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1 (월)

 가입인사
close
HOME > 명리기초 > 기타 명리기초

본 게시판의 모든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원제역학연구원에 있으며, 본 게시판의 모든 내용에 대한 무단전재 및 사용을 엄격히 금합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정재론[正財論 - 땀흘려 번 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원제 임정환 (58.♡.164.173)
댓글 0건 조회 8,499회 작성일 12-03-13 16:00

본문

정재(正財)는 땀흘려서 버는 돈이라서 汗財라고 한다.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의 배합이 잘 된 것을 정재라고 하며
남자의 경우는 본처를 의미하고
여자의 경우는 시어머니를 의미한다.
 
정재의 성질을 살펴보면 떠돌아다니는 재물인 편재와는 많이 다른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1. 정재는 세심하고 방정하다.
정재를 사주에 가지고 있는 사람은 은행원, 재무관리 등을 맡으면 길하다.
성격이 아주 세심하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자리는 년천간에 정재가 하나만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부모의 유산을 받을 수 있다.
 
2. 汗財라 땀흘려서 버는 돈으로 노력의 대가이다.
년천간에 정재가 있는 다음으로 좋은 장소가 월지지에 정재가 하나만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처덕이 확실하고 지지에 있으므로 재물의 손실이 적다.
 
3. 성실하고 절약을 잘한다.
정재가 있는 사람은 큰 모험을 통하여 돈을 벌지 않는다.
따라서 성실하게 봉급생활을 통하여 절약하여 열심히 산다.
당연히 정재가 멋있게 사주에 앉아 있는 사람은 부인도 비슷한 사람과 만나서 결혼을 하며 산다.
큰 부자는 되기 어렵지만 평생 안락한 삶이 보장되는 운명이다.
 
4. 정재는 신약이냐 신강이냐에 따라서 작용이 매우 강하다.
신약사주는 돈을 지킬 능력이 없기에 돈을 벌지 못한다.
그러나 신강사주의 경우는 돈을 지키기 때문에 재록이 오래가고 길하다.
정재만큼 신약과 신강을 구분하는 재성도 보기 드물다.
따라서 정재의 사주가 있는 사람은 본인이 신약사주인지, 신강사주인지 먼저 살펴야 할 것이다.
 
 
5. 정재가 천간에서 간합이 되면 부부정은 좋으나 재복은 적다.
합이라는 것은 정이 좋은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길성의 경우는 합과 충을 싫어한다.
그러나 흉성은 합을 좋아한다. 전화위복이 되기 때문이다.
길성이 천간에서 합이 되면 정재의 고유성질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합의 성질인 정은 좋으나 재복은 적어지는 이치와 같다.
 
6. 천간의 정재가 무근이면 산실이 많고 기복이 많다.
천간은 빠르고 가벼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정재가 좋은 자리는 년천간을 제외하고는 지지에 있는 것이 아주 길한 것으로 판단한다.
설령 정재가 천간에 있더라도 지지에서 생해주면 근이 있다고 간명하여 길하게 본다.
이러한 근도 없으면 나가는 재물이 많다는 의미이다.
천간의 정재는 공처가로 판단하기가 쉽다.
 
7. 재관쌍미격은 귀격이다.
정재가 정관을 생부하면 귀격으로 판단하여 돈도 벌고 명예도 얻을 수 있다.
가장 좋은 경우는 천간의 정관이 지지의 정재를 생해주는 경우이다. 이경우 명예의 발전이 빠르고 재물의 보전이 좋다고 판단한다.
그 다음으로는 지지의 정관이 천간의 정재를 생하는 경우이다.
이럴때는 정재의 발달이 매우 빠르지만 드러난 재물이라 손실도 우려되는 바이다.
더구나 부인의 명의로 재산을 불려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8. 재성이 식신, 상관에 근이 없으면 무력하여 沒有之財星이 된다.
정재를 생하여 주는 식신이나 상관이 지지에서 없으면 나가는 재복이다.
 
9. 일간이 강하고 재성이 약하면 재운이 들어올 때 발복한다.
일간이 강하면 신강사주이다. 이 경우 재성이 약하면 강한 재운이 세운이나 대운에서 들어올 때 발복하여 돈을 벌 수 있다.
 
10. 재성은 화개에 임한 것이 재복이 강하다.
진술축미의 화개살은 사고나 사묘라고 말하며 한번 돈이 들어가면 나오지 않는 창고나 묘지와 같다.
돈은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진술축미의 해당되는 지지가 재성이 되는 것은 재복이 더욱 강한것으로 본다.
 
# 재다신약(財多身弱) 사주
 
1. 부친인연이 없다.
정재가 많으면 편재로 간명하기에 부친인연이 없는 것이다.
사주내에 편재가 없을때는 정재를 부친으로 보기도 한다.
 
2. 처에게 배신을 당한다.
財는 금전이나 아내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아내를 의미한다. 남편이 하나인데 아내가 많으면
여난이 있다는 것이니 이럴때는 조강지처도 돌아눕는다.
 
3. 재물부침이 많다.
지나친것은 부족함만 못하다는 옛성현들의 말씀이 있다. 사주내에 재성은 하나만 있는 것을 좋은 것이라고 본다.
 
4. 질병이 있거나 단명한다.
신약 사주는 비견이나 겁재가 부족하므로 수명을 길게 연장하기 어려운 사주이다.
 
# 정재가 많은 사주
 
1. 편재로 간명한다.
 
2. 재물로 크게 발전하기는 어렵다
 
3. 남자는 재혼지명이며 모친덕이 없다.
 
4. 공처가가 되든가 처덕이 없다.
 
# 정재가 없는 경우
 
1. 처첩과 인연을 늦게 맺는다.
 
2. 재물을 오랫동안 축적하기 어렵다.
 
3. 생활의 근본인 정재가 없으므로 평생 노고가 많다.
 
4. 금전출입만 많고 실속은 없다.
 
5. 봉급생활을 하기 어렵다.
-> 정재가 없으면 꾸준한 수입은 어렵다고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장사를 하든가 다른 방면을 모색하여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6건 3 페이지
  • RSS
기타 명리기초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열람중 원제 임정환 8500 03-13
15 원제 임정환 9737 03-13
14 원제 임정환 8127 03-13
13 원제 임정환 3822 03-13
12 원제 임정환 4306 03-13
11 원제 임정환 3208 03-13
10 원제 임정환 4245 03-13
9 원제 임정환 3081 03-13
8 원제 임정환 10212 03-13
7 원제 임정환 3656 03-13
6 원제 임정환 3110 03-13
5 원제 임정환 3538 03-13
4 원제 임정환 7569 03-13
3 원제 임정환 3143 03-13
2 원제 임정환 3558 03-13

검색

무료사주강의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27733]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18299]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5217]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22614]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27061]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26477] 2
아들의 외고합격 [446773] 2
젊은 여성의 임신 [379412] 1
재벌 회장의 사주 [435577] 2
유명가수의 사주 [430175] 1
보험설계사 [40063]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60914]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51919]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