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9.14 (일)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사주가이드#2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호랑이 입을 방조해선 빌어 먹는다

페이지 정보

본문

흥미 있는 사주 이야기

다음은 포철 신화를 만들은 박태준(朴泰俊)의 鎔鑛爐(용광로)라는 사주입니다

戊 辛 庚 丁
戌 卯 戌 卯

幇虎口乞食有損無益(방호구걸식유손무익)
범의 입을 방조하여선 빌어먹는 모습이니 좋을 것이 무엇 일가 이렇게 말을하고 있다 그 인생 삶을 삼자적 고찰로 볼적에 그렇치 않는가 하여 본다 정치적인 일인자는 되지 못하고 남의 힘 가진 자를 방조하여선 그 밑에서 일을 봐준 그런 立地(입지)였다는 것이리라 물론 포철 사장으로서 그 공적을 인정 받는다하여도 역시 박통의 부림자 정도 이리라


寅午戌(인오술)이라하는 범처럼 왕성한 火氣(화기)를 傍助(방조)하는 것이 그 卯戌(묘술)適合(적합)火氣(화기)라는 것이리라 이렇게 火氣(화기)를 도와선 빌어먹는 형상이 바로 庚辛(경신)金氣(금기) 製鍊(제련)되는 모습이라는 것이리라 有損(유손)은 덜려나가기를 卯字(묘자)門戶(문호)로 한다는 것이니 쇠 녹으면 그 문호로 조르르 흘러 내려야 할 것이 아닌가 이다 그렇게 戌中(술중) 火庫(화고)에 들은 쇠 辛(신)이 그렇게 門戶(문호)로 흘러 내린다는 것이리라 그래서만이 그 製鍊(제련)되어진 쇠를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爐中火(노중화) 에다간  釧金(차천금)을 집어넣고선 石榴(석류)木(목)이라 하는 단단한 도끼형을 갖고선 그렇게 平地(평지) 一秀木(일수목)을 에너지 화하여선 불을 붙침 으로 인해서 쇠가 녹아지는 것이다 쇠 물이 녹아 흘러나오는 것을 덜어 낸다하는 것이지 더한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범 아구리 용광로에 넣어선 쇠를 달굼질 베려먹으니 그렇게 損卦(손괘)의 방식을 취택하고 益卦(익괘)의 방식을 취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먼저 덜어냄으로서 덕을 보는 것이지 먼저 더함으로서 이익을 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 不純物(불순물) 除去(제거)등 이런 것은 필경 덜어내야만 한다 할 것이라 구덩이를 파지 않고선 창호를 내지 못하고 나무 속을 파내지 않고선 그릇을 만들지 못한다는 老聃(노담)의 말이리라 이렇게 자신을 損壞(손괴) 시킴으로 인해서 큰 그릇을 이룬다는 그런 말이리라


* 이분은 井卦(정괘) 初爻(초효)로서, 井卦(정괘)初爻(초효)는 무디고 낡은 것을 말하는 것이데 그 應爻(응효) 井 (정추) 소이 새로 우물 벽을 수리하듯 그 製鍊(제련)을 시켜서만이 좋은 것으로 탈바꿈 시켜선 크게 활용할 수 있다는 그런 源泉(원천)의 原石(원석)과 같은 것으로서 그 原石(원석)을 加工(가공)시작 제련하는 상태를 그려주고 있는 것이다
시 일 월 년

戊 辛 庚 丁
戌 卯 戌 卯

火器(화기) 鎔鑛爐(용광로)속에 지금 두 금기가 들어선 녹는 형태를 그리고 있습니다 卯戌合火(묘술합화) 丁(정)으로 銳氣(예기)를 내어선 싸고 戌(술) 火局庫(화국고) 위에 있는 戊(무)土(토) 亦是(역시) 火氣(화기)의 火生土(화생토) 하는 銳氣(예기)로 봅니다

이렇게되면 金氣(금기)가 불 속에서 녹는 모습인데 소이 쇳물 戊(무)土(토)에서 土生金(토생금)하고 그 녹은 상태 제련된 金(금)으로 보이고 丁火(정화)로써 庚(경)의 철광석을 갖다가선 녹이는 형상을 그리는 군요 ,
박태준이라는 銜字(함자)의 오행은 그 물 나무 불 그리곤 금 불로 이래 음령 오행이 짜여져 있습니다 漢字(한자)形(형)의 살필진데 나무를 갖다놓고선 용광로 아래에다 불을 짚혀 갖고는 俊(준)則(즉) 金氣(금기)를 빼어나게 만들어내는 그러한 의미의 모습을 그린다 할 것입니다
그러니깐 사주에 그 함자 이름을 뜻하는 것도 모두 들었다고 봅니다 박태준(朴泰俊)이란 이름은 용광로에 불을 때어선 쇠를 제련한다 이런 의미입니다 노태우 하면 그 화로 용광로라 하는데 소위 화로 불이 이래 泰(태)로 즉 탁- 벌어 졌다는 의미입니다 이처럼 박태준의 泰(태)에서도 그 용광로 불이 벌건 상태를 가리킨다 할 것입니다 '준'자는 그 쇠를 위에 하고 火(화)를 아래로한 그러한 主從(주종)間(간)의 발음 오행이 되는 것입니다, 역시 쇠를 녹여선 製鍊(제련)한다는 의미이고 여기선 한문 俊(준)字(자)형은 그 쇠가 제련되어선 나오는 여러가지 형태를 말하고 그 俊(준)이라는 뜻의 의미는 잘 번쩍이게 빼어나게 그래 만들어져 나온다는 의미입니다


* 朴字(박자)는 그 나무와 丁字(정자)를 옆으로 누여 논 형태 소이 나무를 쪼개고 다듬는 짜구 연장 이라 할 것인데 소이 나무를 쪼개어선 쇠를 녹이는데 에너지源(원)으로 쓴다는 것이고 泰字(태자)는 그 나무 같은 것 이런 器物(기물)을 설치하거나 그 더미를 만들어 놓고선 아래 그 물수 형이 그 불을 때는 形(형)도 되고 그 위에 것이 불에 달굼질 되면 그 물고인데 이래 쇠를 달굼질 한다는 그런 표현의 물 고인 형태도 그려주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俊(준)字(자) 역시 짜구 소이 공구 다듬는 옆에 믿을允字(윤자) 아래에 지탕할 支字(지자) 한 것인데 그 연장 도구가 믿을만한 것 쓸만한 것이란 것으로서 그 쇠 庚辛(경신)을 녹이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器物(기물)도구가 그地支(지지)와 戊丁(무정)이라는 것을 여기선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소이 庚辛(경신) 두 개의 쇠가 지금 위로 [*允(윤)을 孚(부)로 보아 포로로 해석해본다 ]포로화 되어 있는 것을地支(지지) 其他(기타) 戊丁(무정)天干(천간)에 녹이는 도구화되어 있다는 표현이 바로 丁火(정화) 연장도구 짜구인 것이라 丁火(정화)는 소이 丙火(병화)보다 더 세련된 것을 말하고 辛金(신금)은 庚金(경금)을 製鍊(제련)시킨 것을 말하는 것이라 할 것이라 소이 그 철광석을 좋게 제련시키는 형태를 그려주는 것이 지금 이분의 함자가 된다 할 것이다

所以(소이) 戊丁(무정)은 이룰 成字(성자)를 이루는데 그렇게 이룰 成字(성자)상간에 쇠꼽을 넣고선 所以(소이) 사용하게끔 成事(성사)시킨다 이런 말이 되는 것이다 卯戌(묘술)合(합)이 작은 합속에 큰합이 되는 것이다 쌍쌍이 합도 되지만 아주 불 속에 쇠가 잘 녹아 흐르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이래서 그 運到(운도)가 아마 맞아 떨어져선 巨物(거물)이 된 것이리라

박태준의 오행 三柱(삼주)를 세워보면 이렇습니다

水 火 金
木 火 火 화금 벌겋게 달은 쇠를 강해지라고 수로 달굼질 하는 모습입니다
아래 종은 그 수생목 하여선 태를 탁화로서 중화로 본다면 이래 나무로 불을 붙이고 금이 녹는 상태 이래 역시 용광로 金(금) 製鍊(제련)이 된다 할 것입니다

* 銜字(함자)解釋(해석) =
.함자(銜字)와 휘자(諱字)

함자(銜字)란 웃어른의 이름자(名字)를 말할 때 생존한 분에 대한 존칭이며 휘자(諱字)란 돌아가신[] 어른의 명자를 일컫는다. 현재 우리 나라 사람의 이름은 대게 호적부(戶籍簿)의 이름 하나로 통용되고 있으나, 조선 말기 갑오경장이후 호적법이 제정되기 이전에는 어렸을 때 부르는 아명(兒名)이 있고, 관례를 거행하고 성년(成年)이 되어서 별도로 보루는 이름 자(字)또는 관명(冠名)이 있으며, 문필 등의 행세에는 이름의 아호(雅號)가 있고, 보첩(譜牒)에 올리는 항명(行名)이 있으며, 그 밖에 따로 행세(行世)하는 별호(別號)등을 사용하여 왔다.

* 여기서는 모든 이들을 높인다는 의미에서 성명을 함자로 用語(용어) 통일 하였다

 
출처 : 호랑이 입을 방조해선 빌어 먹는다 - cafe.daum.net/dur6fk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741건 103 페이지
사주가이드#2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211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1 09-30
210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94 09-30
열람중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77 09-30
208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 09-30
207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30 09-30
206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 09-30
205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9 09-30
204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1 09-30
203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6 09-30
202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2 09-30
201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1 09-30
200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 09-30
199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 09-30
198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53 09-30
197 no_profile 해피오션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64 09-30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9-13 허구* (女) 택일
09-12 민정* (男) 사주
09-10 정유* (女) 사주
09-10 권미* (女) 사주
09-08 윤지* (女) 사주
09-06 김성* (男) 궁합
09-04 엄지* (女) 사주
09-02 석호* (女) 사주
08-31 박지* (女checked) 택일
08-30 권다* (女) 택일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527576]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517653]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92365]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522867]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527177]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526463] 2
아들의 외고합격 [547574] 2
젊은 여성의 임신 [481694] 1
재벌 회장의 사주 [535983] 2
유명가수의 사주 [530247] 1
보험설계사 [41902]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558591]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552126]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사주초급반

사주중급반

사주전문가반

육효반

신수작괘반

성명학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접속자 368명 (회원:0 / 손님: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