뜻하지 못한다.
子月
丑月 戊土
丙火.甲木을 쓴다. 丙火를 으뜸으로 하고 甲木으로써 도움을 준다.★ 己土論
寅月 己土 | 丙火.庚金.甲木을 쓴다. 丙火를 取하여 解凍하니 壬水보는 것을 大忌한다. 만일 水多하면 戊土로 돕고 土多하면 甲木을 쓰며 甲木이 많으면 庚金을 쓴다. |
卯月 己土 | 甲木.癸水.丙火를 쓴다. 甲木을 쓰게 되면 己土와 化合하게 됨을 不要하고 다음으로는 癸水로써 潤擇하게 하여야 한다. |
辰月 己土 | 丙火.癸水.甲木을 쓴다. 먼저 丙火를 쓰며 뒤에 癸水를 쓰고 土를 따뜻하게 하며 潤擇하게 하여야 하고 甲木으로 疏土하여야 한다. |
三夏 己土 | 癸水.丙火를 쓴다. 調侯가 急하니 能히 癸水를 쓰지 아니할 수 없고 土가 潤擇하면 능히 丙火가 있어야 한다. |
申月 己土 | 丙火.癸水를 쓴다. 丙火로 溫暖하게 하고 癸水로 滋潤하게 한다. 申月에 庚金이 司令하니 丙火로써 金을 制剋하고 癸水로 洩金하라. |
酉月 己土 | 丙火.癸水를 쓴다. 辛金을 取하며 癸水의 도움을 받는다. |
戌月 己土 | 甲木.丙火.癸水를 쓴다. 戌月은 土盛하니 甲木으로써 疏土하고 丙火.癸水를 쓴다. |
三冬 己土 | 丙火.甲木.癸水를 쓴다. 三冬의 己土는 丙火가 따뜻하게 하지 아니하면 生하지 못한다. 初冬에 壬水가 旺하니 戊土를 取하여 制剋하고 土多하면 甲木을 取하여 疏土한다. |
★ 庚金論
寅月 庚金 | 戊土.甲木.丙火.丁火를 쓴다. 丙火로써 庚金의 性質을 따뜻하게 하고 土厚하면 金埋하게 될까 염려하니 甲木으로 疏洩한다. 火多하면 土를 쓰고 地支에 火局을 이루면 壬水를 쓴다. |
卯月 庚金 | 丁火.甲木.庚金.丙火를 쓴다. 庚金이 暗强하니 오로지 丁火를 쓰고 甲木을 빌어 丁火를 引導하며 丁火가 없으면 丙火를 쓴다. |
辰月 庚金 | 甲木.丁火.壬水.癸水를 쓴다. 頑金이면 丁火를 쓰는 것이 좋고 土旺하면 甲木을 쓰며 庚金의 劈甲을 쓰지 아니한다. 地支에 火가 있으면 癸水를 쓰는 것이 좋고 天干에 火가 있으면 壬水를 쓴다. |
巳月 庚金 | 壬水.戊土.丙火.丁火를 쓴다. 丙火가 鎔金을 못하니 오직 壬水의 制剋을 좋아하고 다음으로 戊土를 取하며 丙火로 도움을 준다. 地支에 金局을 이루면 弱한 것이 變하여 强하게 되니 丁火를 써야 한다. |
午月 庚金 | 壬水.癸水를 쓴다. 오로지 壬水를 쓰고 癸水가 다음이 되며 地支에서 庚.辛金을 보면 도움이 된다. 壬.癸水가 없으면 戊, 己土로써 火氣를 洩한다. |
未月 庚金 | 丁火.甲木을 쓴다. 만일 地支에 土局을 會成하였으면 甲木을 먼저 쓰고 뒤에 丁火를 쓴다. |
申月 庚金 | 丁火.甲木을 쓴다. 오로지 丁火를 쓰고 甲木으로 丁火를 引導 한다. |
酉月 庚金 | 丁火.甲木.丙火를 쓴다. 丁火.甲木으로써 金을 다루고 丙火를 兼用하여 調候한다. |
戌月 庚金 | 甲木.壬水를 쓴다. 土厚하면 甲木을 먼저 써서 疏土하고 다음으로는 壬水로써 씻으니 己土가 壬水를 흐리게 할까 두렵다. |
亥月 庚金 | 丁火.丙火를 쓴다. 水가 寒冷하고 金寒하니 丙.丁火를 쓰고 甲木으로 도운다. |
子月
丑月 庚金 |
丙火.丁火.甲木을 쓴다. 丁火.甲木을 取하고 다음으로 丙火의 照暖을 取한다. 一派金水면 和陽한 곳에 들어가지 못하므로 孤貧하게 된다. 丙.丁火가 寅巳午未戌支에 다다르면 有力하다. |
★ 辛金論
寅月 辛金 | 己土.壬水.庚金을 쓴다. 辛金이 失令하니 己土를 取하여 生身의 本을 하고 辛金의 發用은 오로지 壬水의 功을 依持하니 壬.己를 幷用하고 庚金으로써 도운다. |
卯月 辛金 | 壬水.甲木을 쓴다. 從하지 못하면 地支에 申.酉金이 있거나 土가 있어야 貴하다. |
辰月 辛金 | 壬水.甲木을 쓴다. 만일 丙火와 辛金의 合을 보면 癸水가 있어 丙火를 制剋하라. 地支에 亥子申을 보면 貴하다. |
巳月 辛金 | 壬水.甲木.癸水를 쓴다. 壬水로 洗淘를 하고 兼하여 調候의 用이 되니 다시 甲木이 있어 戊土를 制之하면 一淸이 澈底라 한다. |
午月 辛金 | 壬水.己土.癸水를 쓴다. 己土는 壬水가 없으면 濕하지 못하고 己土가 없으면 生하지 못하므로 壬水.己土를 幷用한다. |
未月 辛金 | 壬水.庚金.甲木을 쓴다. 먼저 壬水를 쓰고 庚金을 取하여 도우며 戊土의 出干함을 大忌하니 甲木을 얻어 制之하면 吉하게 된다. |
申月 辛金 | 壬水.甲木.戊土를 쓴다. 壬水로 上을 삼고 甲木을 酌用하니 癸水를 쓰는 것이 不可하다. |
酉月 辛金 | 壬水.甲木을 쓴다. 壬水로 洗淘하고 戊.己土를 보면 甲木으로 制土를 한다. 地支에 金局을 이루었는데 壬水가 없으면 丁火를 쓴다. |
戌月 辛金 | 壬水.甲木을 쓴다. 戌月 辛金은 火土가 病이 되니 水.木으로 藥을 삼는다. |
亥月 辛金 | 壬水.丙火를 쓰니 먼저는 壬水를 쓰고 뒤에는 丙火를 쓴다. 그러면 金白水淸하다. |
子月 辛金 | 丙火.戊土.壬水.甲木을 쓰니 同月에 辛金은 能히 丙火가 溫暖하게 함을 缺할 수가 없다. 나머지는 酌用하라. |
丑月 辛金 | 丙火.壬水.戊土.己土를 쓰니 위와 같으나 丙火를 먼저 쓰고 壬水를 뒤에 쓰며 戊.己土가 다음이 된다. |
★ 壬水論
寅月 壬水
庚金.丙火.戊土를 쓴다. 比劫이 없는 者는 반드시 戊土를 쓰지아니하고 오로지 庚金을 쓰며 丙火로써 도운다. 比肩과 劫財가 있으면 制剋하는 것이 좋으니 一 戊土가 出干하면 一將當關이라 하므로 群邪가 自伏하게 된다.
卯月 壬水
辛金.戊土.庚金을 쓴다. 三春은 壬水의 絶地가 되니 庚.辛金의 發水源을 取하고 水多하면 戊土를 쓴다.
辰月 壬水
甲木.庚金을 쓴다. 甲木으로 疏土하고 다음으로 庚金을 取하여 水源을 發한다. 金多하면 丙火로 制剋하는 것이 妙하다.
巳月 壬水
壬水.庚金.辛金.癸水를 쓴다. 壬水가 極弱하니 庚.辛金을 取하여 根源을 삼고 壬.癸 比劫으로 도운다.
午月 壬水
癸水.庚金.辛金을 쓴다. 庚金을 取하여 根源을 삼고 癸水를 取하여 도우는데 만약 庚金이 없으면 辛金으로 도운다.
未月 壬水
辛金.甲木을 쓴다. 辛金으로써 水源을 發하고 甲木으로 疏土한다.
申月 壬水
戊土.丁火를 쓴다. 丁火를 取하여 戊土를 돕고 庚金을 制剋하며 戊土가 辰戌에 通根하면 좋다.
酉月 壬水
甲木.庚金을 쓴다. 甲木이 없으면 金으로써 水源을 發하니 獨水가 庚金을 가지면 온전하다는 뜻이다.
戌月 壬水
甲木.丙火를 쓴다. 甲木으로써 戌中 戊土를 制하고 丙火로써 도운다.
亥月 壬水
戊土.丙火.庚金을 쓴다. 甲木을 化하여 戊土를 制하면 庚金으로 써 도운다.
子月 壬水
戊土.丙火를 쓴다. 水旺하면 戊土가 좋고 調候에는 丙火가 좋으니 丙火를 兼用하여야 한다.
丑月 壬水
丙火.丁火.甲木을 쓴다. 上半月에는 오로지 丙火를 쓰고 下半月에는 甲木으로 도운다.
★ 癸水論
寅月 癸水 | 辛金과 丙火를 쓴다. 辛金으로는 癸水의 根源을 만들어 준다. 만일 辛金이 없으면 庚金을 쓰지만 丙火가 적을 수 없다. 그 理由는 寅月은 寒氣가 있으니 丙火로써 따뜻하게 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
卯月 癸水 | 庚.辛金을 쓴다. 乙木이 司令하였으므로 乙木을 制壓하기 위하여 오로지 庚金을 쓰고 庚金이 없으면 辛金으로 代用한다. |
辰月 癸水 | 丙火.辛金.甲木을 쓴다. 上半月에는 丙火만을 쓰고 下半月에는 丙火를 쓰나 辛金 甲木도 도움이 된다. 丙火는 財로 쓰고 甲木은 辰月에 土重하므로 土를 制壓하는데 必要하고 辛金은 水源을 發하는데 必要하다. |
巳月 癸水 | 辛金을 專用한다. 辛金이 없으면 庚金을 쓴다. 巳月에는 丙火財旺하니 庚.辛金으로서 도움을 주기 위하여 그러함이다. |
午月 癸水 | 庚金.壬水.癸水를 쓴다. 庚.辛金은 生身하여주는 根本이 된다. 그 理由는 丁火가 司權하였기에 金으로써 火를 견디기 어려우니 比劫을 兼用하며 庚.辛金으로 水源을 發하기에 幷用하게 된다. |
未月 癸水 | 庚.辛金과 壬.癸水를 쓴다. 上半月에는 火氣가 炎熱하기에 金이 衰弱하므로 比劫으로써 도와줌이 좋다. 下半月에는 寒濕한 氣運이 돌기에 比劫을 쓰지 아니하여도 無妨하다. |
申月 癸水 | 丁火를 쓴다. 庚金이 司令 申金에 祿을 얻으니 반드시 丁火로써 金을 制去하여야 하기에 天干 丁火 地支 午戌未에 通根됨을 좋아한다. |
酉月 癸水 | 辛金.丙火를 쓴다. 辛金이 用神이 되니 丙火로 도와주면 水는 따뜻하고 金도 역시 따뜻하니 서로 間隔을 두어 透出되는 것이 좋다. 그 理由는 丙火 辛金이 合하면 도리어 水로 變하기에 그 間隔됨을 要함이다. |
戌月 癸水 | 辛金.甲木.壬水.癸水를 쓴다. 戌月에 戊土가 厚重하니 辛金을 쓰는 것이고 比劫을 要하는 것은 甲木을 돕기 위한 것이다. 甲木으로 月令 戌土를 制剋하면 癸水日柱가 自然히 旺하게 되기에 그러함이다. |
亥月 癸水 | 庚金.辛金.戊土.丁火를 쓴다. 亥月 月令 亥中에 甲木이 長生하기에 癸水가 洩氣되므로 庚.辛金으로써 水源을 만들고 다음으로는 甲木을 制剋하기에 必要한 것이다. 만일 亥月 月令에 亥水가 旺하고 또 庚.辛金이 木을 도우면 木勢가 汪洋하기에 戊土로써 制壓하여야 한다. 만일 또 金이 많으면 丁火를 써서 金을 制壓하는 것이 좋다. |
子月 癸水 | 丙火.辛金을 專用한다. 丙火로써 解凍하고 辛金으로 水源을 도와 준다. |
丑月 癸水 | 丙火.丁火를 쓴다. 丙火가 通根되어야 하기에 地支에 巳午未戌이 있으면 더욱 좋고 年干에 丁火가 透出하면 이름을 雪後燈光이라하는데 夜生者라야만 貴하게 된다. 그러나 地支가 火局을 이루면 庚.辛金을 쓰는 것도 無妨하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